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격변기의 국가 경영

17세기 조선을 상징하는 ‘2가지 리더십’

김준태 | 374호 (2023년 08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17세기는 한국사를 대표하는 격변기였다. 혼란과 불확실성이 극도에 다다랐고 대내외적으로 크고 작은 도전이 계속됐다. 국가의 존립 자체가 위태로웠던 시간도 있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17세기는 크게 관심을 받지 못했다. 어떻게 우리는 17세기를 무난한 시대로 기억하고 있는 것일까? 그것은 왕을 위시한 민관이 합심해 필사적으로 버텨냈기 때문이다. 특히 광해군이나 숙종처럼 갈등과 분열을 조장해 혼란을 야기한 왕도 있었지만 효종이나 현종처럼 화합과 공존의 리더십을 발휘해 나라의 큰 위기를 막은 왕도 있었다.



편집자주

김준태 교수가 조선의 격변기였던 17세기, 조정의 리더십 분석을 통해 현대의 지도자들에게 교훈을 주는 새 코너 ‘격변기의 국가 경영’를 연재합니다.



20230724_113813



왜 17세기인가?

조선의 역사에서 17세기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했다. 성군 세종대왕이 등장하고 조선왕조의 기틀이 세워진 15세기, 사화(士禍)가 연이어 벌어지고 임진왜란으로 온 나라가 전란에 휩싸인 16세기, 영조와 정조가 조선의 르네상스를 이끌었던 18세기, 국가가 쇠락해가며 망국으로 이어진 19세기 사이에서 17세기는 평범했던 시대로 기억된다. 사람들이 떠올리는 사건이나 인물이 있다면 병자호란과 장희빈 정도랄까? 그런데 17세기가 정말 무난했을까? 단언컨대 아니다. 17세기는 한국사를 대표하는 격변기였다. 혼란과 불확실성이 극도에 다다랐고, 대내외적으로 크고 작은 도전이 계속됐다. 국가의 존립 자체가 위태로웠던 시간도 있었다.

우선, 당시 조선은 각종 제도와 정책들이 시의성(時宜性)을 상실해가고 있었다. 건국한 지 200년이 흐르고 인구 증가 등 정책 환경이 변화하면서 폐단이 발생하고 시스템도 한계에 봉착한 것이다. 16세기 후반 율곡 이이(1536~1584)가 ‘경장(更張)’을 주장하며 사회 전 분야에 걸친 개혁을 추진하긴 했지만 뜻을 펼치지 못한 채 죽었고, 곧이어 임진왜란이 발발하면서 문제를 해결할 골든타임을 놓치고 말았다.

임진왜란은 경장을 지연시켰을 뿐만 아니라 조선 사회에 엄청난 충격을 줬다. 국토가 황폐해지고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국가 행정망이 붕괴했다. 특히 경작이 가능한 농경지는 임진왜란 직후 첫 양전(量田)1 이 실시된 1601년 기준, 30만 결로 줄어들었다. 조선 초기 세종 시대의 5분의 1에 불과한 수준이다.2 전후 복구 사업을 진행하고 민생을 안정시키려면 넉넉한 재원이 필요한데 국가 재정 수입이 급감해 버린 것이다. 국정을 정상적으로 운영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럴 때 통치자의 리더십이라도 제대로 발휘됐다면 좋았으련만 그러지도 못했다. 1608년 보위에 올라 15년간 조선을 다스린 광해군은 개혁 군주라는 평가와 폭군이라는 평가가 공존하는 인물이지만 최소한 국가 재정에 부담을 주고 백성을 힘들게 했음은 분명하다. 그는 재위 기간 내내 대규모 토목공사를 벌였는데 굳이 필요하지도 않은 인경궁(仁慶宮)3 , 자수궁(慈壽宮), 경덕궁(慶德宮)을 건설하며 재정을 낭비하고 백성에게 불필요한 노역을 부과해 고통을 줬다. 그뿐만이 아니다. 광해군은 어머니를 폐하고 동생을 죽이는 ‘폐모살제(廢母殺弟)’4 의 패륜을 저질렀다. 유교 국가인 조선에서 왕이 나라의 핵심 가치를 무너뜨린 것이다. 이는 ‘인조반정(仁祖反正)’의 주요 명분이 된다.

그러나 인조 정권이 등장한 뒤에도 정국은 안정되지 못했다. 1624년 인조반정의 공신인 이괄이 반란을 일으켰고5 인조 대에만 14차례의 역모가 발생하는 등 정치적 혼란이 계속됐다. 그뿐만이 아니다. 오랑캐라고 무시했던 후금이 조선을 침공한 1627년의 정묘호란(丁卯胡亂), 후금이 국호를 청으로 바꾸고 다시 조선을 침략한 1636년의 병자호란(丙子胡亂)도 조선을 뒤흔들었다. 물론 두 전쟁 모두 2개월 정도밖에 지속되지 않았기 때문에 물적·인적 피해 면에서 7년 전쟁인 임진왜란과 비교할 바가 못 된다. 전투가 벌어진 지역도 의주에서 서울로 이어지는 길목 정도다. 하지만 인조가 삼전도에서 ‘오랑캐의 우두머리’ 청 태종에게 삼배구고두(三拜九叩頭)6 를 올리며 굴욕적으로 항복하면서 조선 사회는 큰 충격을 받았다. 특히 사림(士林)은 문명 질서가 전복되고 왕실과 조정의 권위가 무너진 사건으로 받아들였다. 만약 오늘날 미국이 붕괴하고 적국으로 여겼던 나라가 그 자리를 대체하며, 서울을 무력으로 점령해 정부의 항복을 받았다고 생각해보자. 국가와 국민이 겪게 될 혼란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것이다. 하물며 당시 조선에 명나라가 갖는 의미는 지금보다 훨씬 강력한 것이었다.

그런데 조선의 시련은 이것으로 끝이 아니었다. 200~300년에 한 번 올까 말까 하는 대기근이 17세기에만 세 번이나 발생했다. 1626년 병인년과 1627년 정묘년에 ‘병정 대기근’이, 1695년 을해년과 1696년 병자년에 ‘을병 대기근’이 일어났다. 압권은 1670년 경술년에서 1671년 신해년 사이에 벌어진 ‘경신 대기근’이었다. 우리 역사상 최악의 대기근으로 불리는 경신 대기근에는 냉해, 가뭄, 수해, 풍해, 병충해가 동시다발적으로 발발했고 전국적으로 전염병과 우역(牛疫)7 이 창궐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앙이, 하나만 일어나도 견디기 힘든 재앙이 한꺼번에 몰아닥친 것이다. 이 기간에 무려 전 국민의 4분의 1이 사망했다고 한다. 민생은 파탄에 이르고, 민심이 크게 동요할 수밖에 없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김준태akademie@skku.edu

    성균관대 유학동양학과 초빙교수

    김준태 교수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왕의 경영』 『왕의 공부』 『탁월한 조정자들』 등이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