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Organizational Behaviour

네트워크 약한 외톨이가 파괴적 혁신에 유리

이용훈 | 417호 (2025년 5월 Issue 2)
Based on “Informal Networks and Information Environments” by Yonghoon G. Lee and Joon Nak Choi (forthcoming) in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GettyImages-133140741_[변환됨]


무엇을, 왜 연구했나?


네트워크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는 두말하면 잔소리다. 인맥이 넓은 사람은 회사에서 인정을 받아 더 많은 기회를 얻고, 더 목소리를 내고, 더 빨리 승진한다. 또한 믿을 수 있는 인맥을 다양한 곳에서 쌓은 사람은 남들이 쉽게 얻을 수 없는 지식과 정보를 더 빠르게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해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시의적절하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더 많은 네트워킹을 통해 넓은 인맥을 쌓으라는 조언이 가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런데 이런 네트워크에 역기능도 있을 수 있다. 예컨대 가까운 동료들과의 지속적인 교류는 서로가 가진 지식과 정보를 비슷하게 만들고 심지어는 생각조차 비슷하게 만들 수 있다. 굳이 말하지 않아도 마음이 통하는 동료들이 있다. 이런 동료들과의 교류는 새로운 인사이트를 도출하지 못할 뿐 아니라 서로가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확인하면서 스스로의 생각이 옳다고 생각하는 확증편향에 빠지게 할 수 있다. 즉 비슷한 정보를 가진 사람과의 빈번한 네트워킹은 밖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직시하지 못하게 만들고, 기존 관념에 빠져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네트워크의 역기능이 어떤 환경에서 강화되는지 살펴본다.


무엇을 발견했나?

미국 텍사스 A&M대와 홍콩과기대 연구진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두 가지 부류의 헤지펀드 성과를 바탕으로 정형 정보(Hard Information)에 기반한 정보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역기능이 증폭될 수 있음을 밝혔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이용훈 yglee@tamu.edu

    텍사스 A&M대 경영대학 경영관리 교수

    필자는 고려대에서 경영/경제학 학사, 경영관리학 석사를, 인시아드(INSEAD)에서 조직행동(Organizational Behaviour)으로 박사를 받았으며 홍콩과기대 경영대학에서 조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미국 텍사스 A&M대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혁신을 요구하는 산업의 네트워크, 사회적 정체성(social identity), 사회적 불평등을 주로 연구한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