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ed on “Consumption and Portfolio Choice over the Life Cycle” (2005) by Joao F. Cocco, Francisco J. Gomes and Pascal J. Maenhout in Review of Financial Studies, 18: pp. 491-533.
무엇을, 왜 연구했나?
초고령화•저출산•저성장이 정상이 돼버린 뉴노멀(New Normal) 시대에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기 위한 정부의 유례없는 통화 완화 정책으로 0%대의 초저금리 기조가 유지되고 있다. 보통 금리를 낮추면 기업 및 가계의 자금 조달이 용이해지면서 투자와 고용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 전반의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초저금리 상황이 장기화된 현 상황에서 코로나19와 같은 외부의 경제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기존의 금리 인하가 경제 성장에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크게 반감될 수 있다.
우리가 체감하는 실제 경기가 지난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고 느끼는 근본적인 이유는 미래에 벌어들일 소득의 현재 가치(항상소득)가 과거와 비교했을 때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1990년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노동 소득은 무위험 채권과 같은 안전 자산으로 간주돼왔다. 그러나 지난 15년 동안 국내외 사회 경제가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5년 중국 주식시장 붕괴와 은행 부문의 유동성 및 신용 위기 확대, 2020년 코로나19 글로벌 팬데믹 등 외부의 경제 충격이 야기할 수 있는 크고 부정적인 소득 변동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면서 노동 소득 또한 이제 안전 자산이 아닌 주식과 같은 위험 자산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에 기준 금리가 낮아도 외부의 경제 충격으로 항상소득, 즉 소득의 현재 가치가 줄어들면 경제 전반의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고 경제 성장이 정체될 수 있다.
이 같은 경제 성장과 금리 및 소득 변동성 간 밀접한 상관관계를 감안하면서 런던경영대(LBS)와 인시아드(INSEAD) 공동 연구진은 소득역학패널연구(PSID,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11패널 연구란 동일한 연구 대상자들을 지속적으로 추적해서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복수의 반복 측정을 행하는 연구를 말한다. 『교육평가용어사전』 한국성인교육학회, 학지사, 2004.
닫기 데이터를 통해 소득 불안정성이라는 개인 및 가구의 횡단 면적 특성을 고려하고 생애주기 동안의 소비 및 투자라는 시계열적 패턴을 새롭게 분석했다.
박세영seyoung.park@nottingham.ac.uk
노팅엄경영대 재무 부교수
필자는 연세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포항공대에서 투자, 위험관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여신금융협회 조사역으로 재직한 후 싱가포르국립대 박사후과정을 거쳐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영국 러프버러경영대에서 재무 조교수로 재직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포트폴리오 이론을 중심으로 한 투자/위험관리와 은퇴, 보험, 연금 등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자산관리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