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DBR Column

거대한 혁신의 동기는 ‘우리’

민규식 | 294호 (2020년 4월 Issue 1)

필자가 동료들과 함께 개발한 ‘인공와우’는 달팽이관 안에 전극을 이식, 몸속에 삽입된 전자회로를 통해 전기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선천적 청각장애인이나 고도 난청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돕는 혁신적인 전자약(Electroceuticals) 중 하나다. 최근 ‘전자약’이라는 키워드가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데, 전자약은 1960년대에 이미 이식형 심장박동기(Pace Maker)로부터 시작된 개념이다. 전자약은 뇌와 신경세포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전기전자공학적 방법으로 모사해 뇌와 신경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모든 이식형 의료기기를 지칭한다.

전자약을 제작하기 위한 요소 기술로 다음의 네 가지가 필수적이다. 첫째, 신경과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신경 인터페이스 기술, 둘째, 신경에 전달할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자회로 집적 기술, 셋째, 안정적으로 체내에 전력을 공급/생성/보관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및 저장기술, 넷째, 앞서 기술한 시스템이 장기간 몸속에서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 패키지 기술이 그것이다. 최근에는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이것을 전자약에 활용하기 위한 AI 기술이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 간단히 열거하기만 해도 개발하기 쉽지 않은, 아니, 위의 모든 기술을 모두 하나의 스타트업이 개발하기에는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 대기업들조차 도전하기 꺼려하는 분야이다 보니, 필자가 전자약 중에서도 가장 어렵다는 ‘인공와우’에 도전한다고 했을 때 주변에서 많은 우려 섞인 목소리를 낸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WHO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 4억6000만 명이 난청을 겪을 정도라 시장 잠재력이 매우 크다. 하지만 난청 인구의 80% 이상이 저개발국과 개발도상국에 살고 있기에 2000만 원에 달하는 고가를 지불할 능력이 없는 경우가 많다. 한 해 팔리는 인공와우가 약 6만∼7만 대에 불과한데 이 또한 대부분 선진국에서 소비된다. 이마저도 두세 개의 회사가 전체 시장의 90%를 차지하는 독과점 구조가 고착화된 상태다. 그나마 인공와우를 만들 수 있는 회사도 전 세계에 다섯 개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민규식

    필자는 2006년 서울대 물리학부를 졸업하고 2014년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부에서 ‘대량 생산 가능한 인공와우 전극에 대한 연구’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4년 삼성전자 종합기술원과 의료기기 사업부 책임연구원으로 일하다 2015년 토닥을 창업했다. 토닥은 반도체 공정을 응용한 전자신경 임플란트 및 인터페이스 기술을 기반으로 뇌신경-머신 인터페이스 기업으로 성장하고자 하는 국내 유일의 인공와우 회사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