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탄치 않은 P차장의 이직 활동
국내 한 대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영업1팀 P차장은 본격적으로 이직을 준비하기로 마음 먹었다. 원하는 기업에 입사했던 P차장은 한 평생을 현재의 기업에서 근무하기로 결심했지만, 자의반 타의반으로 회사를 떠나는 임원들과, 한 단계 높은 직급과 연봉으로 이직하는 동기들을 보며 생각을 바꿨다. 현재의 조직에서 임원까지 승진할 수 있을지도 불확실하고, 지금이 가장 이직하기 좋은 타이밍이라는 주변의 충고에도 마음이 흔들렸다.
헤드헌팅 회사에 자신의 이력서를 등록하면서 P차장의 이직활동은 시작됐다. 하지만 이는 순탄치 않았다. 이력서를 등록만 하면 빗발칠 것으로 예상했던 헤드헌터들의 러브콜이 생각보다 많지 않았다. 한두 번 진행된 전형에서도 번번이 떨어지고 말았다. 채용공고의 내용으로는 자신이 적임자라고 생각해서 지원했지만 결과는 좋지 않았다. 사실 P차장의 이력은 소위 스펙 상 나쁘지 않았다. 서울 소재의 상위권 대학을 졸업한 후 업계에서 손꼽히는 현재의 기업에 입사했다. 입사 후 영업팀에 배정된 그는 동기들에 비해 탁월한 성과를 냈고, 인적 네트워크를 넓히기 위해 동종업계 세미나에 꾸준히 참석했다. 또 자신이 평소 부족하다 생각했던 커뮤니케이션 능력, 협상력 등을 기르기 위해 다양한 온라인 교육을 수료했다. 뿐만 아니라 야간 대학원을 다니면서 전문지식을 쌓는 부지런함도 보였다.
P차장의 고민은 이때부터 시작됐다. 이직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옮겼지만 막상 시작하고 나니 어떤 자리(position)로 지원해야 성공할지, 어떤 직무로 이직해야 자신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을지에 판단이 서지 않았다. 사회생활을 시작한 뒤 처음 실행하는 이직인 만큼 신중해졌다. 섣불리 이직했다가 만족하지 못하고 계속 회사를 옮겨 다니는 것은 아닌가 걱정도 됐다. 주변에 조언을 구해도 딱히 정답은 나오지 않았다. 결국 이런 고민을 스스로 해결할 수 없었던 P차장은 커리어 코칭을 받기 위해 경력관리코칭 업체의 문을 두드렸다.
중요한 것은 포지션과의 매칭(Matching)
최근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들은 이직의 핵심 성공요인으로 ‘자신의 업무실적’을 꼽았다. 물론 기업도 후보자들의 역량을 비교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업무실적과 성과를 바탕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런 경험과 실적이 자신이 지원하는 포지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그렇기 때문에 지원하는 포지션에서 탁월한 성과를 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연결고리 없이 단순하게 ‘나는 업무에 있어 많은 성과를 냈습니다’ ‘나는 스펙이 좋은 사람입니다’ ‘나는 어디 어디 출신입니다’라고 표현하는 것은 채용하는 기업에 그리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을 수 있다.
1월, 감사원장 후보자가 지명된 지 보름도 안돼 후보직에서 자진 사퇴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정부 측에서 후보자를 지명할 때 사전에 점검하는 자기평가 항목이 240가지에 이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론과 청문회의 뭇매를 맞고 낙마하게 된 것은 결국 검증의 방법이나 내용이 여론에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을 뜻한다. 또 청문회 등의 과정에서도 해당 포지션이 필요로 하는 요건이 정확히 어떤 것이고 우선순위가 어떻게 되는지 등 해당 지위가 필요로 하는 요건을 매칭시켜서 어떤 점에서 후보자가 적임자인지를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런 부분은 거론되지 않고, 오히려 ‘주소지는 몇 번이나 옮겼나’ ‘재산증식은 어떠한 방법으로 이뤄졌나’ 등의 각론에 집중됐다. 정말로 후보자가 갖춰야 할 진짜 실력이나 업무수행 역량 등은 관심 밖으로 밀려난 듯한 느낌을 줬다.
결국 단순히 연봉/직급상승을 위한 이직이 아닌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고 전문성을 꾸준히 발전시키기 위한 이직을 위해서는 자신의 역량을 정확히 알고 지원하고자 하는 자리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본인과의 매칭도를 평가해 보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
당신의 이직 스타일은?
이직을 계획하는 직장인들은 각각 다른 이유들로 이직을 실행에 옮긴다. 이직에 있어서 포지션과의 적합도가 우선적으로 선행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직을 통해 자신의 경력관리에서 이루고자 하는 가치에 따라서 이직 스타일이 다르다. 이직을 하는 스타일은 크게 4가지 부류로 나눠볼 수 있다. 당신은 아래의 유형 중 어떤 유형에 속하는지 생각해보자.
철새형
철새형에 속한 직장인들은 보통 2∼3년 주기로 반복적인 이직을 감행한다. 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이직으로 높아지는 연봉과 직급이다. 회사생활은 다 거기서 거기고 나의 몸값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현 직장에 특별한 불만이 없더라도 미련 없이 자리를 박차고 나온다. 장기적인 안목없이 실행하는 이직이 많기에 전문가로 인정받기 시작하는 차·부장급에 이르면 경력관리에 큰 위험이 닥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