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창조를 위한 시(詩)적 상상력

“비처럼 종종걸음으로 나도…” 관찰해 유사점을 찾아라, 거기가 출발점!

황인원 | 160호 (2014년 9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 인문학

비유의 생성 원리

‘비=찾는다=사람’ ‘침구=건강하다=건강검진처럼 먼저 명사로 표현된 사물/자연을 관찰해 그 마음을 나타낼 수 있는 단어를 동사나 형용사로 표현하고 이로부터 다시 연상되는 새로운 명사를 찾아냄

유사점을 찾기 위한 포인트

형태, 정서, 상징, 행동, 발음상 유사점에 초점을 둘 것.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 빨가면 사과, 사과는 맛있어, 맛있으면 바나나…’로 이어지는 노래가 대표적인 유사점 찾기 놀이임. ,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 빨가면 사과는 모양이 비슷한 데서 유추한 형태 유사성. ‘사과는 맛있어, 맛있으면 바나나는 주관적 느낌이므로 정서 유사성. ‘비행기는 높아, 높으면 백두산은 상징 유사성(세계적으로 높은 산은 더 많지만 대한민국 사람들에게 가장 상징적으로 높은 산은 백두산)

 

편집자주

()는 기업 경영과 별로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시는 뻔히 보여도 보지 못하는, 혹은 사람의 눈에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알려주는 지혜와 통찰의 보고(寶庫)입니다. 현대 경영자에게 무한한 창조적 영감을 주는 시적 상상력의 원천을 소개합니다.

 

서울 시내 모 호텔 콘퍼런스홀. 한 유명 강사가 나와 300명이 넘는 사람들에게인문과 기술의 융합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하고 있다. 관객들은 눈을 동그랗게 뜨고 무언가를 찾고야 말겠다는 표정으로 강사의 한마디 한마디를 듣기에 여념 없다. 이날 강의는다른 분야를 만나라” “다른 분야 사람과 네트워크를 찾아라” “학문 산업 간 장벽을 없애라” “모르는 것을 두려워마라등을 통해 융합의 결과물을 보여주며 융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게 주요 내용이었다.

 

90분 강의가 끝나고 다른 강의가 이어질 무렵 이 강의를 들은 A 씨는 물을 마시러 자리를 뜨면서 고개를 갸우뚱했다. 도무지 이해가 되질 않았던 탓이다. 다른 분야를 만나라고 하지만 도대체 어떻게 만나라는 것인지가 궁금해졌다. 이종(異種) 분야를 무작정 연결해 보라는 것인가 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사실 이 바쁜 상황에서 이것저것을 무작정 연결해본다는 것은 불가능했다. 적은 비용으로 빠른 시간 내에 결과물을 내놓아야 하는 우리 풍토와 실정에 비춰보면무엇을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핵심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강사는 그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었다.

 

강의를 모두 듣고 난 A 씨는 더욱 갈증이 생겼다. 그동안 융합의 중요성은 누누이 전해 들었지만 이제는 새로운 것을 창출하기 위해 무엇과 무엇을 어떻게 만나게 해야 하는지 그 방법을 좀 알려줬으면 하는 바람 때문이었다.

 

이종(異種) 간 융합을 이끌어내는 비결

2009 1월 애플의 최고경영자(CEO)였던 스티브 잡스는 아이패드를 발표하면서애플은 인문학과 기술의 교차점에 있는 회사라고 강조했다. 이후 많은 사람이 여기저기서 융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마치 융합이라는 단어가 개그맨의 유행어처럼 엄청난 인기를 누리게 됐다. 하지만 인문학과 기술의 융합이 주요 이슈가 된 지 근 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우리에게 융합의 성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왜일까? 인문학은 대체로 우뇌로 공부하고 연구하는 학문이다. 기술은 잘 알다시피 좌뇌적 활동이다. 서로 성향상 연결되지 않는다. 그러면 이 두 성향의 분야를 이어주는 연결고리가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무작정 이종 간의 만남이 중요하다면서 인문학과 기술 전공자를 한 공간에 있게 해봐야 별다른 소득이 없다. 각자 자신의 스타일을 주장하고 자기가 아는 대로만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때 연결고리는 두 분야를 순조롭게 이어주는 방법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리에게 정말 필요한 게 이것이다.

 

어떻게 하면 될까? 시에서 그 방법을 찾아보자.

 

 

 

이 시를 좀 보자. ‘라는 제목으로 시를 쓰는데 비에 대한 얘기는 없고종종 걸음으로누군가를 찾아 나서고 싶다고만 표현한다. 우리가 보통 비를 소재로 시를 쓰면 비가 어떻게 내려서 사람이나 자연 혹은 사물이 어떤 상황이 됐다는 등의 표현이 나올 텐데 이 시는 영판 다르다. 사람이 하는 행동으로만 비를 설명했다. 그러면 시인은 도대체 어떻게 해서 비라는 시를 쓰면서 사람의 행동으로만 표현을 할 수 있었던 것일까?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황인원

    - (현) 문학경영연구원 대표 및 원장
    - (전) 중앙일보/경향신문 기자
    - (전) 경기대 국문과 교수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