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BS에서 간접 경험한 투자은행(IB) 업계의 빛과 어둠

박진주 | 62호 (2010년 8월 Issue 1)
미국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CBS)은 뉴욕에 있는 학교답게 재무 분야에서 큰 강점을 보이고 있다. 전체 수업 중 재무 및 경제 관련 과목이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졸업생의 50% 이상이 재무 관련 직업을 선택하고 있다. 특히 정통 재무학 분야뿐 아니라 투자은행 업무(IB)에 관한 강의 및 세미나도 어느 학교보다 풍부하다.
 
올해 필자가 수강했던 과목 중 가장 인상적인 수업은 비 상근 교수(Adjunct Professor)인 제임스 프리먼이 진행한 ‘Investment Banking’이었다. 매주 화요일 저녁 5시 45분부터 9까지 이뤄진 이 수업은 월가의 전·현직 전문가들이 강사로 나선다는 점이 특징이다. 프리먼 교수도 크레디트 스위스 등 월가 투자은행에서 35년간이나 근무하다 현재 투자 부티크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그가 월가에서 쌓은 인맥을 통해 초빙해 온 초청 강연자들은 세계 톱 10 사모펀드의 CEO, 투자은행 핵심 부서들의 최고책임자들이 대부분이다. 아폴로 자산운용의 헨리 실버 회장, 씨티은행 글로벌 주식 부문 총 책임자 짐 오도넬,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의 헬스케어 분야 책임자인 찰스 디트코프, 골드먼삭스 캐피털 마켓 분야의 최고 책임자인 프랑크 로페즈-발보아 등 쟁쟁한 경력을 자랑하는 인물들이 초청 강연자로 나섰다.
 
강사들은 강의 전반에는 세일즈, 트레이딩, 리서치에 관한 내용을, 후반에는 기업 재무, M&A, 사모펀드, 자산 운용 업무를 주로 다뤘다. 수업 자료들은 강의 일주일 전에 미리 관련 질문들과 함께 배포했다. 수업 전에는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조성한 스터디 그룹 별로 이전 수업 때 강사가 던진 질문에 관한 답을 정리해 제출해야 한다. 어렵게 시간을 내서 온 초청 연사들과 학생들 간에 활발한 토론이 오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특히 실무 경험 없는 학생들이 추측해서 작성한 답안과 실제 거래를 직접 지휘한 실무자가 들려준 이야기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강의 중 “IB에서 M&A 업무를 담당할 때 인수 기업의 자문 역할을 하는 게 피인수 기업의 자문을 담당할 때보다 좋은가? 그렇다면 이유는 무엇인가?(Are buy sides better for investment bankers than sell sides? If so, why?)”란 질문이 있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예라고 대답했다. 인수 기업과 피인수 기업의 처지가 같을 수 없는 만큼, 갑의 입장인 인수 기업의 자문 역할을 하는 게 을의 입장인 피인수 기업의 자문 역할을 담당하는 것보다 나으리라는 생각에서였다. 하지만 강연자로 나선 한 IB 뱅커는 단호히 ‘no’ 라고 답했다. 인수 기업의 자문을 담당할 때는 해당 기업이 원하는 적정 가격에 매입할 잠재 인수 대상 기업을 찾아내는 게 IB들의 핵심 과제다. 적당한 가격에 나온 알짜 매물을 찾아내지 못하면 거래 자체가 무산된다. 즉 투자은행 입장에서는 수수료 수익을 창출할 기회 자체가 없어진다.
 
반면 피인수 기업을 위해 일할 때는 사정이 정 반대다. 해당 기업은 반드시 기업 매각을 성사시켜야만 하는 절박한 처지에 몰려있을 때가 많다. 시장에서 형성된 매각가격과 해당 기업의 희망 매각 가격의 괴리가 있다 해도 어지간하면 거래가 성사된다. 당연히 투자은행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다. 실제 경험자에게서만 들을 수 있는 생생한 내용이었다. 학계에만 몸담았던 교수에게서는 들을 수 없는, 그야말로 실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서만 들을 수 있는 귀중한 교훈이 아닐까 싶다.
 
마지막 수업 시간에는 IB 전문 헤드헌팅 회사의 여성 대표가 참석했다. 이 수업에서는 구직자 혹은 현직 종사자들을 위해 금융산업에서 커리어를 쌓는 노하우와 위험에 대해 짚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그녀는 2008년 서브프라임 위기가 발발한 직후와 비교하면 월가의 고용시장 상황이 분명 호전됐지만 향후 3년 내에 금융위기 이전 수준까지 회복되기는 힘들다고 전망했다. 따라서 IB에 취직하고 싶은 MBA 학생이라면 고용시장에 최대한 보수적으로 접근하라고 권고했다. IB에서 원하는 직업을 얻지 못할 때에 대비해 일반 대기업의 재무직 등에도 적극 이력서를 보내라는 뜻이다. 그 곳에서 실무 경험을 쌓은 후 금융시장 상황이 풀렸을 때 IB 업계의 문을 다시 두드리라는 것이다. 무작정 IB 업계에만 취직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는 아무 곳에도 취직하지 못한 채 세월만 보낼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