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우리가 잘못 아는 ‘못된’ 문화

‘진실한 꾸중’은 어디 갔는가

김영훈 | 388호 (2024년 3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한국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칭찬에 약하고 꾸중에 강했다. 꾸중은 사람을 고무시키고 동기를 부여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미국 사람들은 칭찬을 밥 먹듯이 한다. 성과가 좋지 않더라도 칭찬이 동기부여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과연 어느 쪽이 맞을까? 연구 결과는 양쪽 모두 틀렸음을 보여준다. 잘했을 때는 칭찬해주고, 못했을 때는 꾸중해야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다. 언젠가부터 한국에서도 미국처럼 칭찬을 많이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과도한 칭찬은 오히려 사람을 망칠 수 있다. 진실한 꾸중을 할 줄 아는, 용기 있는 ‘꼰대’가 필요한 시대다.



20년이 훨씬 지났지만 아직도 잊지 못하는 순간이 있다. 신혼여행을 다녀온 바로 다음 날이었다. 나와 아내는 식탁에 앉아 아내가 3시간 30분 동안이나 준비한 첫 음식을 마주했다. 김치찌개였다. 김치찌개를 보며 나는 설지만 아내는 상당히 긴장한 눈치였다. 으레 그랬던 것처럼 숟가락으로 김치찌개 국물을 떠서 맛을 봤다. 길어봐야 3초를 넘기지 않는 시간이었지만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순간을 기억하고 있다. 맛이 없었다. 맛이 안 좋은 것이 아니고 그냥 문자적으로 맛 자체가 없었다. 평생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맛이었다.

그 3초의 순간에 수많은 생각이 내 머릿속을 어지럽게 했다. 물끄러미 웃으며 기대에 찬 얼굴로 내 얼굴을 바라보는 아내를 보며 나는 무슨 말을 해야 할지 고민에 빠졌다. 나는 직감적으로 3개의 선택지가 있음을 알고 있었다. 첫째는 김치찌개가 아주 맛있다고 선의의 거짓말을 하는 것이었고, 둘째는 김치찌개에 대해서는 일언반구도 하지 않는 것이었으며, 셋째는 김치찌개가 맛이 없다고 솔직하게 말하는 것이었다. 아내가 내 입만 쳐다보고 있었기 때문에 두 번째 선택지는 불가능했다. 그렇다고 세 번째 선택지가 가능한 것도 아니었다. 신혼 초부터 싸우고 싶지도 않았지만 어렸을 때부터 칭찬에 대한 수많은 교육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교육이었다. 물론 나는 김치찌개가 엄청 맛있다고 선의의 거짓말을 했다. 그리고 밥을 두 그릇이나 먹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김영훈younghoonkim@yonsei.ac.kr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

    필자는 사회심리학자이자 문화심리학자이다.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에서 학사, 아이오와대에서 석사, 일리노이대에서 사회심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2년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로 부임한 뒤 2013년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특훈교수’에 선정 및 임명됐고 2015년 아시아사회심리학회에서 ‘최고의 논문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차라리 이기적으로 살 걸 그랬습니다』 『노력의 배신』이 있다. 삼성, LG, 사법연수원, 초·중·고등학교 학부모 연수 등 각종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칭찬과 꾸중에 관한 강연을 하고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