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낙양에서 북경까지

혼자 놀기의 진수, 준비됐나요?

안동섭 | 300호 (2020년 7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코로나19로 인해 비자발적 혼자 놀기가 필요한 시기가 됐다. 혼자 놀기의 진수는 명상이 아닐까 싶다. 과거 불교는 명상을 통한 득도를 강조했는데 유교 역시 이 영향을 받아 북송시대부터 명상법이 자리를 잡는다. 특히 정이(程頤, 1033∼1107)의 공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는데 그는 우리 마음을 물병으로 비유해 마음에 상념이 생기는 것은 물병이 비었기 때문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마음을 채워야 한다고 가르쳤다. 그런가 하면 현실주의자였던 조선의 정도전은 누군가 득도를 위해 명상을 하는 행위는 다른 누군가가 현실 세계에 발 담그고 세속적인 일들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했기에 가능했다고 봤다. 결국 역사가 우리에게 알려주는 많은 것 중 하나는 어떤 것이 ‘누구에게나’ 허락된 것처럼 보일 때조차 사실은 ‘누구에게만’ 허락된다는 것이다.


편집자주
인간사에는 늘 반복되는 패턴이 나타납니다. 우리가 역사에서 교훈을 얻는다 함은 바로 그 패턴 속에서 현재의 우리를 제대로 돌아보고 조금은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의미일 겁니다. 철학과 역사학을 오가며 중국에 대해 깊게 연구하고 있는 필자가 주(周)나라가 낙양을 건설한 후로 현대 중국이 베이징에 도읍하기까지 3000년 역사 속에서 읽고 생각할 만한 거리를 찾아서 서술합니다.

지금으로부터 20여 년 전 이정수라는 개그맨이 있었다. 그는 재능보다는 노력이 더 돋보이는 사람이었는데 안타깝게도 개그계는 노력보다는 재능 값이 더 비싼 곳이었다. 그래도 그는 열심히 노력한 끝에 “혼자 놀기의 진수를 보여주지”라는 유행어를 성공시켰다. 그리고 시간은 흘러 2020년, 바야흐로 대(大)자가격리의 시대를 맞이한 우리는 십수 년 전에 그가 외치던 “어차피 혼자 사는 세상, 친구가 무슨 소용입니까”라는 말에 마냥 웃을 수 없게 됐다.

하지만 혼자 놀기는 21세기에 처음 출현한 기현상도 아니요, 미제 개인주의에 찌든 젊은이들이 우리 공동체를 붕괴시키려는 전조도 아니다. 이정수 씨가 무대에 등장하며 외친 유행어 “천상천하(天上天下) 유아독존(唯我獨尊)”은 2500여 년 전에 인도 북부에 위치한 어느 소국의 왕자 고타마 싯다르타가 어머니의 복중에서 뛰쳐나오자마자 한 말로 알려져 있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혼자 놀 것을 선언한 이 말이 어찌나 감동적이었던지 독일의 문호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 1877∼1962)는 그를 위해 ‘싯다르타’를 썼고 그리스의 거인 니코스 카잔자키스(Nikos Kazantzakis, 1883∼1957)는 희곡 ‘붓다’를 썼다. 헤세나 카잔자키스 같은 글재주는 없지만 지금도 사월 초파일이 되면 수억 명의 필부필부가 모여서 이 갓난아이의 혼자 놀기 마니페스토를 기념한다.

그래서 그런지 불교(佛敎)의 수행법에는 혼자서 하는 것이 유독 많은데 그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은 아마도 ‘명상’일 것이다. 명상은, 과감히 요약하자면, ‘정신 집중’이다. 지난 겨울방학 이후로 반년 가까이 학교에 가지 못하고 집에 박혀 있는 초등학생들은 잠시만 방심(放心)해도 집중력을 잃고 여기저기로 달아나(放) 버린다. 이 원숭이들을 한자리에 붙들어 두려면 아주 흥미로운 물건을 던져주는 수밖에 없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라든가, 스마트폰이라든가, 아니면 스마트폰이라든가. 명상도 마찬가지다. 부모님들이 폰으로 초등학생을 포획하듯 스님들은 ‘화두(話頭)’로 마음을 붙잡는다.

