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400년 망각에서 되살아난 브뤼헤

김민주 | 41호 (2009년 9월 Issue 2)
서유럽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여행지다. 한국인들은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을 주로 찾는다. 하지만 벨기에를 들르는 한국 관광객은 많지 않다. 벨기에 브뤼셀의 오줌싸개 동상은 알아도, 서쪽의 중세풍 도시 브뤼헤(Brugge, 브루게)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유럽에서는 다르다. 브뤼헤에는 ‘서유럽의 문화 수도’ ‘도시 전체가 지붕 없는 박물관’ ‘북쪽의 베네치아’ ‘벨기에의 보석’ ‘유럽에서 중세가 가장 잘 드러나는 낭만 도시’ 등 화려한 수식어가 붙는다. 유럽의 문화 관광 도시로 우뚝 선 이곳은 200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브뤼헤의 역사는 한 편의 영화처럼 드라마틱하다. 브뤼헤는 13∼15세기 잘나가던 도시였다. ‘유럽 남부 지중해에는 베네치아가 있고, 유럽 북부 대서양에는 브뤼헤가 있다’는 말까지 있었다. 브뤼헤는 지중해, 스칸디나비아, 영국에서 오는 뱃길의 길목에 위치했다. 배후에는 양모와 직조 공업이 발달한 플랑드르 지역이 있었다. 브뤼헤는 모직물을 수출하고 곡물과 와인을 수입하는 교역 도시로 번성했다. 브뤼헤의 항구에는 뤼베크를 비롯한 한자동맹 도시들과 제노바, 베네치아 같은 지중해 도시에서 온 선박들로 연일 넘쳐났다.
 


달도 차면 기울듯 부지불식간에 위기가 엄습했다. 15세기 후반 도시의 정치 상황이 불안해졌다. 바닷물이 들어오던 즈웨인 만이 퇴적물에 의해 막히게 되자 선박들도 뜸해졌다. 대신 경쟁 항구 도시인 안트베르펜(앤트워프)이 번성하기 시작했다. 부활을 위한 몸부림이 몇 차례 있었지만 일시적이었다. 브뤼헤는 몰락의 길을 걸으며 긴 잠에 빠져들었다.
 
영원히 깨어나지 않을 것 같았던 브뤼헤가 20세기 들어 꿈틀대기 시작했다. 도시로 이어지는 물길이 새로 나면서부터다. 16세기 화가이자 엔지니어인 란셀롯 브론델(1496∼1561)의 수로 건설 계획이 1877년 지역 기록보관소에서 우연히 발견됐다. 경쟁 도시 안트베르펜의 거센 반대를 뚫고 1905년 마침내 브뤼헤와 바닷가의 제브뤼헤 간에 인공 운하가 건립됐다. 수로가 열리면서 브뤼헤에서는 레이스, 금속, 양조, 인쇄 산업이 일어났다. 당연히 인구도 늘어났다.
 
브뤼헤는 당시 관광지로도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1892년 조르주 로덴바흐(1855∼1898)가 쓴 소설 <죽음의 도시 브뤼주(Bruges la Morte)>(‘브뤼주’는 브뤼헤의 프랑스식 이름)가 계기가 됐다. 지역 경제를 일으키는 문학의 힘이 브뤼헤에서도 입증된 것이다. 이 책에서 브뤼헤는 중세의 유산을 간직한 신비로운 도시로 묘사됐다. 400여 년간 역사의 뒷골목에 묻혀 현대식 건물이 들어서지 않았던 게 오히려 장점이 됐다. 지금은 매년 3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이 도시를 찾는다.
 
브뤼헤는 물의 도시답게 보트나 유람선을 타고 둘러보기 좋다. 수로의 본줄기는 도심을 둥그렇게 둘러싸고 있다. 원형 수로에서 나온 물줄기는 도심을 가로질러 남북을 잇는다. 관광객들은 보트를 타고 운하 곳곳을 돌며 중세의 정취에 빠져들 수 있다. 우리나라 시티투어 버스와 비슷하다. 보트를 타고 다른 도시로 이동할 수도 있다. 수로를 따라 각종 기념물, 박물관, 중세를 간직한 역사적 도시 경관도 펼쳐진다. 브뤼헤를 찾은 관광객은 베긴회 수도원, 바실리카 성혈 예배당, 성 살바토르 성당, 부르그 광장의 시청사, 광장의 종탑 같은 유서 깊은 건물 앞에 발길을 멈추고 중세로 시간 여행을 떠난다.
 
도시 곳곳에 있는 박물관도 흥미롭다. 브뤼헤의 오랜 역사가 담긴 다양한 박물관이 이 도시의 강점이다. 옛 다이아몬드 가공 중심지답게 다이아몬드 박물관이 있고, 마르크트 광장 인근에는 초콜릿 박물관이 있다. 맥주를 만드는 전 과정을 볼 수 있는 맥주 박물관, 중세 시대의 카펫에서부터 다양한 생활도구들을 전시한 포트리 박물관도 이 도시의 명소다. 가구와 도자기, 레이스, 조각, 길드의 문장(紋章), 무기, 악기 등을 전시하는 그루터스 박물관도 유명하다.
 
