Article at a Glance 자동차도 취향에 맞춰 사는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전망된다. 테슬라의 약진으로 전기차 시대가 도래하면서 내연 기관에 강점이 있던 기존 완성차 제조업체들 사이에서 혁신의 필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최근 완성차 업체들은 기존 설계-생산-판매 전 과정을 관리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오픈 프레임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중 카이스트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앱카’ 모델은 앱을 통해 차의 외관 및 인테리어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연초부터 테슬라 주가가 고공행진 중이다. 테슬라의 주가는 미•중 무역전쟁 이후로 시끄럽던 지난해 10월 대비 무려 300% 이상 오른 상태로 거래되고 있다. 이미 시가총액 기준으로 도요타자동차를 제외한 나머지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 톱5의 시총을 합친 것보다 많다. 그러나 테슬라의 진정한 가치는 단순히 시가총액만으로 평가하기 어렵다. 테슬라는 이미 모빌리티(Mobility), 에너지, 인공지능(AI) 등 혁신 분야에서 사업성을 증명해 낸 몇 안 되는 기업이다. 그래서인지 자동차 업계는 테슬라의 모빌리티 혁신을 큰 위기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들은 전기차와 AI, 여기에 스마트 팩토리를 접목한 테슬라의 혁신 기술이 지난 100년간 이어온 포드의 대량 생산 패러다임을 뛰어넘는 새로운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을 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장영재yjang@kaist.ac.kr
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
장영재 교수는 미국 보스턴대 우주항공과를 졸업하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기계공학, MIT 경영대학원(슬론스쿨)에서 경영공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어 MIT 기계공학과에서 불확실성을 고려한 생산운영 방식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테크놀로지 본사 기획실의 프로젝트 매니저로 근무하면서 과학적 방식을 적용한 원가 절감 및 전략적 의사결정 업무를 담당했다. 2020년 KAIST 연구소 기업인 ‘다임리서치’를 창업해 인공지능과 디지털 트윈 등의 혁신 기술을 제조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