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트렌드 ON AIR

K팝은 어떻게 세계 무대에서
성공할 수 있었을까?

김성일, 지희수 | 2025.03.31
‘로제 '아파트' 빌보드 글로벌 차트 정상'

‘한강, 대한민국·아시아 여성 최초노벨문학상 수상’

‘<기생충>, 칸·오스카 동시 석권’

‘방탄소년단, 빌보드 메인차트 1위 달성’

‘<오징어 게임> 에미상 6관왕 영예’

브랜더쿠_K팝_1

로제 싱글 뮤직비디오 썸네일. 출처 : 해당 MV

K컬처가 글로벌 현상이자 세계적인 브랜드로 떠올랐다. 날마다 새로운 소식이 올라오고 이야깃거리가 넘친다. 숨 가쁘게 돌아갈 정도라 불과 1년 전의 통계나 뉴스를 인용하더라도 금세 철 지난 내용이 되기 쉽다. K컬처의 인기를 한국인만 체감하지 못한다는 우스갯소리도 나온다.

특히 K컬처 붐을 앞장서 이끈 건 대중문화의 3대 장르로 일컬어지는 음악, 영화, 드라마다. 브랜더쿠가 그중에서도 가장 뜨거운 한국 K팝의 변천 과정과 인기 배경에 대해 도서 <K컬처, 삶을 말하다>와 함께 짚어봤다. K팝을 좋아하는 ‘덕후’이든 아니든 누구나 흥미로울 것이다.


대중가요부터 K팝까지

전통 음악과 서구, 일본 등의 영향을 받아 왜색을 띤 가요, 일명 ‘뽕짝’에 가까웠던 대중가요의 시기를 지나, K팝의 원형은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중반에 출현했다. 한국 사회의 질적 전환과 함께 음악 산업이 재편되면서, 모방 단계를 넘어 ‘자기 음악’을 창출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뤄진 덕이다. 이 시기 즈음부터 미국과 일본의 팝 의존에서 벗어나 점차 현대적인 감각 위에 K의 느낌이 담긴 ‘한국 팝’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필자 김성일, 지희수 | 사진출처 YouTube ‘ROSÉ’·방탄소년단 공식 페이스북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