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낙양에서 북경까지

전염병만큼 무서운 ‘미움의 물결’

안동섭 | 298호 (2020년 6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조선시대엔 열대성 풍토병을 장(瘴)병이라 불렀다. 장병이란 용어는 중국에서 유래했는데 대략 위진(魏晉, 220∼589) 시기를 즈음해 생긴 말로 추측된다. 이후 중국 문헌을 보면 장병이란 단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양쯔강 하류지역, 곧 강남(江南)지역으로 대거 이주가 시작되면서 북방인들이 풍토병으로 고생을 한 것이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장(瘴)이라는 질병은 한족 중국인의 활동무대가 남쪽으로 내려갈 때마다 함께 남쪽으로 이동했는데 그래서 새롭게 한족 문화에 편입된 지역은 장병 유행 지역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썼다. 그러다 해당 지역이 한족 문화에 익숙해지고 이 지역에서 과거 시험 합격자들을 많이 배출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이 지역은 장병 유행 지역이라는 오명을 새롭게 한족 문화권에 포함된 지역에 넘겨주게 된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전염병에 관한 담론은 과학적이라기보다는 인종주의(racist)적인 색채가 있었다는 것이다.


편집자주
인간사에는 늘 반복되는 패턴이 나타납니다. 우리가 역사에서 교훈을 얻는다 함은 바로 그 패턴 속에서 현재의 우리를 제대로 돌아보고 조금은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의미일 겁니다. 철학과 역사학을 오가며 중국에 대해 깊게 연구하고 있는 필자가 주(周)나라가 낙양을 건설한 후로 현대 중국이 베이징에 도읍하기까지 3000년 역사 속에서 읽고 생각할 만한 거리를 찾아서 서술합니다.

128


전설적인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宮﨑駿, 1941∼)의 초기 대표작인 ‘바람계곡의 나우시카(風の谷のナウシカ, 1984)’는 오염된 세계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이다. 거대한 곰팡이가 끝없이 자라나 숲을 이루고 유독한 공기를 내뿜는데 그 독성이 어찌나 강한지 사람이 이 독기를 5분 이상 흡입하면 그대로 죽고 만다. 하나같이 마스크를 끼고 눈에 보이지 않는 독기와 싸우는 모습이 꼭 오늘날의 세계를 내다보기라도 한 듯하다. 그런데 원작에서 ‘쇼우키(瘴氣)’라고 부르는 이 오염된 공기를 우리말 자막은 ‘장기(瘴氣)’가 아니라 ‘독기(毒氣)’라고 옮긴다. 현대 한국인에게 너무 낯선 표현이라 의역을 거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인데 사실 장기(瘴氣)는 조선시대 문헌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말이다. 18세기 말의 기록을 한번 보자.

영의정 서명선(徐命善)이 아뢰기를, “제주 목사 엄사만(嚴思晩)이 해를 넘기도록 장독(瘴毒)이 있는 바닷가에서 지내 병세가 위중해졌다고 누차 사장(辭狀)을 올렸습니다. 개차(改差: 교체하다)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여, 그대로 따랐다.

『일성록』 정조 8년 (1784) 11월3일

조선사람들은 바닷가와 같은 습한 곳, 특히 덥고 습한 곳에서 장(瘴)이라고 하는 특별한 기운이 올라온다고 생각했다. 5분 만에 죽지는 않지만 일단 이 기운에 노출되고 나면 점차 쇠약해지다가 끝내는 죽고 만다. 장(瘴)병이 온난다습한 기후로부터 생긴다는 점과 역사상 장병이 유행했던 지역이 대체로 오늘날 말라리아 유행 지역과 중첩된다는 점 때문에 몇몇 의료사 연구자는 장병이 곧 말라리아였다고 주장한다. 온난다습한 지역에서 모기가 번창할 확률이 높고 그렇다면 동시에 말라리아에 감염될 확률도 높을 테니 이는 근거가 있는 주장이다. 서양에서도 말라리아 원충(原蟲) 발견 이전까지 물웅덩이 등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말라리아의 원인으로 지목했다(mal-aria를 직역하면 ‘나쁜 공기’다).

하지만 장(瘴)이 곧 말라리아였던 것은 아니다. 일제시대의 기록을 살펴보면 조선의 말라리아 유행 지역은 해안과 산간을 가리지 않았고, 남과 북을 가리지도 않았다. 모기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나 있었고, 함흥이나 원산처럼 추운 지역에도 있었다. 하지만 함흥이나 원산이 조선시대 때 장병 유행 지역이었다는 기록은 없다. 게다가 조선사람들은 말라리아를 장병과 구분해 학질(瘧疾)이라고 불렀다. 두 병이 구분됐던 만큼 장병을 곧바로 말라리아라고 한다면 옳지 않다. 그래서 신중한 학자들은 장병이란 말라리아를 필두로 한 열대성 풍토병에 대한 총칭(總稱)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많은 전통시대 병명이 그렇듯 장(瘴)병 역시 중국에서 처음 쓰인 말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를 펼쳐보자.

五月驅兵入不毛
오월에 병사 몰아 불모지에 들어가노라니
月明瀘水瘴煙高
밝은 달밤, 노수에는 장연(瘴煙) 높아라
誓將雄略酬三顧
웅대한 계책으로 삼고초려의
은혜 갚고자 맹세했으니
豈憚征蠻七縱勞
어찌 오랑캐(蠻)를 정벌하여 일곱번
놓아주는 수고를 꺼리랴

제갈량(諸葛亮, 181∼234)이 맹획(孟獲, 약 AD 3세기)을 몇 번째인가 놓아주고서 쓴 시다. 덥고 습한 윈난지방의 노수(瀘水)라는 강에서 피어오르는 물안개에 장기(瘴氣)가 섞여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는 물론 15세기의 작가 나관중(羅貫中)의 관점이다. 한(漢, BC206∼AD220)나라 즈음에 편찬된 사전인 『설문해자(說文解字)』에는 ‘장(瘴)’자가 없다. 삼국(三國)의 영웅들이 활약할 당시에는 없던 말이라는 뜻이다.

그러다가 위진(魏晉, 220∼589) 시기를 즈음해 이 글자가 처음으로 지면에 등장하는데 그 이유는 아마도 서진(西晉, 266∼316) 멸망 후 양쯔강 하류지역, 곧 강남(江南)지역으로 대거 이주한 북방인들이 해당 지역의 풍토병에 호되게 당한 뒤 그 병을 부를 말을 고안해냈기 때문일 것이다. 오늘날 강남지역은 상하이, 쑤저우, 항저우 등이 들어선 부유한 지역이지만 서진(西晉) 당시에는 미개발 늪지대에 불과했다. 늪지대가 있으면 모기가 있고, 모기가 있는 곳에 말라리아가 있다. 새로운 환경에 노출된 북방인들은 말라리아를 필두로 한 각종 수인성(水因性) 질병에 속수무책으로 쓰러졌을 것이고, 자신들의 이주에 걸림돌(障碍, 장애)이 된다는 뜻에서 이 병을 장(瘴)이라고 불렀던 것은 아닐까 추측해볼 수 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