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왕이 묻고 신하가 답하다: 중종-권벌

“끝까지 잘하려면 귀를 열어두어야”

김준태 | 297호 (2020년 5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리더가 초심을 잃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1507년 중종이 과거시험에서 한 질문이다. 이에 권벌은 “마음의 중심을 잡고 마음을 지켜야 하며, 잘못된 생각이 싹트기라도 하면 즉각 반성하고 고쳐야 한다”고 답한다. 권력에 취해 오만해지지 말고, 다른 사람의 직언을 일부러라도 경청해 스스로 반성하는 태도를 습관화하라는 조언이다.


‘시근종태 인지상정(始勤終怠 人之常情).’ 처음에는 근면하다가도 나중에는 게을러지는 것이 사람의 속성이라는 뜻이다. 누구나 그런 경험이 있을 것이다. 굳은 결심을 하고 시작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흐지부지해버렸던 일. 잘해보겠다며 의지를 불태웠지만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그만뒀던 일. 원인이야 다양하다. 나태함 때문일 수도 있고, 자만이나 욕심 때문일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초심이 흔들려버린 탓이다. ‘첫 마음’을 유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실패한 것이다.

1507년(중종 2년) 증광시(增廣試)1 에서 왕은 바로 이 문제를 물었다. “예전에 『시경』 ‘대아’편을 읽어봤는데 이런 구절이 있었다. ‘처음에는 착하지 않은 이가 없으나 끝까지 착한 이는 드물다.’ 임금이라면 누구나 처음부터 마칠 때까지 잘하고 싶을 터이다. 그러나 처음 시작은 잘했더라도 반드시 끝을 잘 맺는 것이 아니다. 그 까닭은 무엇인가?” 자, 내가 왕위에 올랐다고 상상해보자. 세상에서 가장 존엄한 자리이며, 국가와 백성에 대해 무한한 책임을 지는 위치다. 주어진 권력도 막강하다. 당연히 중압감이 크겠지만 포부 또한 남다를 것이다. 역사에 길이길이 이름을 남기는 성군(聖君)이 되겠다고 각오를 다질 것이다.

그러나 많은 군주가 처음의 이 다짐을 지키지 못했다. 폭군이나 무능한 군주는 거론할 필요도 없다. 똑똑한 군주들, 그래서 초반에는 훌륭한 업적을 이룬 사람들도 뒤로 갈수록 흐트러지고 무너지는 모습을 보였다. 중종은 다음과 같이 부연한다. “당 태종과 현종은 각각 정관(貞觀)과 개원(開元) 연간에 나라를 잘 다스려 칭송을 받았다. 그러나 태종은 점차 열 가지 폐단이 드러났고 현종은 천보(天寶)의 환란을 초래했다. 이는 도대체 무엇 때문인가?”2 당나라 태종과 현종은 역사에 ‘정관지치(貞觀之治)’, ‘개원지치(開元之治)’라고 기록되는 번영기를 이룩했다. 탁월한 지도력을 발휘했으며, 좋은 인재들을 대거 등용했고, 민생을 안정시켰다. 그런데 후반기에 가서는 여러 과오와 실책을 범했으며 현종 같은 경우에는 나라를 큰 혼란에 빠트렸다.3 왜 그렇게 돼버렸나는 물음이다.

140


이에 대해 권벌(權橃, 1478∼1548)4 이 쓴 답안지를 보자. 그는 이렇게 말한다. “공자께서 ‘붙잡으면 간직할 수 있으나 놓치면 없어지고, 시도 때도 없이 드나들어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는 것이 사람의 마음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사람마다 마음을 붙잡고 놓는 것이 한결같지 않지만 선과 악이 모두 여기서 갈립니다. 마음을 붙잡았기 때문에 시작을 잘할 수 있지만 그 마음을 잃어버리면 끝맺음을 잘할 수가 없습니다.”

