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Essential cases in books

겸손과 양보의 미덕이 삶을 사는 지혜

서진영 | 218호 (2017년 2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사회생활에서 가장 힘든 것은 업무보다는 인간관계다. 특히 나와 맞지 않는 사람과 함께 일하는 것만큼 힘든 일은 없다. 옛 고전에서는 군자피삼단(君子避三端)이라고 해 ‘군자는 문사(文士)의 붓끝, 무사(武士)의 칼끝, 변사(辯士)의 혀끝을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상대의 예리한 비난에 맞서기보다는 양보와 인내를 발휘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남의 잘못을 들춰내어 비난하거나 조롱하지 않으며 공을 상관에게 돌려 붓끝을 피하는 지혜야말로 사회생활을 하는 우리들에게 꼭 필요한 지혜가 아닐까.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좋은 사람들과 함께 일을 하는 것만큼 즐거운 일이 없다. 하지만 업무를 하다보면 내·외부의 소인배와 부딪힐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경솔히 행동해 소인배들에게 책잡힐 일을 하지 않고 그들에게 미움을 사지 않도록 항상 주의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분명하다. 소인들에게 미움을 사는 순간, 아름답고 행복해야 할 우리 인생은 엉망진창이 돼버릴 것이기 때문이다.

요컨대 소인배를 대할 때 최상의 방법은 그들을 피하거나 그들이 어떤 행동을 하더라도 끝까지 참으며 그들의 감정을 건드리지 않는 것이다. 이런 이치를 명확히 알려주는 말이 바로 ‘보이는 창은 쉽게 피할 수 있으나 보이지 않는 곳에서 날아오는 화살은 막아내기가 어렵다’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날아오는 화살촉을 피할 수 있을까? 고전에서는 군자피삼단(君子避三端)이라고 했다. 한영의 <한시외전(韓詩外傳)>에 나오는 이 말은 ‘군자는 문사(文士)의 붓끝, 무사(武士)의 칼끝, 변사(辯士)의 혀끝을 피해야 한다’는 뜻이다. 구체적으로는 무엇을 말하는가?

중국의 스샤오엔은 <내 편이 아니라도 적을 만들지 마라 : 적을 만들지 않는 사람이 성공한다>에서 세 가지 끝을 피하는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각각을 보며 지혜를 배워보도록 하자.

043
먼저 변사(辯士)의 혀끝을 피하는 사례는 미국의 제25대 대통령 윌리엄 매킨리의 이야기다. 매킨리는 경제정책을 수립하면서 실업문제 대책을 논의하던 중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다. 어느 날 언변이 뛰어난 한 상원의원이 대놓고 그를 비난하기 시작했다. 변사의 혀끝에 공격을 당한 매킨리는 화가 머리끝까지 치밀어 올랐으나 모든 인내력을 총동원해 간신히 참아 넘겼다. 그리고 상원의원이 말을 마치자 매킨리는 부드러운 말투로 이렇게 대답했다.

“의원님, 노기를 가라앉히시지요. 사실 정확히 따지자면 의원님이 저를 질책할 권리는 없습니다. 하지만 나는 의원님의 뜻을 이해했습니다. 그러니 이번에는 의원님이 내 뜻을 이해하도록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예봉(銳鋒), 예리한 혀끝에 맞서지 않고 돌려 피한 매킨리의 태도는 상대방을 매우 부끄럽게 만들었고 모든 감정을 사라지게 만들었다. 대통령이라는 자리는 현대사회에서 최고의 위치지만 옛날의 왕과는 사뭇 다른 점이 반드시 논리적으로 상대를 설복시켜야만 아랫사람들을 따르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생각해보라. 만약 매킨리가 논리적으로 상대를 설득하지 않고 자신의 직위와 권위를 바탕으로 기세등등하게 상대를 공격했다면 상대는 절대 진심으로 그를 따르지 않았을 것이다. 쌍방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을 때 이치에 따라 논리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사람은 양보와 인내를 발휘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모든 감정을 해소시킬 수 있다.

옛사람들은 ‘작은 일을 참지 못하면 큰일을 망친다’라고 했다. 이를 반대로 보면 보통사람들은 참을 수 없는 일을 참아내는 사람만이 큰일을 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인내는 뒤로 움츠러드는 소극적인 태도가 아니다. 인내는 지혜롭고 능력을 갖춘 사람만이 베풀 수 있는 것이다. 인내하는 중에 상황이 반전돼 새로운 기회를 맞이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변사의 혀끝을 피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둘째, 무사(武士)의 칼끝을 피하는 사례는 놀랍게도 링컨에게서 찾을 수 있다. 링컨은 젊은 시절, 시비를 가려 잘잘못을 따지고 비평하기를 즐겼다. 그는 종종 편지나 시의 형식으로 다른 사람의 잘못을 풍자하곤 했다. 또 링컨은 누군가를 비난하는 글을 써서 일부러 그 사람이 지나다니는 길에 떨어뜨려놓기도 했다. 그런데 이 습관은 그가 견습 변호사로 일하던 스프링필드에서 큰 문제를 일으키고 말았다.

1842년 가을, 링컨은 당시 스프링필드에서 거만하기로 유명한 정치인 제임스 시어스를 비난하는 글을 익명의 편지 형식으로 신문에 실어 그를 웃음거리로 만들었다. 시어스는 크게 분노했고 수소문 끝에 이 글을 쓴 사람이 링컨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시어스는 곧바로 말을 타고 링컨을 찾아가 당시 관습대로 결투를 신청했다. 링컨은 결투를 좋아하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이 결투를 받아들여야 했다.

가입하면 무료

  • 서진영

    서진영sirh@centerworld.com

    - (현) 자의누리경영연구원(Centerworld Corp.) 대표
    - 최고경영자(CEO)를 위한 경영 서평 사이트(www.CWPC.org)운영 - OBS 경인TV ‘서진영 박사의 CEO와 책’ 진행자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