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MZ세대의 팀워크 기피증

모든 업무가 ‘배움’의 기회 될 수 있게…
학습 지향성에 팀 성과와 미래 달려

박귀현,정리=장재웅 | 403호 (2024년 10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젊은 세대들은 대체로 팀워크를 기피한다. 형식적인 절차상 팀워크로 인해 시간 낭비, 에너지 낭비를 경험한 후 팀워크에 노력을 낭비하느니 노력-보상의 연결 관계가 확실한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치중하고 팀워크는 피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런 팀워크 기피증의 가장 큰 원인은 개인의 목표와 팀의 목표가 합치되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팀원들의 개인 목표와 팀 목표와의 관계를 팀원이 제대로 인지하고 있을 때 성공적으로 팀의 목표를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 지향성’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팀워크 과정에서 개인 목표와 팀 목표에 대해 적극적으로 열린 토론을 하는 학습 지향적 팀이 더 효과적인 팀 협력 과정을 이끌어낼 수 있다.



GettyImages-1342228852


일을 하기 위한 태초의 도구, ‘팀’


2000년대 이후 생긴 가장 큰 기업문화의 변화는 바로 ‘팀워크의 부활’이다. 왜 부활일까? 인간은 원래 수렵·채집 시대부터 부족 내에 크고 작은 팀을 짜서 일을 해왔다. 잠시 산업혁명을 거치며 주춤하기도 했지만 2000년대 이후 다시 그 본래의 일의 형태로 돌아왔기 때문에 부활이라고 할 수 있다.1 인간은 혼자 있을 때보다 집단으로 모여서 일을 하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적어지고 더 행복하며 더 큰 힘을 내는 특징이 있다는 사실을 심리학자들은 밝혀왔다.2 호랑이를 피해 산을 넘어 가는 일도, 커다란 순록을 잡아 오는 일도,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아 나서는 일도 혼자가 아닌 팀을 이뤄 협력한다면 성공할 확률이 높았다. 불과 100년 전까지만 해도 노동요를 부르며 박자를 맞춰서 팀 중심으로 농사일을 해냈던 우리 인간들에게 팀워크(Teamwork)가 아닌 워크(Work)는 심리적으로 상당히 생소하고 건조한 일의 형태다.

산업혁명 이후로 제조업 중심의 기업들이 성장했고 이런 환경에서 직원들은 기계 앞에 온종일 단순노동을 하며 개인 수당을 벌었다. 관리자는 명령을 내리고 그것에 따르는지 체크하는 일을 맡았다. 직원들은 비슷한 업무를 하는 동료들과 같은 공간에서 일했지만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 모든 시간을 개인 작업에만 집중하도록 강요받았다. 심지어는 업무 중 대화를 금지하는 경우도 흔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팀워크가 가지는 잠재력은 아주 강력해서 팀워크를 잘 사용하는 기업이 다른 기업에 비해 성공할 수 있다는 사실만은 변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필자가 경영학도였던 1990년대 후반에는 거의 모든 북미 경영학 교과서가 일본의 자동차 제조회사들이 어떻게 팀워크를 이용해서 더 완벽한 자동차를 만들 뿐 아니라 직원들의 일에 대한 몰입감을 높였는지에 대해 찬사를 보내며 자세히 기술하고 있었다. 또한 국제학을 가르치는 교수는 팀을 이용한 일본 기업의 경제적 성공이 그들이 가지고 있는 탄탄한 집단주의 문화에 있다고 보고 보통의 일본인들이 평생 동안 가족집단, 학교집단, 직장집단 등을 옮겨가며 생활하는 삶을 조명한 다큐멘터리를 수업 시간에 틀어 주기도 했다.

그렇다면 오늘날의 기업 환경은 어떠한가? 최근 많은 기업이 프로젝트 팀을 중심으로 여러 사람이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일을 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기업의 생존과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예상치 못하게 변화하는 환경에 더 민첩하고 적절하게 대응해야 하고 그때그때 적절한 직원들을 끌어모아 만들어 쓸 수 있는 ‘팀’ 중심 일 처리가 유리하다는 것을 깨닫은 것이다. 조직 안에서 팀 단위로 다양한 일을 수행하는 만큼 팀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인적자원을 담아내고 활용하는 기본적인 틀로 인식되고 있다. 미국의 사회·조직심리학자인 벌린 힌즈 노스다코다주립대 교수가 그의 논문에서 ‘팀은 인간이 인간을 사용하는 도구, 살아 있는 시스템’ 이라고 밝혔듯이 말이다.3

가입하면 무료

  • 박귀현parkguih@gmail.com

    호주국립대 경영학과 교수

    박귀현 교수는 조직심리학자로 산업 및 조직심리학과 조직행동을 연구하고 있다. 미국 미시간주립대에서 경영학과 심리학을 전공했고 동 대학에서 산업조직심리학으로 석사학위를, 조직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싱가포르경영대를 거쳐 현재 호주국립대 경영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집단의 힘』이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정리=장재웅

    정리=장재웅jwoong04@donga.com

    동아일보 기자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