브뤼헤는 미술의 도시로도 불린다. 시립 그뢰닝 미술관은 얀 반 에이크 등 14, 15세기 플랑드르 지역 천재 화가들의 회화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반 에이크와 함께 브뤼헤의 대표 화가로 꼽히는 한스 멤링의 그림이 전시된 멤링 미술관도 있다.
 
브뤼헤가 과거 유산만 먹고사는 것은 아니다. 1971년부터 도시의 주요 유산에 대한 대규모 복구 사업을 시작했다. 전통 산업도 관광 상품으로 탈바꿈시켜 유럽에서도 첫손가락에 꼽히는 전통 수공예 방식의 레이스 산업을 관광 상품으로 개발했다. 도심의 교통수단도 다양하게 준비했다. 보트 외에도 마차와 구형 전차, 자전거, 미니버스 등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관광객들은 30분간 마차를 타고 시내를 돌며 중세를 느껴볼 수 있다. 말이 끄는 구형 전차도 있다. 걸어 다니기에는 약간 넓은 외곽 지역은 기차역에서 빌린 자전거로 돌아볼 수 있다.  
 

브뤼헤는 역사의 진열장에 파묻힌 죽은 도시가 아니다. 이곳은 서플랑드르의 주도로, 인구는 12만 명에 이른다. 자국 프로 리그 상위권인 명문 축구 클럽도 있다. 서플랑드르 주의 교육 중심지이며 경제학, 법학, 정치학으로 유명한 유럽대(College of Europe)가 처음 설립된 곳이기도 하다. 유엔(UN)은 2002년 이곳에 유엔대 연구센터를 세웠다.
 
주민과 공공기관은 힘을 모아 다양한 수익원을 개발했다. 중세 건물은 손을 보고, 적절한 관광 상품과 가격 체계도 만들었다. 도시 중심 마르크트 광장에 꽃과 나무가 아름다운 유료 정원도 조성했다. 심지어 시 당국은 호수에 사는 백조의 부리에 브뤼헤의 이니셜인 B를 그려 넣고 관광 자원으로 철저하게 관리할 정도다. 시 당국이 백조의 건강이나 영양 상태에 책임을 지고 있음을 명확히 한 것이다.

브뤼헤는 한때 정치적 불안정, 항구 기능의 쇠퇴, 산업의 몰락으로 인해 역사 속 도시로 전락했다. 하지만 주민과 시 정부가 합심해 부정적인 역사의 물줄기를 긍정의 힘으로 되돌려놨다. 근대화에서 소외됐던 단점을 중세 유적 보존이라는 장점으로 승화시켰다. 또 중세 분위기를 자아내기 위해 수로를 만들고 건축물도 보수했다. 박물관과 미술관을 세우고, 다양한 교통수단과 같은 관광 인프라를 만든 노력이 있었기에 이 쇠락한 도시는 화려하게 부활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도 전통 문화유산이 풍부한 도시가 많다. 최근에 조선 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동의보감>은 세계기록유산으로 인정받았다. 옛 전통과 현대의 미를 조화시킨 다양한 관광 명소를 개발한다면 한국의 고도(古都)도 브뤼헤 못지않은 명성을 얻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도 이런 캐치프레이즈를 내걸었으면 한다.
 
“한국의 600년을 보고 싶다면 서울로 가라. 1000년의 역사는 개성에 있고, 1500년의 전통은 공주와 부여에서 살아 숨 쉰다. 2000년의 역사를 보고 싶다면 경주로 오라.”

편집자주 한국 최고의 마케팅 사례 연구 전문가로 꼽히는 김민주 리드앤리더 컨설팅 대표가 전 세계 도시의 혁신 사례를 분석한 ‘City Innovation’ 코너를 연재하고 있습니다. 급격한 환경 변화와 거센 도전에도 굴하지 않고 성공적으로 도시를 운영한 사례는 행정 전문가뿐만 아니라 기업 경영자들에게도 전략과 조직 운영, 리더십 등과 관련해 좋은 교훈을 줍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필자는 마케팅 컨설팅 회사인 리드앤리더 대표이자 비즈니스 사례 사이트인 이마스(emars.co.kr)의 대표 운영자다. 서울대와 시카고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했으며, 한국은행과 SK에너지에서 근무했고 건국대 겸임교수를 지냈다. <로하스 경제학> <글로벌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하인리히 법칙> 등의 저서와 <깨진 유리창 법칙> 등의 역서가 있다.
 
  • 김민주 김민주 | - (현) 리드앤리더 컨설팅 대표이사, 이마스 대표 운영자
    - 한국은행, SK그룹 근무
    - 건국대 경영대학원 겸임교수
    mjkim8966@hanmail.net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