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시대변화에 따른 브랜드편익 가중치 변화

200호 (2016년 5월 lssue 1)

여준상 여준상
여준상
- (현)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marnia@dgu.edu
시대변화에 따른 브랜드편익 가중치 변화

고성장 시대에는 브랜드 가치 중 나를 알리고 남들에게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이미지 편익’에 소비자들이 높은 가치를 뒀다. 하지만 저성장 시대에는 브랜드를 통해 기능적 만족을 얻는 ‘성능 편익’으로 가중치가 옮겨갔다. 저성장 시대에는 이미지 편익의 인플레이션이 꺼지면서 브랜드로부터 얻는 편익이 감소할 개연성이 있다.

이런 개연성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편익의 거품이 꺼져 총 편익이 감소하더라도 다른 편익을 증가시켜 총 편익을 회복시키는 전략을 쓸 수 있다. 또 ‘실용성을 겸비한 양면적 프리미엄 브랜딩’을 시도할 수도 있다. 럭셔리의 핵심 가치인 미(美)를 살리면서도 품질과 성능을 강화해 소비자 스스로 ‘가치소비’를 했다고 여길 수 있게 하는 것이 솔루션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