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왕이 묻고 신하가 답하다 - 연산군과 이목

“인재 뽑는 제도보다 인재 키울 방법 먼저”

김준태 | 340호 (2022년 03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중국 주나라에선 지방 행정 단위별로 학교가 설립돼 누구나 공부하고 배울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진 덕에 추천제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하지만 한나라에선 학교가 제대로 뒷받침되지 않았으며 인재가 육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섣부르게 추천제를 운용해 부정한 학문으로 세상에 아첨하는 자가 등용됐다. 조선은 인재 등용을 위해 과거제라는 공개 채용 방식과 ‘향거이선’과 같은 추천제를 채택해 각 제도가 가진 단점을 보완하고자 했지만 고질적인 인재 부족에 시달렸다. 중요한 것은 시험의 형태나 제도가 아니라 개개인의 자질과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 문화와 철학이다.



1495년(연산군 1년)에 열린 문과 증광시(增廣試)1 에서 꼿꼿한 선비로 명성이 높았던 이목(李穆, 1471∼1498)이 갑과(甲科) 장원(壯元)2 을 차지했다. 이 시험에서 연산군(燕山君)은 “듣건대, 인재는 국가의 이기(利器)3 라고 한다. 예로부터 제왕이 훌륭한 정치를 이룰 적에 인재를 얻는 것을 급선무로 삼지 않은 적이 없었다”라고 전제하고 주나라의 ‘향거이선(鄕擧里選)’, 한나라•위나라에서 도입한 ‘현량방정(賢良方正)’, 수나라•당나라의 ‘과거(科擧)’ 등 역대 중국 왕조에서 시행한 인재 선발 제도를 평가하라는 문제를 냈다. 그러면서 조선이 다양한 선발 방식을 도입하고 있는데도 인재가 부족하다고 느껴지는 이유가 무엇인지 “어떻게 해야 어진 인재가 등용돼 나무가 무성하듯 울창하게 세상을 위해 쓰이고, 국가의 다스림을 도울 수 있는지” 그 방법을 이야기해보라고 요구했다.

여기서 ‘향거이선’과 ‘현량방정’은 추천을 통해 인재를 등용하는 제도다. 세부적인 운용 방법에는 차이가 있지만 고을 수령으로부터 인재를 천거받아 일정한 검증 후 관리로 임용하는 기본 뼈대는 같다. 중앙에서 전국에 산재한 인재를 모두 찾아내기란 불가능하므로 각 고을 수령의 힘을 빌리겠다는 것이다. 고을 수령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인재의 인성과 역량을 관찰해왔을 테니 말이다. 하지만 추천제에는 주관이나 부정이 개입될 소지가 컸다. 그래서 도입한 제도가 공개 경쟁 채용 시험인 ‘과거’다. 과거는 응시자들이 정해진 날짜에, 정해진 장소에서, 공개적으로 시험을 치르고 평가받게 함으로써 공정성과 객관성을 강화했다. 그러나 학문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단지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해 공부한다는 점, 공부의 내용이 암기와 문장에 치중된다는 점, 단 한 번의 평가로 결과가 좌우된다는 점에서 과연 과거로 좋은 인재를 모두 찾아낼 수 있겠냐는 회의가 일었다. 아예 과거 시험을 거부하는 인재도 있었다.

193


이에 조선은 공개 채용 방식과 추천제를 모두 채택함으로써 각 제도가 가진 단점을 보완하고자 했다. 과거를 근간으로 하되 ‘보거(保擧)’ 법을 도입한 것이다. 고을 수령이 인재를 추천하면 관찰사가 추려서 조정에 천거하는 방식이다. 재상급 고위 관리가 하급 관리를 추천하기도 했다. 하지만 고질적인 인재 부족에 시달렸다. 연산군은 “인재를 찾으려는 노력이 미진하여 버려두거나 빠트린 인재가 있어서인가?”라고 묻는다.

이 책문(策問)에 대한 이목의 대책(對策)을 보자. 우선 이목은 ‘향거이선’에 대해 설명하며 “옛날 주나라에는 가(家)에는 숙(塾), 당(黨)에는 상(庠), 술(術)에는 서(序), 국(國)에는 학(學)이 있어서 한 사람도 가르치지 않음이 없었고 한 곳도 학교가 아닌 데가 없었습니다”라고 했다. 여기서 ‘당’은 500호(戶)를 가리키고 ‘술’은 1만2500호 규모다. 요즘으로 말하면 당은 면, 술은 군이나 시에 해당한다. 가구별•지방행정 단위별로 학교가 설립됐다는 뜻으로 누구나 공부하고 배울 수 있는 환경이었다는 것이다. 개개인이 재주를 기르고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주나라의 향거이선 제도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까닭은 바로 이러한 교육 문화가 뒷받침됐기 때문이라는 것이 이목의 생각이다.4

