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ed on “The Good, Bad and Ugly of Information (Un)Processing; Homo Economicus, Homo Heuristicus and Homo Ignorans,” (2023) by G. Tingho..g, K. Barrafrem, and D. Vastfja..ll in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94(2):1-6.
무엇을, 왜 연구했나? 대부분 인간은 언제 죽을지, 치명적인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를 소유하고 있는지, 신용카드 연체 수수료가 얼마인지 굳이 알려고 하지 않는다. 자신의 지능이나 재능을 저평가하는 정보를 의도적으로 회피하거나 자신이 한 선택에 부합되지 않는 정보를 못 본 체하고 선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작용을 모른 체하는 경우도 흔하다. 더 나아가 자신의 신념과 충돌하는 팩트를 왜곡하고 자신의 믿음이나 바람에 부응하는 결론에 이르도록 갖가지 원인과 이유를 짜깁기한다. 스웨덴 린셰핑대 팅회그 교수 연구팀은 인간의 유형을 정보처리 방식에 따라 경제적 인간(Homo Economicus), 직관적 인간(Homo Heuristicus), 무지한 인간(Homo Ignorans)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각 인간 유형이 정보를 회피하거나 무시하는 이유를 이론적으로 비교·분석했다.
무엇을 발견했나? 경제적 인간, 직관적 인간, 무지한 인간은 모두 정보처리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정보를 회피·무시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하지만 그 이유는 천차만별이다. 경제적 인간은 모든 이용 가능한 정보가 더 나은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정보를 고의로 회피하거나 무시하는 사례가 드물다. 유일한 예외는 정보를 얻는 데 드는 유무형의 비용이 정보의 획득으로부터 창출되는 이익보다 높다고 간주할 때다.
하지만 경제적 인간의 정보처리 방식은 대부분 개인의 일상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설명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또한 정보 회피·무시 현상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우리의 뇌는 수많은, 크고 작은, 어렵고 쉬운 의사결정을 쉴 틈 없이 내린다. 명확한 인지적 한계를 지닌 뇌가 이를 감당하기엔 역부족이다. 이러한 정신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뇌가 사용하는 기제가 휴리스틱(Heuristic)이다. 해결해야 할 문제의 난이도에 상관없이 문제를 어림짐작11어려운 문제는 쉬운 문제로 바꾸어 풀거나 복잡한 계산이 필요한 과제를 감정(예: 애착, 기분, 센티먼트)과 경험이 제시하는 직관적 평가로 대체하는 행위
닫기으로 해결하려는 생각의 오래된 습관이요, 심리적 에너지를 절약하고 제한된 인지 능력을 극복하는 판단 방식이다.22휴리스틱의 전형적인 예가 “옳다고 느끼면 옳은 것이다”라고 판단하는 정서(감정) 휴리스틱(Affect Heuristic)이다.
닫기
휴리스틱을 정보처리의 주된 도구로 사용하는 유형의 인간을 직관적 인간이라고 한다. 직관적 인간은 의사결정과 관련된 정보의 장단점이나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측면을 고려하기보다는 어림짐작에 따라 성급한 결정을 내린다. 따라서 직관적 인간은 고의로 정보를 회피·무시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정보를 처리하는 데 드는 심리적 비용이 그로부터 발생하는 심리적 이익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직관적 인간은 정보 회피나 무시를 서슴지 않는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곽승욱swkwag@sookmyung.ac.kr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
필자는 연세대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와 텍사스공과대에서 정치학 석사와 경영통계학 석사, 테네시대에서 재무관리 전공으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유타주립대 재무관리 교수로 11년간 근무한 후 현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및 관심 분야는 행동경제학, 기업 가치평가, 투자, 금융시장 및 규제, AI 재무 분석 등이고 역·저서에는 『재무관리의 이해』와 『생각과 행동, 그리고 투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