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가평군의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편집자주
이 기사의 제작에는 미래전략연구소 인턴연구원 이수정(23·한국외대 법학과 4학년) 씨가 참여했습니다.
2003년, 외국의 유명 재즈페스티벌을 소개한 인재진 공연기획자(현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총감독)의 강의가 끝나자 한 남성이 그를 찾아왔다. 그는 인 감독의 강의에 깊은 감명과 아이디어를 얻었다면서 인 감독에게 가평군 방문을 요청했다. 인 감독을 찾아온 사람은 지역발전방안의 하나로 축제를 고민하고 있던 이문교 가평군 문화관광과 직원이었다. 이 씨는 인 감독에게 가평의 지리적 장점과 천혜의 자연경관을 자랑하며 가평을 한국의 새로운 재즈페스티벌 명소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에도 내세울 만한 재즈페스티벌을 만들고 싶었던 인 감독은 그와 뜻을 같이하고 가평을 찾았다. 가평군 관계자들과 군 내 여러 군데를 다니며 재즈페스티벌을 열 수 있을 만한 장소들을 물색했지만 무릎을 칠 만큼 딱히 마음에 드는 장소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서로가 지쳐갈 무렵 가평군 관계자들은 ‘여기는 그냥 한번 보세요’라며 마지막으로 한 곳을 소개했다. 그곳이 바로 자라섬이었다. 후보지로 생각했던 곳들이 다 퇴짜를 맞으니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보여준 곳이었다. 자라섬은 비만 오면 물에 잠겨 쓸모 없는 땅으로 여겨지던 장소였다. 지역 주민조차 척박한 섬으로 생각해서 잘 가지 않았다. 인 감독 역시 허허벌판인 자라섬이 첫눈에는 딱 마음에 들지 않았다. 하지만 자라섬을 찬찬히 둘러보던 그에게 갑자기 오래 전에 가봤던 영국의 음악 페스티벌이 떠올랐다. 규모는 작았지만 운치가 남달라 감동을 받았던 축제였다. 이때의 추억과 느낌이 문득 자라섬과 오버랩되면서 한번 해볼 만하겠다는 생각을 갖게 했다. 황무지나 다름없던 자라섬에서 국제재즈페스티벌이 열리게 된 스토리다.
2004년 9월, 처음으로 시작한 자라섬 국제재즈페스티벌에 대해 초창기 외부 시각은 상당히 부정적이었다. 지역 주민들조차 ‘가평과 재즈가 어울리냐?’ ‘비만 오면 잠기는 자라섬에서 어떻게 축제를 하냐?’는 식의 의견이 대다수였다. 하지만 올해 8회를 맞이한 자라섬 국제재즈페스티벌은 한 해 관객이 18만 명을 훌쩍 넘는 아시아 최대 음악축제로 성장했다. 자라섬은 물론 가평이라는 브랜드 가치를 높였고 약 255억 원의 경제적 효과(2010년 기준, 직접유입액 102억 원, 생산·소득·고용유발효과 153억 원)를 거뒀다. 또 자라섬 국제재즈페스티벌의 성공을 발판으로 2008년에는 국제캠핑대회를 개최하는 등 캠핑지로의 변신에도 성공해 사계절 휴양지로도 사랑받고 있다.
올해10월 1~3일 경기 가평군 자라섬에서 열린 '제8회 자라섬 국제재즈페스티벌' 공연모습. 3일간 18만8000명이 자라섬을 찾았다.
황무지에서 한 번은 꼭 가보고 싶은 재즈의 섬으로 변신한 자라섬의 성공 요인을 노용호 가평군 에코피아추진단 관광전문위원(관광학 박사), 김이겸 가평군청 생태레저사업소 축제업무 총괄, 안동석 생태레저사업소 관리담당, 김진희 가평군 기획감사실 주사, 김사희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교육기획팀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집중 분석했다.