권벌이 인용한 공자의 말은 『맹자』에 나오는데, 여기서 맹자는 놓쳐버린 마음을 잡으라는 뜻의 ‘구방심(求放心)’을 강조했다. 마음은 눈 깜짝할 사이에 놓아져 사방팔방으로 움직이니 항상 꼭 붙잡고 있어야 하고, 혹시라도 잃어버렸다면 반드시 찾아와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우리는 회의에 오롯이 집중하는가? 아니다. ‘오늘 점심에 뭐 먹지?’ ‘퇴근 후에 어디 갈까?’ ‘아, 오늘 카드 결제일인데’ 하는 생각들로 마음은 그야말로 종횡무진이다. 찰나의 순간에도 사념이 생기고, 그 사념의 대상은 멀고 가깝고의 거리를 가리지 않는다. 사소한 잡념들로만 끝난다면 그나마 다행이다. 마음이 중심을 잡지 못하고 이리저리 흔들리게 되면 올바르게 인식하고 판단하기가 어려워진다. 감정도 균형 있게 제어할 수가 없다.

또, 사람의 마음은 욕망의 영향을 받는다. 권벌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일찍이 순(舜)임금께서 우(禹)임금에게 양위하면서 ‘인심(人心)은 위태롭고 도심(道心)은 은미하다. 정성스럽고 한결같게 중도(中道)를 잡아야 한다’5 라고 당부하셨습니다. 인심은 사사로운 감정을 따르고 욕망을 좇기 쉬운 반면 공공의 도리를 추구하기 어렵습니다. 도심은 도리에 입각한 마음이지만 어두워지기 쉽고 밝히기는 어렵습니다.”

유학(儒學)에서는 인간의 마음을 인심과 도심, 두 가지로 구분해 부른다. 인간에게 두 개의 마음이 있다는 뜻이 아니다. 기질(氣質), 즉 신체의 영향을 받는 측면과 순수하고 선한 본성의 측면, 이렇게 양면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전자가 인심이고 후자가 도심인데, 도심은 선하지만 인심은 선할 수도 있고 악할 수도 있다. 인심은 욕구나 감정과 직결돼 있기 때문이다. 욕구를 다스리고 감정을 잘 제어하면 선하지만, 그렇지 못하면 악으로 흐르는 것이다.

철학 개념이라 다소 복잡한데, 쉽게 이런 식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인간의 내면에는 순수하고 선한 본성이 자리하고 있다. 동시에 인간은 희로애락(喜怒哀樂)과 같은 감정을 갖고 있으며 힘이나 명예, 재물, 편안함에 대한 욕망을 소유하고 있다. 식욕•성욕•수면욕 같은 원초적 욕구도 존재한다. 인간으로서 이런 감정, 욕망, 욕구가 없을 수 없고, 또 그것을 부정할 필요도 없지만, 이를 잘 다스려서 올바르게 작동하게 만들어야 한다. 게다가 인간의 욕망은 매우 강력해서 시도 때도 없이 마음을 위태롭게 만든다. 한번 욕망을 극복했다고 해서 끝이 아니다. 인간의 욕망은 언제고 싹트고 샘솟는 것이기 때문에 순임금의 말처럼 정성스럽고 한결같이 노력해 지금 이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도’인 ‘중도(中道)’를 향해 나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인간은 이내 욕망 앞에 패배하고 말 것이다. 당 태종과 현종의 실패도 결국은 이 욕망을 이기지 못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군주들은 애초부터 욕망에 물들기 좋은 환경에 놓여 있다. 사람의 마음에서 욕망보다 제어하기 어려운 것은 없다. 그래도 일반인들은 법이 무서워서, 혹은 자신의 처지가 따라주지 않아서 욕망이 시키는 대로 선뜻 행동하지 못한다. 욕심을 부리고 싶어도 내가 욕심을 부릴 만한 위치가 돼야 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군주들은 어떠한가? 막강한 권력을 소유하고 있고 법을 두려워할 필요도 없다. 마음만 먹으면 즐기고 누릴 것이 천지다. 그러니 나태해지고 제멋대로 행동하기 쉬워진다. 자만하고 아집을 부리게 될 가능성이 높다.

