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그림2] 의학 분야의 혁신 과정 개방

130호 (2013년 6월 Issue 1)

케빈 J. 부드로 (Kevin J. Boudreau) 케빈 J. 부드로 (Kevin J. Boudreau)
케빈 J. 부드로 (Kevin J. Boudreau)
케빈 J. 부드로 (Kevin J. Boudreau)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런던 경영대학원(London Business School) 전략/기업가 정신 조교수
- 하버드대(Harvard University) 양적 사회과학 연구소(Institute for Quantitative Social Science) 연구위원
에바 귀난(Eva Guinan) 에바 귀난(Eva Guinan)
에바 귀난(Eva Guinan)
에바 귀난(Eva Guinan)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하버드 캐털리스트 혁신 실행 프로그램 공동 책임자
- 하버드 의대 및 다나-파버 암 연구소(Dana-Farber Cancer Institute) 방사선 종양학 부교수
카림 R. 라카니
- 하버드 경영대학원(Harvard Business School) 럼리가(Lumry Family) 경영학 부교수 겸 나사 토너먼트 랩(NASA Tournament Lab)의 수석 연구원
[그림2] 의학 분야의 혁신 과정 개방

질문
저명한 연구 조직에 개방형 혁신의 개념을 적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연구를 통해 얻은 해답
- 개방형 혁신 과정이 도입되자 보편적인 연구비 검토 과정을 적용했더라면 관심을 끌지 못했을 만한 제안에 연구비가 할당됐다.

- 연구자들이 다양한 학문 분야가 참여하는 공동 연구를 원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기존의 혁신 과정을 완전히 대체하는 방법보다 기존의 혁신 프로젝트에 개방적인 요소를 추가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