불모지에 재즈의 선율이 흐르다
경기도 가평은 서울과 춘천을 연결하는 경기도 동북부의 관문이다. 북한강을 안고 산으로 둘러싸인 수려한 자연경관을 뽐낸다. 가평역에서 도보로 15분 거리에 위치한 자라섬은 면적 65만7900㎡(19만9014평)로 자라처럼 생긴 자라목이 바라보고 있는 섬이라 하여 지금과 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자라섬이라는 이름이 있기 전에 가평 사람들은 이 섬을 중국섬이라고 불렀다. 중국인들이 이 섬에서 농사를 지었기 때문이다. 비만 오면 잠기는 자라섬에는 낚시꾼을 제외하고는 찾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수도권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가평은 지리적 이점에도 불구하고 외부에 내세울 만한 규모 있고 특색 있는 축제가 없어서 고민을 해왔다. 2003년 인재진 감독과의 만남을 계기로 2004년부터 국제재즈페스티벌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황무지나 다름 없던 자라섬에서 재즈라는 생소한 장르로 축제를 여는 것이 부담스러웠지만 가평군은 ‘일단 해보자’라는 생각으로 첫 페스티벌을 준비했다. 1회 때는 잔디를 심는 것이 시간적으로 촉박해서 급한 대로 호밀을 심어 싹이 파랗게 올라온 상태에서 첫 축제를 치렀다. 축제 콘텐츠는 인 감독이 이끄는 재즈페스티벌 사무국이 열심히 뛰어 국내에서 쉽게 만날 수 없는 재즈뮤지션 12팀을 포함해 170여 명의 아티스트들을 초청했다. 홍보 예산도 부족해 KTF 통신사와 손잡고 문자메시지와 e메일 등으로 축제를 알렸다.
2004년 9월10일, 1회 페스티벌이 열렸다. 그런데 그토록 걱정하던 폭우가 내려 물이 발목까지 차고 아티스트를 태운 차가 빠져 견인차를 부르고 음향 콘솔이 물에 잠기는 등의 크고 작은 사고가 이어졌다. 결국 이튿날 공연은 전부 취소됐고 불모지에서의 재즈 페스티벌이라는 모험을 했던 가평군과 재즈페스티벌 사무국은 초조한 마음으로 마지막 날 공연을 지켜봤다. 폭우 속에서도 진행된 일요일 공연에서 그들은 자라섬의 미래를 봤다. 무려 3000여 명의 관객이 운집했던 것이다. 관객들은 빗속에 몸을 맡기고 재즈 선율에 빠져들었다. 공연이 절정에 이르자 비와 관객들은 하나가 돼 군무를 했다. 해외 각지에서 온 유명 아티스트들은 한국의 열정적인 관객들에게 매료돼 악천후 속에서도 끝까지 공연했다.
이후 제2회 페스티벌에는 약 7만여 명, 제3회와 제4회 페스티벌에는 각각 약 10만여 명 등 관객들은 해마다 늘어 올해는 18만8000여 명이 자라섬을 찾았다. 특히 이번 8회 축제 때는 1일권 3만5000원, 2일권 5만5000원, 3일권 7만원짜리 입장료가 5억 원어치나 팔렸다. 자라섬 국제재즈페스티벌은 우수한 축제 내용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여도를 인정받아 2008년도 경기도 지정 ‘도내 최우수 축제’에 선정됐고 2009년과 2010년 연속으로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한 ‘대한민국 유망축제’로 뽑혔다.
지원은 하되 간섭은 없다
가평군청과 약 100여m 떨어진 곳에 자라섬재즈센터가 위치해 있다. 센터 근처에 가면 스피커를 통해 감미로운 재즈 선율이 흘러나온다. 이곳은 원래 가평 읍사무소가 있던 자리였다. 읍사무소가 터미널이 있는 곳으로 이전하면서 비어 있는 공간을 리모델링해 재즈센터가 들어선 것이다. 1층에는 자라섬과 관련한 업무를 총괄하는 가평군청 공무원들이 근무하고 있고 2층에는 인재진 감독이 이끄는 재즈센터 사무국이 있다. 이 공간은 가평군이 원활한 축제 준비를 위해 사무국에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사무국 사람들과 군청 공무원들은 같은 건물 1, 2층을 쓰면서 수시로 만나 축제를 협의한다.
가평군은 인재진 감독과 손을 잡고 재즈페스티벌을 진행하면서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는 자세로 일했다. 공연이나 매표, 홍보나 행사 진행 등 페스티벌 자체에 관련된 업무는 사무국이 담당하고 교통이나 주차, 셔틀버스나 지역안내, 시설 등 지원업무는 군청이 담당하는 정확한 역할 분담하에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김사희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교육기획팀장은 “재즈페스티벌 콘텐츠의 경우는 가평군에서 사무국을 전적으로 신뢰해 누구를 초청할 것인지 등에 대해 간섭이 전혀 없다”며 “재즈센터 소속 직원 10여 명이 가평에 상주하면서 축제 담당 공무원들과 함께 1년 내내 축제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