142


따라서 임금은 무엇보다 “마음의 중심을 잡고 마음을 지켜야 하며, 잘못된 생각이 싹트기라도 하면 즉각 반성하고 고쳐야 한다”는 것이 권벌의 생각이다. “편안할 때는 어려움을 생각하며, 작은 일도 소홀히 여기지 않아서 큰일을 이뤄야 한다.” 다만, 문제는 혼자 힘으로 마음을 다잡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누가 뭐라 하지 않아도 알아서 반성하고, 스스로 마음을 맑고 바르게 만드는 것은 군자나 성인(聖人)의 경지다. 대부분 사람은 성찰의 계기가 있어야 하고, 주위에서 자극을 줘야 한다. 권벌이 신하의 ‘간언’과 임금의 ‘경청’을 강조한 것은 그래서이다. 권벌은 “순임금은 과오를 범하지 않았는데도 백익(伯益)의 훈계에 귀 기울였고, 주 무왕은 위대한 업적을 이뤘어도 태공(太公, 강태공)이 바친 단서(丹書)6 를 소중히 여겼습니다”라고 했다. 실수나 잘못은 위태로울 때보다는 편안할 때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 마음을 놓고 방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소에도 다른 사람의 직언을 들으며 자신을 되돌아보고, 다른 사람의 간언을 일부러라도 들으며, 스스로 반성하는 태도를 습관화할 필요가 있다.

이는 편견을 극복하고 생각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임금은 혼자서 똑똑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사람의 의견과 생각을 모아 똑똑해지는 것이다. 임금 한 사람이 나라의 모든 일을 다 잘 알고, 모든 사무에 능통할 수는 없다. 반드시 다른 이들의 조언을 듣고 지혜를 빌려야 한다. 마찬가지로 임금의 생각이 항상 정답일 수는 없다. 보완해야 할 점도 있을 테고, 잘못 판단한 부분도 있을 것이다. 혹은 더 좋은 아이디어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임금은 언제나 귀를 열고 있어야 한다. 임금에게 경청은 미덕이 아니라 의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역사를 돌아보면 그러지 못한 군주들이 많았다. 권력에 취하면 욕심을 통제하지 못하고 오만해진다. 그나마 처음에는 경청하고자 노력했던 임금들도 점차 귀를 닫아버리는데, 모든 사람이 떠받들어주고 임금의 말이라면 예예 하며 복종하니 자신이 대단한 줄 착각하기 쉽다. 지위가 높다고 해서 지혜가 가장 뛰어난 것이 아닌데도 다른 사람들이 나보다 못하다고 여긴다. 그렇게 고집이 생기고 독단에 빠지면 문제가 발생해도 그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지 않는다. 일이 실패하면 다른 사람 탓을 한다. 일정한 성공을 거두고 업적을 이룬 군주일수록 증세는 더욱 심각해진다. 내 경험을 과신하다 보니 다른 사람의 말을 듣지 않는 것이다. 태종과 현종이 그랬던 것처럼 말이다.

임금의 입장에서 설명하긴 했지만 이는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교훈이다. 첫 출근을 할 때,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이때부터 게으른 사람은 없다. 남들이 놀랄 만큼 잘해보겠다고, 꼭 성공하고 좋은 결과를 거두겠다고 마음먹는다. 그러다 점차 타성에 젖어 들고 편안함을 추구하면서 드높았던 초심은 어디론가 사라져버리는 것이다. 서두에서 소개한 ‘시근종태 인지상정’이라는 말, 오늘의 우리도 전혀 다르지 않다. ‘작심삼일(作心三日)’이란 말도 누구에게나 익숙하지 않은가? 이렇게 흐트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회사에서는 성과급을 주고 승진과 연봉 인상으로 동기를 부여한다. 징계 절차를 마련해 긴장을 유지시킨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내 마음의 방종을 막기 어렵다. 마음을 한결같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일매일 성찰하고 반성하는 노력과 다른 사람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경청이 병행돼야 한다. 그런 하루하루가 쌓여야 비로소 ‘처음의 시작도 잘하고 끝맺음도 잘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소개 김준태 성균관대 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akademie@skku.edu
필자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 『군주의 조건』 『탁월한 조정자들』 『논어와 조선왕조실록』『다시는 신을 부르지 마옵소서』 등이 있다.
  • 김준태 | 성균관대 유학동양학과 초빙교수

    필자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 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왕의 경영』 『왕의 공부』 『탁월한 조정자들』 등이 있다.
    akademie@skku.edu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