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표 2] 보스턴 레스삭스의 시즌별 승수

158호 (2014년 8월 Issue 1)

이현우
- 야구 칼럼니스트
- 메이저리그 전문 커뮤니티 MLBNATION 운영
- 네이버 라디오 MLB 관련 프로그램 패널, 방송 편집 담당
유효상
- 숙명여대 경영전문대학원 교수
- <론스타, 그 불편한 진실>, <시몬느 스토리> 저자
- 삼성물산 인력개발 팀장
- 동양글로벌(주) 기획실장
- 일진 창업투자(주) 대표이사
- 인터벤처(주) 대표이사
[표 2] 보스턴 레스삭스의 시즌별 승수

보스턴 레드삭스는 무려 86년 동안 이어온 ‘밤비노의 저주’를 깬 뒤 또 다른 ‘저주’에 시달려야 했다. 바로 자만감이다. 밤비노의 저주를 깬 선수들은 기강이 해이해졌다. 팀의 리더가 돼야 할 고참 선수들이 거짓말을 하고 경기에서 빠지거나 경기 도중 라커룸에 들어가서 치킨과 맥주를 먹기도 했다. 공정하지 않아 보이는 연봉 격차도 선수들의 사기를 떨어뜨렸다.

선수들은 사분오열했고 당연히 팀의 성적도 뚝 떨어졌다. 레드삭스는 해이해진 선수들의 기강을 바로 잡을 새 감독으로 권위적인 바비 밸런타인을 선택했다. 하지만 밸런타인 감독은 구단 수뇌부의 악수(惡手)였다. 그는 오히려 선수들과 불협화음을 일으켰다. 구단은 이후 선수들과 잘 융합하고 사기를 끌어올릴 수 있는 존 패럴 감독을 영입했다.

‘인격자’ 벤 셰링턴 단장도 서서히 자신의 색깔을 내기 시작했다. 2013년 4월 보스턴 테러가 발생하자 선수들은 시민에게 용기를 주기 위해 뭉치기 시작했다. 또 선수들도 서로 격려하면서 팀의 성공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레드삭스는 ‘스타’ 선수가 거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팀의 사기가 한껏 높아져 2013 시즌에서 월드시리즈 우승을 일궈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