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과 반복의 힘, 천재조차 이것을 얻지 못하면 굴복하게 되어 있다.
“나는 서글프지만 나 자신이 그다지 자랑스럽지 않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내가 살아온 방탕한 삶, 여성에 대한 지속적인 선입관, 친구들과 늦은 밤까지 보냈던 시간들, 극장, 연주회, 점심과 저녁의 풍성한 음식들, 그리고 무엇보다 이런 것들에 대한 나의 탐닉 때문에 나는 내 일에 전념하지 못했다. 연습한 많은 레퍼토리로 연주회를 준비했지만 더 나은 연주를 들려주겠다는 열정이 없었다. 악보에 충실하지 않았고 전적으로 좋은 기억에만 의존했으며, 앙코르곡으로 적당히 청중을 열광하게 하는 방법을 영리하게 체득했다. 한마디로 악보에 충실하게 그리고 기술적 결함 없이 완벽하게 연주했다고 자랑할 만한 곡이 하나도 없었다…. 나는 내가 진정한 음악가로 태어났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내 재능을 끊임없이 계발하는 대신 그것을 밑천으로 뜯어먹고 살고 있었다.”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은 다른 위대한 음악가들처럼 타고난 천재였다. 세계적으로 유명해져 어디에서나 환대를 받고 주목받을 때 그는 자신에 대한 깊은 성찰을 했다. 타고난 밑천으로만은 무한정 먹고 살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밑천도 바닥이 나는 것이며, 끊임없는 충전을 통해서만 심화되는 것을 깨달았다. 이런 자기 성찰은 방탕한 삶을 접고 정착하여 가정을 이루게 했다. 또 더욱 규칙적이고 성실하게 레퍼토리를 연습하게 하는 원동력이 됐다. 대부분의 훌륭한 피아니스트들은 나이가 들어갈수록 연주력이 떨어졌지만 그는 여전히 대중들에게 최고의 기량을 보여주었다.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이 한 말 중에 유명한 말이 있다.
“하루를 연습하지 않으면 내가 알고, 이틀을 연습하지 않으면 오케스트라가 알고, 사흘을 연습하지 않으면 세상이 안다.”
대가가 되는 유일한 비법은 반복
평범함에서 위대함으로의 도약에서 가장 중요한 단 하나의 실천적 비법을 꼽으라면 그것은 매일의 훈련이다. 김연아는 한 인터뷰에서 “동작 하나를 익히기 위해 일만 번을 연습했다”고 말했다. 그것이 김연아만의 대답이겠는가? 매일 할 때, 기술이 늘어 기예가 되고, 어느덧 그 사람과 떨어질 수 없는 한 몸, 한 영혼이 된다. 이때 ‘춤추는 사람은 사라지고 춤만 남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 화가는 사라지고 그림만 남고, 글 쓰는 작가는 어느덧 사라지고 글만 남는 경지는 매일의 훈련이 주는 기막힌 선물이다.
훈련의 첫째 요소는 반복이다. 반복 또 반복, 오직 반복. 이것이 대가가 되는 유일한 실천 비법이다. 매일 훈련하지만 노예처럼 억지로 하는 훈련이 아니다. 재능과 잘 일치된 훈련은 다른 것으로는 충족될 수 없는 몰입과 엑스터시를 동반한다. 훈련은 땀이기 때문에 노력이 수반되지만 매일 하는 습관이기 때문에 고통이 아니라 일상이며, 자신의 길을 가는 사람들만이 느끼는 천복을 좇는 숙명의 기쁨이 있다. 처음엔 강제된 훈련이었지만 점차 육화되어 기예가 되고 이윽고 행위자는 사라지고 그 행위만 남는 경지에 이른다. 즉,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은 피아니스트다. 피카소는 화가다. 버나드 쇼는 극작가다. 이것보다 더 잘 그들을 설명할 수 있겠는가? 그들은 그 분야의 전문가인 것이다. 우리는 전문가가 되기 위해 해당 분야에서 적어도 10년은 준비해야 한다는 10년의 법칙이나 1만 시간의 법칙(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려면 적어도 1만 시간은 투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기억해야 한다. 이것은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투자 과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