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Science Says

파워 있는 얼굴, CEO 성공에 큰 힘!

허행량 | 167호 (2014년 12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자기계발

과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밝혀진얼굴이 광고하는 정보

인종·성·나이 등 기본 자료 외에도 신뢰도·외향성·우울증 등의 성향부터 바람기·동성애 같은 성적 취향, 면역력·유전자 품질·체력·건강 등 신체 관련 정보 및 잠재 수입까지 추론 가능

 

리더가 될 얼굴

정치인으로 성공하려면 일단 잘 생겨야 하고 남성의 경우 머리가 커야 유리. 경영자나 변호사의 경우 파워와 지도력이 있어 보이는 얼굴일수록 기업 이익도 높게 나타남. , 따뜻한 얼굴과 기업 수익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음 

 

얼굴 인플레이션

얼굴 지상주의다. 페이스북 같은 SNS와 텔레비전은 얼굴에 대한수요’, 인터넷과 스마트폰은 얼굴 이미지의공급을 확대시키고 있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셀카 붐은 사진, 특히 얼굴 사진을 공유하는 SNS의 대중화와 결합하면서 얼굴 이미지의 폭증을 가져오고 있다. 수백 년 전 우리 조상이 평생 볼 수 있는 얼굴은 기껏해야 수백에서 수천 명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지하철 출근길이나 텔레비전만 시청해도 하루면 우리 조상이 평생 볼 얼굴을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매일 무차별적으로 쏟아지는 선남선녀의 과잉공급은 보통사람의 얼굴 가치를 여지없이 떨어뜨리고 있다.

 

텔레비전과 인터넷을 통해 많은 사람의 얼굴 이미지에 노출되면서 얼굴형에 대한 선호도 계속 변하고 있다. 2014년 영국 브루넬대 스콧(Scott) 교수팀은 전 세계 12개국 962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거주지 규모와 선호하는 얼굴형과의 관계를 조사했다. 이 연구에서 스콧 교수팀은 일상생활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사람에게 노출돼 많은 얼굴을 볼수록 전형적인 남성이나 여성 얼굴형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 거주하는 도시 규모가 클수록 남성적인 남성, 여성적인 여성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인터넷을 많이 활용할수록 여성은 남성적인 남성, 남성은 여성적인 여성을 더 선호한다는 또 다른 연구결과는 얼굴 이미지의 과잉공급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준다.

 

얼굴이 인간문화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줄리어스 시저 같은 절대 권력자는 자신의 얼굴을 새긴 동전이나 얼굴 초상화를 통해 영생을 이루려 했다. 절대 권력자가 얼굴을 화폐에 새긴 것은 널리, 그리고 오랫동안 자신을 대중에게 알려 숭배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영생을 빌며 동전에 새긴 자신의 얼굴이 너무나 독특해 프랑스대혁명 당시 도피 중에 있다가 농부의 신고로 붙잡혀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진 루이16세의 일화는 아이러니다.

 

절대 권력자의 얼굴에 대한 집착은 오늘날 미디어 시대에는 잡지 표지를 장식한 유명 스타의 얼굴 홍수로 이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권력자와 유명 스타의 영역이었던 얼굴 숭배는 카메라와 페이스북 같은 SNS가 대중화되면서 일반 대중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즉 얼굴 숭배문화도 민주화돼 누구나 자신의 얼굴을 전 세계에 확산시킬 수 있게 됐다.

 

얼굴 숭배는 문화뿐만 아니라 인간의 뇌에 깊숙이 각인돼 있다. 2006 MIT의 칸위셔(Kanwisher) 교수팀은 인간이 다른 신체 부위는 무시하면서 얼굴을 처리하는 뇌 부위(fusiform area)를 따로 둘 정도로 얼굴에 특별 대접을 한다고 분석했다.

