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 Column
올해는 코로나19와 함께 시작하더니 관측 사상 가장 더운 5월의 봄을 맞았다. 해외도 6월 평균기온이 13도인 시베리아가 한때 38도를 기록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한 산불은 우리나라의 5분의 1이 넘는 면적을 잿더미로 만들었다. 이러한 글로벌 위기의 원인으로 탄소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가 꼽힌다.
그런데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이 지난 9월 UN 총회에서 “2060년 이전에 탄소중립(순배출 제로화)을 달성하겠다”고 폭탄선언을 했다. 이는 환경 분야에서 책임 있는 글로벌 리더가 되고 싶은 중국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인지하고 있다는 방증이자 경제 성장과 탄소 감축을 병행할 수 있다는 기술적 자신감의 표현이다. 대부분의 탄소는 발전, 산업, 수송 부문에서 배출된다. 발전 부문의 탄소중립은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의미하는데 전 세계 태양광발전기, 풍력회사 톱10 중 반 이상이 중국 회사다. 전기차 핵심 부품인 배터리도 중국 업체가 글로벌 선두다. 이 선언은 전 세계 석탄의 절반 이상을 사용하고 있는 중국의 획기적인 에너지 전환을 의미한다. 중국을 최다 배출 국가로 지적하며 감축 회피의 명분으로 삼아온 다른 국가들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최근 중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기업 및 투자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태도도 급변하고 있다. 여기에는 국제사회에서 합의된 환경 목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탄생시킨 기술 가격의 하락, 환경에 민감한 밀레니얼세대의 등장 등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최근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투자자의 친환경 요구, 이른바 ESG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