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소매업의 수익 구조

72호 (2011년 1월 Issue 1)

김한얼 김한얼
김한얼
가천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필자는 고려대에서 경영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교수, KDI국제정책대학원 교수, 홍익대 교수 등을 역임했다. 주 연구 분야는 혁신 전략 및 신사업 개발 전략이다.
hk3624@gmail.com
소매업의 수익 구조

<표1>는 각기 다른 형태의 소매업 간의 수익모델을 보여준다. 백화점은 다른 형태의 소매업에 비해 매장의 위치, 판매하는 제품의 종류, 부대시설의 구비 등에 투입해야 하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평균 마진율을 40% 정도로 책정해야 적정 수준의 이익을 낼 수 있다. 하지만 온라인 유통업은 평균 마진율을 5% 정도만 책정해도 재고회전율이 높기 때문에 재고투자에 들어간 자본에 대한 수익률은 백화점과 유사한 수준을 달성할 수 있다.

기업들은 종종 수익모델을 평균마진율 중심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평균마진율은 복잡다단한 기업활동의 성과를 잘 요약해서 보여주는 지표로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때로는 평균마진율이 비즈니스 모델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적절한 성과기준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