 

 

 

얼굴이 대인관계의 핵심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얼굴에 투자한다. 구체적인 수치로 투자 명세를 보면 놀랄 정도다. 남성이 15살 때부터 하루 5분씩 60세까지 면도한다면 평생 1368시간(대략 60)을 면도해야 한다. 여성이 거울 앞에서 보내는 시간은 하루 55분으로, 이는 매년 2주의 시간에 해당한다. 2003 2월 영국 경제지 <이코노미스트>지 추산에 따르면 메이크업, 스킨·헤어케어, 성형수술, 향수 등 전 세계적으로 얼굴에 투자되는 비용만 한 해 1600억 달러에 달한다. (beauty)는 현대사회의 핵심 비즈니스로 점차 그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얼굴로 무엇을 광고할까?

인간이 평생 최소 몇 년, 수천만수억 원에 이르는 돈을 얼굴에 투자하는 것은사회적 동물로서 인간관계에서 성공하고 싶은 욕구 때문이다. 누구나 좋은 인상을 주고 싶지만 성공 여부는 자신할 수 없다. 이는 얼굴을 통해 자신의 성격이나 특성을 잘못 광고할 수도 있지만 사람마다 얼굴을 다르게 추론해서일 수도 있다. 사회적 동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얼굴이 어떤 정보를, 어떻게 광고하는지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누구나 얼굴이 많은 것을 광고한다는 걸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무엇을 어떻게 광고하는지, 상대방이 이를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지 못한다.

 

얼굴에 대한 분석이 증가하면서 얼굴이 관상의 영역에서 과학의 영역으로 진입하고 있다. 더욱이 얼굴을 보여준 뒤, 이를 비교 평가해 결론을 도출하는 방식에서 얼굴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사람들은 자신이 얼굴전문가라고 맹신하면서 모든 것을 아는 듯 자신하지만 이는경험치에 불과해 다양한 비과학적 에러에 빠질 확률이 높다

 

 

얼굴은 외모뿐만 아니라 인간 내면을 드러내는 광고판으로 타인이 자신을 평가하는 정보의 보고이기도 하다. 같은 얼굴을 가진 사람을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인간의 얼굴은 지문처럼 독특(unique)하다. 수배 전단을 범죄자의 지문 대신 얼굴로 제작하는 이유는 얼굴은 독특한데다 그 사람이 누구인지 쉽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타인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없는 인간은 얼굴을 통해 상대방의 내면을 추론하려 한다. 얼굴을 보면 그 사람의 인종··나이·(아이덴티티 등 기초 정보 외에 그 사람의 성격ㆍ능력ㆍ건강ㆍ과거 인생 등 다른 다양한 정보를 추론할 수 있다. 얼굴은 또한 당사자의 감정이나 행동의사 등도 드러내 준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대화하면서 상대방의 몸이나 팔다리를 보는 게 아니라 얼굴에 집중한다. 상대방에 대한 주먹구구식 평가는 거의 얼굴이 좌우한다고 할 정도로 얼굴은 인간 자체다.

 

과학자들이 지금까지 밝힌 얼굴이 광고하는 것은 성격·능력·바람기·성공··자살성향 등 셀 수 없이 많다. 우선 얼굴은 그 사람의 인종·나이·성 등 기본 자료 외에 신뢰도·외향성·우울증·자살성향 같은 성향도 드러낸다. 또한 바람기·동성애 같은 성적 취향과 면역력·유전자 품질·체력·건강 등 신체에 대한 정보는 물론 잠재 수입까지 말해준다. 여기에 정치인이나 최고경영자의 경우 얼굴을 보면 당사자의 당선은 물론 해당 기업의 매출액이나 순이익을 추론할 수 있다. 한마디로 얼굴만 잘 분석하면 그 사람의 모든 것을 알 수 있을 정도로 얼굴은 정보의 보고다. 사람들이 자신의 얼굴을 주변에서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관상이라는 용어에 매혹되는 것도 이 같은 잠재력 때문이다. 얼굴에 대한 타고난 호기심 때문에 사람들은 대화할 때 상대방의 얼굴에 집중하면서 찬찬히 뜯어보게 되는 것이다.

