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Human Resource

심리적 안전감만으론 적극적인 발언 보장 못해

김명희 | 321호 (2021년 05월 Issue 2)
014


Based on “Distinguishing voice and silence at work: Unique relationships with perceived impact, psychological safety, and burnout.”(2021) by Sherf, E. N., Parke, M. R., & Isaakyan S.. i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64(1): pp.114-148.

무엇을, 왜 연구했나?

최근 기업들이 심리적 안전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침묵(silence)’의 개념도 함께 주목받고 있다. 침묵은 조직이나 팀을 위험에 빠뜨리거나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정보, 제안, 생각, 질문, 우려 등을 책임자에게 의도적으로 말하지 않는 행위를 일컫는다. 문제를 발견했을 때 목소리를 내는 것이 비난이나 처벌로 이어지는 심리적으로 불안전한 조직 분위기 아래서 구성원들은 침묵을 선택한다. 반면 ‘발언(voice)’은 조직이나 팀의 성과를 향상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업무 관련 아이디어, 제안, 우려, 의견 등을 적극적으로 표현해 문제 해결이나 혁신 창출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행위를 뜻한다.

침묵과 발언 간의 개념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침묵이 줄어드는 것’과 ‘발언이 증가하는 것’을 동일한 것으로 간주해왔다. 하지만 단순히 아이디어가 부족해서 입을 다물고 있는 경우, 평소에는 적극적으로 발언하지만 일부 이슈에 대해서는 침묵을 지키는 경우 등 예외적인 상황들도 있어 둘을 서로 다른 독립적인 개념으로 다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침묵과 발언 두 가지 모두 사람들이 부정적인 업무 환경을 바꾸기 위해 사용하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우려나 하고 싶은 말을 자주 억제하는 것은 소진(계속되는 직무 관련 스트레스로부터 발생하는 부정적인 심리 경험)이나 태업과 같은 부정적인 경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동시에 발언을 많이 하는 것이 이러한 부정적 경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는 사실도 함께 밝혀졌다.

침묵과 발언이 조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두 개념은 혼용돼 사용돼 왔고, 기존의 실증 연구들은 개념적 모호성과 연구방법론적 한계로 인해 명확한 답을 주지 못했다. 이에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펜실베이니아대, 네덜란드 에라스뮈스대 공동 연구진은 ‘침묵 감소’와 ‘발언 증가’가 서로 연결된 개념이 아니라는, 즉 발언과 침묵이 서로 다른 독립적인 개념이라는 점을 증명하기 위해 핵심 이론으로 ‘행동활성화 체계(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와 ‘행동억제 체계(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를 사용해 억제된 행동적 반응인 침묵과 활성화된 행동적 반응인 발언의 심리적 기제 차이를 설명하고자 했다. 또한 발언과 침묵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 어떻게 서로 다른 방식으로 촉발돼 어떤 다른 결과를 야기하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자신의 행동이 바람직한 기회나 보상으로 연결될 것이라는 인식인 ‘인지된 영향력’과 ‘심리적 안전감’을 선행 요인으로, 번아웃을 결과 변수로 사용했다.

가입하면 무료

  • 김명희cavabien1202@icloud.com

    인피니티코칭 대표

    필자는 독일 뮌헨대에서 심리학을 전공했고 동 대학원에서 조직심리학 석사, 고려대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했다. 고려대, 삼성경제연구소,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강의와 연구 업무를 수행했다. 주요 연구 및 관심 분야는 코칭 리더십, 정서 지능, 성장 마인드세트, 커뮤니케이션, 다양성 관리, 조직 변화 등이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