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론 MBA스쿨에서 첫 학기를 보낸 필자의 소감은 ‘내가 슬론 고등학교에 다니는구나’다. 오전 8시 30분부터 미리 짜인 시간표에 따라 수업을 듣고, 집에 와선 밤 늦게까지 숙제하느라 정신이 없는 생활은 그야말로 고등학교 때와 똑같다.
올해 2월부터 시작된 두 번째 학기는 여러모로 여유가 생겼다. 첫 학기에 빡빡한 학사 과정 및 서머 인턴 활동을 병행하며 습득한 능력, 즉 신속한 의사결정과 효율적 시간 관리가 ‘MBA형 인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필자가 이번 학기에 특히 관심을 갖고 신청한 과목은 슬론 MBA스쿨을 대표하는 세계적 석학인 레스터 서로 교수의 ‘경제 정책(Economic Policy)’과 에릭 폰 히펠 교수의 ‘상품과 서비스의 돌파구를 개발하는 방법(How to develop breakthrough product and service)’이다.
노(老) 석학이 본 중국 경제의 미래와 허상
서로 교수는 대다수 슬론 스쿨 학생들이 태어나기 훨씬 이전인 1960년대 린든 존슨 당시 미국 대통령의 경제보좌관을 역임했다. <헤드 투 헤드(Head to Head)>, <제로 섬 사회(Zero-Sum society)>, <지식의 지배(Building Wealth)> 등 명저를 저술한 그는 시대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석학이다. 그의 이름 앞에 따라오는 수식어들은 ‘금세기 최고의 지성’,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등이다. 일흔이 넘은 나이 탓인지 강의실에 등장한 그의 모습은 동네 복덕방 할아버지와 비슷했다. 그러나 명불허전이었다. 서로 교수가 가진 세계 및 미국 경제에 대한 견해와 통찰력은 깊고도 예리했다.
서로 교수는 50년 이상 자신이 학계 및 공직에서 쌓아온 다양한 경험을 통해 정립한 ‘경제를 바라보는 원칙(Rule)’을 하나씩 소개한다. 필자가 특히 인상 깊었던 한 가지는 바로 ‘언론 보도에는 믿지 못할 정보들이 가득하다(Rule #1: Media is full of misinformation)’다. 그는 중국 경제의 장래와 관련된 언론들의 무분별한 장밋빛 보도를 사례로 제시했다. 서로 교수는 “많은 언론은 중국이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이 될 거라고 보도하는데 대체 언제 된다는 말인가? 무슨 기준으로?”라고 반문한다. 그의 주장은 “21세기가 중국의 세기가 될 거라는 말들이 많은데 어림없다. 22세기에나 가능할지 몰라도…”다.
반박 논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경제의 70%를 차지하는 농촌 경제가 제자리걸음을 계속하는 상황에서 중국 경제가 연평균 10% 이상의 고도 성장을 이어가려면 중국의 대도시 경제가 매년 33%씩 성장해야 한다. 하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중국 정부가 발표하는 경제 성장률 수치 자체의 신뢰성이 높지 않다.
둘째, 중국 정부는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중국 내 전력 소비 증가율을 추월했다고 발표했지만 이 역시 믿을 만한 자료가 아니다. 역사적으로 전 세계 모든 국가의 경제 성장률은 늘 전력 사용량 증가율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이런 현상이 더 두드러진다. 개발도상국의 취약한 인프라 때문에 전력 사용의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설사 선진국이라 해도 세계 상위 12개국 기준 GDP 성장률은 전력 사용 증가율의 45% 수준에 불과하다. 즉, 경제 성장률이 아무리 높아도 전력 소비 증가율을 넘어설 수가 없는데 중국 정부가 이런 발표를 했다는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서로 교수는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중국 정부의 발표인 10%대가 아닌 4.5∼6.0% 수준일 거라고 추측한다. 그는 개발도상국 경제가 아무리 빨리 성장해도 세계 최대 경제 대국 지위를 확보하는 일은 생각만큼 쉽게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19세기 초반부터 급속도의 경제 성장을 이룬 미국도 과거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이었던 영국을 1차 세계대전 이후에나 따라잡을 수 있었고, 메이지 유신 이후 150여 년간 경제 성장을 이뤄온 일본 역시 구매력을 감안한 1인당 GDP는 아직도 미국의 80%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예도 들었다.
서로 교수는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중국의 연평균 성장률을 4.5%로 잡고, 미국의 성장률을 지난 15년 평균 성장률인 3%로 계산하면 2100년 중국의 1인당 GDP는 4만 5000달러, 미국의 1인당 GDP는 60만 달러를 기록할 거라고 전망했다. 현재 미국의 1인당 GDP는 4만 3000달러, 중국의 1인당 GDP는 1000달러로 무려 43배 차이가 난다. 즉 앞으로 100년간 중국은 연평균 4.5%, 미국은 3%씩 성장한다고 가정해봤자 100년 후 두 나라의 1인당 GDP 격차는 43배에서 16배로 줄어들 뿐이다. 즉, 격차는 좁혀질지 몰라도 중국의 1인당 GDP가 미국을 추월하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1인당 GDP가 아닌 총 GDP로 비교해도 마찬가지다. 1가구 1자녀 정책으로 중국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반면, 이민자 유입으로 미국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구의 지속적 감소는 경제 전체의 활력과 성장 가능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