 

리더가 될 얼굴

인간은 자기 얼굴을 직접 볼 수 없으므로 자기 얼굴에 호기심이 많다. 자기 얼굴을 보고 성공할 수 있는지, 연인이나 상사ㆍ바이어에게 호감을 줄 수 있는지를 알아내고 싶어 한다. 과학자들은 얼굴이성공의 보증수표라는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사관학교 학생의 얼굴을 보면 그 사람이 장군으로 승진할 확률을 알아낼 수 있다. 1996년 시라큐스대 마저(Mazur) 교수팀은 웨스트포인트 졸업생이 20년 뒤 장성으로 진급하는지 여부를 얼굴의 돌출성(facial prominence)으로 추적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이마에서 눈썹 윗부분이 돌출하면 할수록 장군으로 승진할 확률이 높다는 상관관계를 밝혀냈다. 이 부분은 테스토스테론과 연계된 부위로 많이 돌출될수록 위압적인(dominance) 인상을 준다. 따라서 위압적인 인상이 군 내부 승진 조건임을 보여주고 있다.

 

얼굴은 신체적 능력이 중요한 군인뿐만 아니라 정치인·기업인·법조인에게도 중요한 성공요건이다. 정치인과 같은 대중의 인기를 먹고사는 리더에게 얼굴은 성공의 열쇠다. 우선 정치인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얼굴은 잘생긴 얼굴, 큰 머리(남성 정치인의 경우) 얼굴형, 능력 있어 보이는 얼굴 등으로 요약된다. 잘생긴 정치인의 후광효과는 단순히 당선에 그치지 않고 당선 이후 텔레비전 카메라에 노출되는 빈도나 양에서도 후광효과를 누린다. 2011년 이스라엘 하이파대 와이스멜-마노(Waismel-Manor) 교수팀은 가능하면 매력 있는 사람을 방송해야 시청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방송사는 매력 있는 정치인을 선호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때문에 신체적으로 매력 있는 정치인은 상대적으로 미디어 노출이 증가해 스타 의식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자신이 거물 정치인이라는 착각을 한다는 것이다.

 

경제인의 경우도 얼굴과 CEO 간에 상당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2008년 터프츠(Tufts)대 룰(Rule) 교수팀은 <포천> 500대 기업(2006년 기준) 가운데 랭킹 기준으로 최상위 기업 25, 최하위 기업 25개 등 모두 50개 기업 CEO의 얼굴을 파워(power), 따뜻함(warmth), 지도력(leadership)을 기준으로 평가한 뒤 다시 순이익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CEO 얼굴이 보여준 파워는 기업이익과 0.36, 지도력은 0.30의 상관관계를 보여줬지만 따뜻함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여성 경영인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는 남성이나 여성을 가리지 않고 CEO는 얼굴이 조직 내에서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파워와 리더십을 보여주는 얼굴은 기업실적에 영향을 미치지만 따스한 성격과 같은 요소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는 것이다. 2014년 미국 포모나(Pomona)대 필레머(Pillemer) 교수팀은 남녀 CEO의 얼굴과 <포천> 1000대 기업의 랭킹·순이익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는 남성 CEO는 파워(powerfulness), 여성 CEO는 지지(supportiveness)가 각각 기업랭킹·순이익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줬다. 얼굴이 남녀에게 다르게 작용하는 셈이다.

 

정치인이나 최고경영자의 경우 얼굴을 보면 당사자의 당선은 물론 해당 기업의 매출액이나 순이익을 추론할 수 있다.

