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그림1] 삼성식 경쟁적 협력 구조

135호 (2013년 8월 Issue 2)

송재용
- (현)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
- 컬럼비아대 교수
- 연세대 교수
[그림1] 삼성식 경쟁적 협력 구조

‘선단식 경영’을 추구했던 한국형 복합 기업집단 ‘재벌’은 외환위기를 전후해 때론 해체까지 겪을 정도로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삼성은 지속적으로 높은 성과를 내면서 전문 분야 특화 기업들과의 경쟁에서도 승리해 각 영역에서 1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삼성 웨이’의 성공 동력은 바로 ‘경쟁적 협력’이다. 경쟁적 협력이 성공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소유경영체제에 기반한 강력한 리더십과 미래전략실의 막강한 권한은 경쟁과 협력의 구심점이 됐다.
2)복합사업구조로 인해 가치창출을 위한 사업 간 협력과 가치배분에서 사업 간 경쟁이 가능했다.
3)엄정한 내부상대평가와 보상이 치열한 내부경쟁과 협력을 유발하고 있다.
4)내부거래에 시장메커니즘을 도입하고 듀얼소싱 시스템을 구축해 계열사 간 의존성을 없앴다.
5)동일 사업에 대한 병행투자로 경쟁을 자극하고 개발속도를 높였다.
6)상시적 사업구조조정을 통해 위기감을 고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