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Art & Business

AI, 너를 예술가로 인정해야 할까?

고해정 | 281호 (2019년 9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작곡하는 인공지능 예술가가 등장하면서 예술이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는 믿음이 처참히 무너지고 있다. 앞으로 인간의 역할은 작품의 창작이 아니라 기계의 인공신경망에 무엇을 학습할지 결정하는 일이 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구글의 딥드림, 트위터의 딥포저, 넥스트 렘브란트 프로젝트, 페이스북의 CAN 등 수많은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은 기술의 진화에 한계가 없음을 보여준다. 이들은 고전 미술의 화풍과 표면 질감을 생생하게 재현하는 것은 물론, 기존 화풍을 거부하는 완전히 새로운 스타일의 이미지를 탄생시키기도 한다. 모방과 창조가 모두 가능해진 것이다. 이런 인공지능을 단순 업무 보조 도구로 남겨둬야 할지, 아니면 새로운 창작자로 인정해야 할지 인간은 ‘선택’의 기로에 섰다.


최근 들어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 믿었던 문화예술 분야에서 기계나 로봇 알고리즘에 의한 유사 창작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고흐나 렘브란트의 화풍을 그대로 따라 하거나 비틀스 스타일의 음악을 작곡하는 인공지능(AI) 예술가도 등장했다. 인공지능이 인간과 함께 예술 창작의 주체로 떠오른 것이다. 이렇게 사고력, 판단력, 학습 능력까지 갖춘 인공지능의 시대에 우리는 ‘과연 인간적인 것은 무엇인가’ 또는 ‘예술 창작은 인간만의 고유한 영역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게 됐다. 인간만의 고유한 영역이라고 믿어왔던 예술에서도 기존의 상식이 더 이상 통하지 않고, 기계가 만든 예술과 인간이 만든 예술을 명확히 구분하기도 힘든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제 인간 예술가들은 그림에서 손을 떼야 하는 걸까?



인공지능이 그리는 몽환적인 추상화, 딥드림

오늘날 대표적인 인공지능 화가로는 구글이 탄생시킨 ‘딥드림(Deep Dream)’이 있다. 구글의 딥드림은 인간의 뇌에서 정보를 보내는 신경망을 모방한 ‘인공 신경망(neural network)’을 통해 수많은 이미지를 인식 및 저장하고, 이 이미지의 특징들을 추출해 시각화 1 한다. 그 결과물이 마치 꿈을 꾸는 듯 추상적이라고 해서 ‘딥드림’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알파고를 개발한 구글의 인공지능 화가는 똑같은 형태가 패턴을 이루면서 끝없이 되풀이되는 ‘프랙탈(fractal)’ 구조를 활용해 그림을 그린다. 2 그리고 예술계의 뜨거운 관심을 반영하듯 지금까지 딥드림이 그린 작품 29점은 2016년 2월 샌프란시스코 미술 경매에서 총 9만7000달러(한화로 약 1억1000만 원)에 모두 팔렸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