꼭 화두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때로 이것저것에 정신을 집중한다. 영화, 만화, 책 등은 물론이고 간혹 강의, 미팅, 업무 따위에 집중하는 사람도 드물지만 존재한다고 한다. 깊이 몰두한 동안에도 물론 이런저런 상념(想念)들이 멈추지 않고 일어나 우리의 정신을 빼앗아가려고 기회를 엿본다. 정신 집중은 이런 상념을 뿌리부터 끊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그건 불가능하니까) 그런 상념이 우리를 습격하지 못하게 단단히 중심을 잡는 것과 비슷하다. 마당에 뜨거운 화로(火爐)를 세워 놓으면 흩날리는 눈꽃이 그 위에 떨어질 듯하다가도 녹아 없어져 버리는 것처럼 한 가지 일에 몰두하는 정신을 세워 놓으면 분분히 흩날리는 상념이 그 위에 떨어질 듯하다가도 녹아서 사라져버린다.

명상하는 스님들이 멋있어 보였는지 선비들도 유행에 편승해 가만히 자리에 앉기 시작했다. 유학자의 명상법은 대체로 북송(北宋, 960∼1127) 시기에 몇몇 철인(哲人)들의 토론 끝에 정립됐는데 그중 정이(程頤, 1033∼1107)의 공이 가장 컸다. 그는 우리 마음을 물병으로 비유했다. 빈 병을(마음) 강물(세상)에 던져 놓고 물(상념)이 들어오지 않길 바라다니, 그게 가능할 리가 있나? 병 속에 자꾸 물이 들어오는 게 근심이라면 방법은 하나뿐이다. 병을 미리 채워버리면 된다. 가득 찬 병에는 아무것도 들어올 수 없으니까.

21


그러므로 정이가 보기에는 “마음을 비우시오”라는 말만큼 잘못된 말이 또 없었다. 여기저기서 자꾸 마음을 비우라고 부추기니까 사람들이 그 말을 믿고 회사에는 사표를 내고 가족에게는 이별 편지 한 장만 남긴 채 저 깊은 산골로 가서 혼자 놀기를 시작한다. 하지만 물병이 비면 빌수록 물이 더 쉽게 들어오는 것처럼 마음을 비우려고 하면 할수록 상념은 더욱 거세게 쳐들어온다. 깊은 산속에서조차 마음을 비우는 데 실패한 사람들은 쓴웃음 지으며 발걸음을 돌린다. 나는 마음을 비우는 재능이 없나 보다, 명상조차도 재능파가 노력파를 이기는 구나, 하지만 그게 어찌 그 사람의 잘못이겠나. 애초에 마음을 비우라는 조언이 잘못됐던 탓이다.

누군가가 말했다. “그래, 마음을 비우려면 마음을 채워야 한다는 자네 말이 맞다고 치세. 하지만 마음을 채우는 것도 회사에서보다 산속에서 더 잘 된다고!” 이에 정이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반박했다.

“거참 이상하구먼. 자네는 지금 가정과 회사에서 집중을 못하는 사람이 절에 가면 갑자기 집중이 잘될 거라고 말하는 건가? 보통은 그렇지 않아. 안에서 새는 바가지는 바깥에서도 샌다네. 최상의 오피스 환경에서 트리플샷 라테로 카페인 도핑까지 해도 10분 이상 집중을 못하는 사람이 절에 들어가서 털썩 앉는다고 금방 10시간씩 명상이 될 리가 있겠나.”

한편, 조선을 설계한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은 명상 문제를 조금 다른 각도에서 접근했다. 세상 사람 모두가 명상하겠다고 절에 들어가서 가만히 앉아 있다고 치자. “그럼 소는 누가 키워?”