그런데 ‘현량방정’의 환경은 달랐다. 이목은 “(한나라는) 재주를 길러주지 않고 인재를 얻고자 했으니 비유하자면 밭을 갈지 않고 곡식이 익기를 바라고, 누에를 기르지 않고 옷이 따뜻하기를 바라는 것과 같다”라고 말한다. 학교를 제대로 운영하지 않았고 인재를 육성하려고 노력하지 않았으면서 섣부르게 추천제를 운용함으로써 “부정한 학문으로 세상에 아첨하는 자를 등용”하게 됐다는 것이다. 수나라와 당나라에서 시행한 과거제도도 “더러 나라를 다스릴 만한 인재가 나와서 세상에 큰 쓰임이 되는 경우가 있고” “비록 한두 가지가 일컬을 만한 점이 있지만” 백성을 교화하고 학교를 진흥해 인재를 육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원하는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즉, 이목이 보기에 중요한 것은 추천제가 낫나, 공개 채용이 낫나가 아니다. 향거이선이 더 좋은가, 과거제도가 더 좋은가도 아니다. 이목은 공동체 안에서 개개인의 자질과 역량을 키워주는 교육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지, 건강하고 투명하게 인재가 육성되고 있는지에 주목한다. 주나라의 ‘향거이선’은 이 점이 충족됐기 때문에 성공한 것이고, 다른 나라가 도입한 제도들은 이 점이 부족했기 때문에 실패했다는 것이다.

이목이 “인재를 선발하는 이름은 고금(古今)이 다르지만 인재를 얻으려는 뜻은 고금이 다르지 않습니다. 그 뜻을 본받는 것은 옳지만 그 이름만을 따르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라고 말하는 것도 그래서이다. 이목은 “우리 조정에서 인재를 선발하는 법은 진실로 주나라에 견줘보아도 손색이 없습니다”라고 했다. 그렇다면 도대체 왜 인재가 부족해 주나라와 같은 성과를 내지 못하는가? 그것은 이름만, 겉으로 드러난 형식만 가져왔을 뿐 본질에는 소홀해서라는 것이다. 아무리 훌륭한 제도를 도입했더라도 왜 좋은 인재를 뽑아야 하는지, 좋은 인재를 뽑으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지 않으니 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것은 당연하다.

더욱이 어떤 제도든 단점이 있고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이목은 “지금 인재를 선발하는 방법으로는 과거보다 더 공정한 것이 없습니다. 그러나 과장(科場)5 을 아무리 엄하게 단속해도 남의 손을 빌려서 답안을 작성하는 폐단이 있으니 향거이선이라 하여 공정하게 시행되기를 바라겠습니까”라고 했다. 공개 채용 방식에 단점이 있다고 해서 그 제도를 폐지하고 추천제를 시행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 추천제에도 마찬가지로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설령 두 제도를 병행해도, 제3의 새로운 제도를 만들어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초점을 바꿀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목의 판단이다. 그는 “전하께서 몸소 모범을 보이고 교화를 밝혀서 사람의 마음을 바루고 바루어서 인재를 기르십시오. 인재가 끊임없이 나와 집집마다 가득하면 전하께서 인재를 선발하시는 것이 마치 부유한 집에서 물건을 취하는 것과 같아서 마음먹은 대로 되지 아니함이 없을 것입니다. 어찌 인재가 부족하다는 것이 근심거리가 되겠습니까”라고 주장했다. “전하께서 인재를 얻는 것을 물으셨는데 신이 인재를 기르는 것으로 구구하게 대답한 것은 또한 이 때문”이라는 것이다.

맞는 말이다. 무릇 인재를 선발하는 데 있어서 완벽한 방법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기발한 시험 문제를 내고, 면접 문항을 다양화하고, 새로운 기법을 도입하더라도 여전히 아쉬운 점이 남을 것이다. 발견하지 못하거나 탈락시켜버리는 인재도 꾸준히 발생할 것이다. 물론 제도의 효용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인재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그리고 투명하게 선발하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해 줄 제도가 분명히 필요하다. 다만, 제도에만 매달리지 말라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그 제도를 남김없이 실현하고 제도의 취지를 온전히 구현할 수 있을지에 집중해야지 그저 제도 자체에 얽매이다 보면 만족스러운 제도는 영원히 만날 수 없게 된다.

또한 인재를 등용하는 제도는 먼저 인재가 있어야 의미가 있는 것이다. 공동체 내부에 인재가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리더부터 솔선수범해서 인재 육성을 위해 노력한다면 자연히 인재의 수가 많아질 것이다. 인재에게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기회가 제공되고 인재가 자신의 역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다면 인재는 끊임없이 배출될 것이다. 그리되면 자연히 인재 선발 제도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목이 ‘인재 선발’이 아닌 ‘인재 육성’에 강조점을 둔 이유다.

그런데 연산군은 폭군으로 유명한 임금이니 짐작했겠지만 이러한 이목의 건의를 듣고 느끼는 바가 없었던 것 같다. 불과 3년 후인 1498년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켜 선비들을 대거 참살했으니 말이다. 이목도 이때 참수형을 당했다. 인재 육성은커녕 인재의 싹을 꺾어버리고 인재가 숨도록 만들었으니 그의 치세가 잘될 리가 없었다.


김준태 성균관대 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akademie@skku.edu
필자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 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왕의경영』 『왕의 공부』 『탁월한 조정자들』 『다시는 신을 부르지 마옵소서』 등이 있다.
  • 김준태 | 성균관대 유학동양학과 초빙교수

    필자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 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왕의 경영』 『왕의 공부』 『탁월한 조정자들』 등이 있다.
    akademie@skku.edu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