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areer Planning

퍼스널 브랜드: 끝없이 관리해야 할 나의 경쟁력

최효진 | 94호 (2011년 12월 Issue 1)
 
 
 
 
편집자주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많은 직장인들은 ‘과연 내가 경력 관리를 잘하고 있는지’ 의문을 갖습니다. 인재 채용 및 경력 계발 전문 업체인 HR코리아가 실제 현장에서 체험한 일대일 코칭 사례를 토대로 경력 관리 수준 측정 및 개선 방안 등을 제시합니다. 직장인 및 전문가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바랍니다.
 
기업은 제품을 팔지만 소비자는 브랜드를 산다는 말이 있다. 특히 명품 브랜드일수록 소비자들의 선호도는 높다. 모양새가 비슷한 가방이라 하더라도 소비자들이 유명 브랜드의 제품을 더 높은 가격에 구매하는 이치와 같다.
 
제품마다 브랜드가 있듯이 개인에게도 고유한 퍼스널 브랜드(Personal Brand)가 있다. 얼마 전 세상을 떠난 스티브 잡스는 아이폰, 맥북 등을 통해 IT 생태계를 재설정한 ‘혁신의 아이콘’으로 브랜드를 구축했다. 그만의 강력한 브랜드는 전 세계의 많은 젊은이들을 ‘잡스 교인’으로 만들었고 그가 프레젠테이션 할 때마다 입었던 패션도 하나의 트렌드가 됐다. 개그맨 유재석을 이야기하면 자연스럽게 ‘메뚜기’ ‘국민 MC’를 떠올리거나 피겨선수 김연아를 이야기할 때 ‘피겨여왕’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것도 개인 브랜드 구축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퍼스널 브랜드는 기업 경영자나 유명 연예인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직장인들 중에서도 자신만의 전문성과 이미지로 퍼스널 브랜드를 구축해 나가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필자가 있는 회사에도 이런 조직원들이 있다. 회의 때마다 참신한 의견을 쏟아내는 아이디어 뱅크 김 과장, 조리 있는 말솜씨가 돋보이는 프레젠테이션의 달인 박 이사 등은 퍼스널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구축한 직장인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자신만의 분명한 브랜드 구축으로 남들과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나에게 맞는 브랜드 유형 살펴보기
성공한 사람들을 살펴보면 특별한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브랜드 관리를 통해 자신을 제대로 홍보한 경우가 많다. 그 브랜드를 통해 자신에 대한 신뢰감과 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혹은 자신의 정체성을 지켜나가기 위해서는 자기 브랜드를 만들어야 한다. 자신의 브랜드를 구축하면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잘할 수 있을까?’ 등의 고민에 빠지더라도 헤어나기가 훨씬 수월하다. 또 자신의 브랜드를 지켜나가기 위해 전략적으로 자기계발을 할 수 있게 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나의 브랜드는 어떻게 만드는 것이 좋을까? 다음의 유형들을 살펴보고 과연 나는 어떠한 유형이 잘 맞는지 생각해보자.
 
개척가형
한번 각인된 브랜드 이미지는 쉽게 바뀌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가장 잊혀지지 않는 타이틀은 ‘최초’라는 것이다. 남이 가지 않은 길을 개척했다는 사실은 그 자체로도 주목 받을 만하다. 유사한 능력을 지닌 경쟁자가 많은 요즘은 웬만한 능력으로는 눈에 띄기 어렵다. 이럴 때 최초라는 이름에 한번 도전해 보는 것이 좋다.
 
최초라는 이름은 영원할 수 있다. 최고의 자리는 시간이 지나면서 바뀔 수 있지만 아무리 새로운 것이 나온다 하더라도 최초의 이름을 대신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한국인 최초 프리미어 리거’ ‘제조업계 최초의 여성임원’ 등은 충분히 브랜드 가치가 있다. 휴렛패커드는 최초의 데스크톱 레이저 프린터를 소개해 ‘프린터=HP’라는 이미지를 각인시켰고 본래 소화제로 쓰이던 콜라를 음료로 상품화한 코카콜라는 콜라의 대명사로 불린다. 사실 이것이 블루오션 전략이다. 먼저 앞서간 경쟁자를 따라 브랜드를 만들어서는 따라잡기 어렵다. 이럴 땐 시야를 돌려 창의력을 발휘하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가 많다.
 
집중형
한 분야에서 15년 정도 일하면 그 사람은 전문가다. 예전에는 한 직장에서 오래 근무한 사람도 많았고 자신이 선택한 길을 몇 십 년간 묵묵히 지키는 경우도 흔했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3∼5년 차의 이직도 많고 10년이 넘으면 오히려 위기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전문성을 살리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 그래서 자기 분야에서 일관성 있게 경력을 쌓아온 사람들은 전문성을 멋지게 포장해 브랜드화할 만한 가치가 있다.
 
 
외국계 제조기업의 한국 지사에 근무하는 P 이사는 이사라는 직함보다 ‘상품기획 전문가’라는 브랜드를 선호한다. 특히 지난 10년간 제조업계에서만 근무했기 때문에 업계 동향과 상품 기획력에 자부심이 있었다. 10년 이상 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아오면 시장의 흐름을 꿰뚫어보는 노하우와 해당 업계의 주요 네트워크를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들에서도 그 가치를 인정한다.
 
틈새형
일반 냉장고가 아닌 김치냉장고, 화장품냉장고, 와인냉장고는 일종의 틈새 전략을 겨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기존 시장이나 상품을 벤치마킹해 세분화된 새로운 영역을 창출해내는 것이 바로 틈새 전략이다. 틈새형은 개척자형보다 좁은 범위를 관찰할 수 있어야 하며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가미돼야 한다.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구본형 씨가 ‘변화 경영 전문가’로 자신을 포지셔닝한 사례나 대기업전략연구소 소장인 윤은기 씨가 자신을 ‘창업 전문가’로 자리매김한 것은 틈새 전략을 이용한 것이다. 이들은 수많은 경영 컨설턴트와 기업 경영 전문가들 사이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브랜드로 틈새를 노려 이름을 알렸다.
 
조합형
현대는 다양성의 시대다. 브랜드는 꼭 혼자만 만들라는 법은 없다. 동료와 둘이 만들 수도 있고 선후배가 함께 만들 수도 있다. 치열한 경쟁상황에서 나 홀로 힘겨워하는 것보다 팀이 됐을 때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현대인들은 마치 강가에 혼자 던져져 있는 돌 같다. 동료들과 함께 생활하지만 경쟁관계에 놓여 있고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해 스스로 모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갖고 외로워 한다. 그런 의미에서 친한 사람과 함께 브랜드를 만들어 시너지를 낸다면 협조를 잘하면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사람으로 이미지 메이킹을 할 수 있다.
 
실제로 한 바이오 기업에서 신규 사업 진출을 위해 TF팀을 구성했는데 팀원 5명이 힘을 모아 놀라운 성과를 낸 덕에 그 팀 모두가 경쟁사로부터 스카우트 제의를 받은 에피소드가 있다. 또 국내 굴지의 광고회사 제작1팀에 근무하는 K 과장과 H 대리는 평소 손발이 잘 맞아 협업을 자주 했는데 이들이 함께 투입돼 제작한 광고들이 몇 차례 대박을 터뜨리자 동시에 승진의 기회를 얻은 사례도 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