122


현실주의자인 정도전은 누군가가 카페라테의 도움으로 집중력을 돋우며 재택근무에 들어갈 때 바로 그 커피를 누가 내리는지와 같은 문제에 관심이 있었다. 예나 지금이나 자가격리와 혼자 놀기는 타인의 도움 없이 마법처럼 이뤄지지 않는다. 누군가는 농사를 짓고, 누군가는 옷을 만들고, 누군가는 그것을 산속 깊은 곳까지 배달해줘야 한다. 만일 산속에서의 명상만이 해탈의 지름길이라고 한다면 우리는 해탈할 기회가 불평등하게 분배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산속에 앉아서 명상하는 수행자는 그를 봉양하는 사람들이 해탈할 기회를 착취하고 있는 종교 자본가는 아닐까? 정도전은 스님들이 명상하는 동안 절의 살림살이를 돌보느라 소를 먹이고, 밭을 가는 사람들 생각에 마음이 불편했다.

우화등선(羽化登仙)을 꿈꾸었던 도가(道家) 사상가들 역시 비슷한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이들은 더러운 속세에서 물러나서 자연과 벗하며 유유자적하는 아름다운 삶을 살면서 그러한 삶을 찬양하는 시와 산문을 많이 남겼다. 하지만 탈속(脫俗)은 값비싼 취미다. 당장 이 ‘은거자’들이 이처럼 아름다운 글귀를 쓸 수 있도록 누군가는 ‘더러운 속세’에서 종이와 붓과 벼루와 먹을 만들어서 시장에 내놓았을 것이고 은거자의 하인들은 적지 않은 돈을 들고나와 물품을 사갔을 것이다. 하지만 아름다운 삶을 찬양하는 글들은 굳이 돈의 출처를 밝히지 않는다.

역사가 우리에게 알려주는 많은 것 중 하나는 어떤 것이 ‘누구에게나’ 허락된 것처럼 보일 때조차 사실은 ‘누구에게만’ 허락된다는 것이다. 누구나 산속에서 자연을 벗삼아 명상하는 사치를 누릴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처지에 대해 글 한 줄 남길 여력도 없었던 것처럼, 누군가가 매일 같이 인터넷 공간에 자가격리, 방역, 혼자 놀기 등에 대해 말하는 동안 누군가는 댓글을 남길 시간도 부족하다.

시간은 흘러 22세기, 우리가 남긴 글과 댓글도 켜켜이 퇴적돼 이윽고 어느 사학과 대학원생의 박사 학위 논문 주제가 된다. 그가 광범위하게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21세기에는 한국 사람 대부분이 집에서 혼자 놀았다고 의기양양하게 주장할 때 그의 지도교수가 이렇게 답해주기를 기대해본다.

“얘, 내가 세상에서 두 번째로 싫어하는 말이 뭔 줄 아니? ‘석기(石器)시대’야. 땅을 파는데 자꾸 석기만 나오니까 석기시대, 석기시대 하는 건데, 생각해보렴, 네가 무인도에 표류하면 석기도 조금 만들기야 하겠지만 아무래도 목제품을 가장 많이 만들어 쓰게 되지 않겠니? 선사시대 인류도 그랬을 거야. 다만 그때 만들어 쓰던 그 많던 목기(木器)는 미생물이 먹어버렸기 때문에 땅속에 석기만 남았을 뿐인 거지. 그러니까 너도 인터넷에 남은 기록이 그 시대의 전부라고 생각하지는 마. 인터넷에 남지 못하고 코로나바이러스가 먹어버린 현실 세계의 질감에 대해 깊이 생각해봐야 한단다.”

선생님, 명심하겠습니다. 그런데… 그렇다면 첫 번째로 싫어하시는 말은 무엇인가요?

“물론 ‘마음을 비우시오’지. 자꾸 비우려고 용을 쓰니까 안 비워지는 거라! 마음은… 마음은… 채우는 거야!”


안동섭 중국 후난대 악록서원 조교수 punero2@gmail.com
필자는 연세대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중국 남송시대를 연구한 논문으로 동양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정이의 거경에 대한 연구’ ‘Contested Connection: the 12th-century debate on Zhou Dunyi’s hometown’ 등 다수 논문을 국내외 유력 학술지에 게재했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