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Editor’s Letter

호모 루덴스와 ‘Here and Now’

김현진 | 310호 (2020년 12월 Issue 1)

공연예술 발달사에 있어 혁신적인 변곡점으로 꼽히는 사건은 실내 극장의 출현입니다. 르네상스 시대였던 이때부터 공연은 상업화의 길을 걷게 됩니다. 이를 기반으로 16세기 후반, 영국에서 상업 극장들이 본격적으로 출범하고, 이곳에서 꽃피워진 연극 예술이 셰익스피어와 같은 대문호를 탄생시키는 선순환 구조를 낳았습니다. 이처럼 콘텐츠를 만들고 연기하는 아티스트는 이를 기꺼이 감상하는 관객과 호흡하며 공연예술이란 인류 공통의 보고를 차곡차곡 채워왔습니다.

극장과 무대라는 공연예술의 하드웨어는 예술과 관객이 같은 물리적 시공간에 존재함으로써 완성되기에 ‘지금, 이곳(Here and Now)’의 정신을 기반으로 합니다. 하지만 ‘Here and Now’ 정신은 사회적 거리 두기를 공익 캠페인의 대표 캐치프레이즈로 받아들이게 된 팬데믹 시대와는 상극입니다. 따라서 대극장 공연만 놓고 봐도 객석 점유율이 70% 안팎은 돼야 손익분기점을 맞출 수 있는 국내 공연계에서 관람객 수를 제한해야 하는 코로나는 재앙과 같은 존재가 됐습니다.

확산세가 더 심했던 일부 다른 국가의 공연예술계 역시 힘든 한 해를 보냈습니다. 절박함은 혁신적인 아이디어의 모태가 돼 신박한 아이디어들을 탄생시켰고 이것이 웃픈(웃기지만 슬픈) 현실의 기록으로 남게 됐습니다. 미국의 인디 록밴드 ‘플레이밍 립스’가 오클라호마에서 올 10월 연 ‘1인 1풍선’ 콘서트가 그 예가 아닐까 합니다. 이들은 밴드는 물론 관객들까지 공기가 가득 주입된 대형 풍선 한 개에 한 명씩 들어가 비말을 통한 감염 우려 없이 맘껏 소리 지르고 발을 구르며 온전히 공연을 즐겼습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