 

스타 변호사의 경우도 외모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법무법인에서 CEO격인 경영파트너(managing partner)의 얼굴 이미지와 매출지수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룰 교수팀은 2011년 미국 100대 법무법인의 경영파트너 얼굴의 파워, 따뜻함, 지도력에 대한 평가와 매출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이 연구에서 법무법인 경영파트너의 얼굴이 보여주는 파워는 이윤율, 순이익 등 대부분 매출지표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줬다. 하지만 따뜻함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했다.이처럼 얼굴이 표현하는 파워나 지도력은 해당 기업의 매출이나 순이익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줬다. 얼굴이 성공을 가져오는지, 아니면 성공이 얼굴을 변하게 하는지는 정확하게 드러나지 않았지만 얼굴의 매력과 성공과의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는 수없이 많다.

 

그렇다면 신체적 매력은 승진에 어떻게 작용할까. 1985년 뉴욕대 헤일만(Heilman) 교수팀은 매력과 기업조직 내 성공 간의 관계를 임원 11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했다. 이 연구에서 외모와 성은 고속승진 같은 승진속도와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외모와 능력의 승진에 대한 상호작용은 남성에게는 증폭 효과, 여성에게는 상쇄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변하는 경영환경은 경영자에게 다양한 능력을 요구한다. 2014년 네델란드 암스테르담대 스피삭(Spisak) 교수팀은 사람들이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라 어떤 속성을 가진 지도자를 선호하는지를 실험했다. 연구팀은 지능과 건강을 조작한 얼굴사진을 제시한 뒤 경쟁, 협조, 탐색, 개발 등 네 가지 과제를 보여준 다음 상황에 따라 어떠한 지도자 유형을 선호하는지를 선택하도록 했다. 그 결과 응답자들은 모든 상황에서 지능보다는 건강한 사람이 지도자로 적합하다는 응답을 했다. ‘적에게 내 죽음을 알리지 말라라는 이순신 장군의 말씀은회사에 내 건강을 알리지 말라라는 말로 바꿔야 할 것 같다.

 

신체적 매력보다 호감도 중요성 커져

얼굴의 미를 정의할 때 공통적인 필수조건은 평균성(averageness), 유아성(baby-face), 대칭(symmetry)으로 요약된다.과학자들은 이 세 요소가 얼굴의 미를 결정하는 기준이라는 데 동의한다. 실제 얼굴의 매력이 개인의 인생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다. 얼굴의 미는 대인관계의 모든 것을 좌우하고 임금수준, 선거, 인생 만족도 등 모든 변수와 관련돼 있다. 또한얼굴재판이라는 말처럼 얼굴이 유·무죄 여부는 물론 형량마저 좌우하기도 한다. 할리우드는=, =이라는 등식으로 배우를 캐스팅해왔고 이런 캐스팅이 대중의 편견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것이다.

 

SNS의 확산으로 최근 미(beauty)나 신체적 매력(physical attractiveness)보다는 호감도(likeability)를 중시하는 경향으로 바뀌고 있다. 즉 미나 신체적 매력도 여전히 중요하지만 화상회의나 페이스북 같은 SNS가 확산하면서 호감도를 중시하는 분위기로 변화하고 있다. , 신체적 매력, 호감도는 약간은 중첩되지만 상당히 다른 개념이다. 호감도는 미나 신체적 매력과 어느 정도의 공통분모는 있지만 그루밍(grooming)·패션이나 미소 같은 커뮤니케이션 스킬로 주변 사람의 호감을 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미는 절대적인 개념으로 객관화될 수 있지만 신체적 매력이나 호감도는 주관성이 강해 상대방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 부모의 유전자가 미를 좌우하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긍정적이고 역동적인 표정으로 호감도를 높이는 것은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호감도가 개인의 핵심능력이 된 것이다.

 

얼굴에 많은 투자를 하면서 좋은 평가를 받고 싶어 하지만 이 또한 쉬운 일이 아니다. 얼굴을 꾸미는 데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만 상대방이 우리를 평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찰나에 불과하다. 과학자들은 사람들이 상대방에 대해 첫인상을 갖는 데 0.1, 100ms(millisecond)밖에는 걸리지 않는다고 밝혔다. 처음 보는 사람도 단 50ms면 상대방의 외향적 성격, 성적 취향 등을 추측할 수 있다. 심지어 인간은 상대방을 스치듯 무의식적으로 보면서도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인지, 아니면 협조 성향이 높은 사람인지를 쉽게 판별한다.

 

첫인상의 파워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취업 인터뷰다. 대부분 100ms이면 사람들의 인상에 대한 의사결정을 한다. 그 짧은 시간에 사람을 평가하는 것이 못마땅하지만 바쁜 현대사회에서알고 보면 진국이라는 말은 사치가 되고 있다.

 

호감형 얼굴은 상황에 따라 변하고 얼굴을 중시하는 정도도 남녀 차이가 있다. 과학자들은 에볼라 같은 전염병이 창궐할 때나 경기 침체기일 때, 경쟁이 치열할 때는 여성적 외모의 남성보다는 남성적인 근육남의 얼굴을 선호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남성적인 근육남이 전염병과 불경기, 경쟁으로부터 자신을 지켜줄 것이라는 믿음에서다.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자신에 대한 자기평가(self-evaluation)와 타인평가(other’s evaluation)가 너무 다르다는 것을 알 때가 많다. 때로는 자신도 모르는 자기 모습을 타인의 눈을 통해 찾아내 놀라기도 하지만 자신의 본심을 몰라줘 야속할 때도 많다. 사람들은 타인에 대한 정보를 얼굴에서 추론한 뒤 이를 토대로 대화한다. 면접시험을 볼 때, 바이어를 만날 때, 중요 인물을 만날 때, 나름대로 좋은 인상을 주려 노력하지만 원하는 평가를 얻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루에도 수백 내지 수천 명의 얼굴을 보는 상대방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서는 긍정적ㆍ적극적인 모습을 보여 호감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Waismel-Manor et al,. (2011). Why do better-looking members of con-gress receive more television cov-erage? Political Communication, 28-4, 440-463.

 

Scott et al,. (2014). Human prefer-ences for sexually dimorphic faces may be evolutionarily novel. PNAS, 111-40, 14388-14393.

 

Kanwisher et al,. (2006). The fusi-form face area: a cortical region specialized for the perception of face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iological Sci-ences, 361-1476, 2109-2128.

 

Cieri et al,. (2014). Craniofacial feminization, social tolerance, and the origins of behavioral modernity. Current Anthropology, 55-4, 419-443.

 

Lefevre et al,. (2013). Telling facial metrics: facial width is associated with testosterone levels in men. Evolution and Human Behavior, 34-4, 273-279.

 

Mueller, U & Mazur, A. (1996). Fa-cial dominance of West Point Cadets as a predictor of later military rank. Social Forces, 74-3, 823-850.

 

Pillemer et al,. (2014). The face says it all: CEOs, gender, and pre-dicting corporate performance. The Leadership Quarterly, 25-5, 855-864.

 

Rule et al,. (2008). The face of success: inferences from chief ex-ecutive officers’ appearance pre-dict company profits. Psychological Science, 19-2, 109-111.

 

Heilman et al,. (1985). Attractive-ness and corporate success: differ-ent causal attributions for males and femal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0-2, 379-388.

 

허행량세종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hsignal@gmail.com

필자는 고려대 영문과를 졸업했고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매체경제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SSCI급 저널에 손가락 비율과 얼굴 넓이-높이 비율과 관련된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매일경제신문>에서 기자로 일했으며 저서로 <스타마케팅> <한국의 엘리트와 미디어> <당신의 본능은 안녕하십니까?> 등이 있다.

  • 허행량 허행량 | - (현)세종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매일경제신문> 기자
    - <스타마케팅>, <한국의 엘리트와 미디어>, <당신의 본능은 안녕하십니가?>의 저자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