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at a Glance 우버는 CEO의 부적절한 언행, 기업 차원의 탈법 행위, 성희롱 사건 등이 발생하면서 상장이 2년 이상 늦어지고 경쟁자에게 시장점유율을 상당 부분 빼앗기는 등의 피해를 입었다. 평판 시장의 중요성을 너무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됐다. 튜링제약의 CEO는 ‘사회적 가치’에 대해 전혀 생각하지 않고 수익만을 추구하면서 이에 대한 비판에 안하무인 격으로 대처하다 예전의 범죄가 밝혀져 옥살이를 하기에 이르렀다. 기업들은 이제 투명하게 모든 것이 공개된다는 전제하에 의사결정을 하고 때론 정부 실패의 빈 공간에서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정경유착’이 연상되는 ‘대관 업무’만이 기업의 비시장 전략이 아니다. 진화하는 자본주의 체제에서 스스로의 역할을 다시금 정립하는 것에서부터 비시장 전략은 시작된다.
편집자주 ‘비시장 전략’ 분야 국내 최고 전문가 문정빈 교수의 ‘Non-Market Strategy’는 이번 회로 마칩니다.
우버와 정치적 진입 장벽
2016년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은 전 세계적인 충격과 당혹을 몰고 왔다. 기존 정치의 문법에 전혀 맞지 않는 그의 행동과 발언, 과거의 행적들로 인해 극심한 논란이 벌어졌고, 미국 사회의 정치적 양극화는 더욱 심해졌다. 그로부터 2년 반이 지난 지금 세계는 미국 우선주의와 일방주의라는 새로운 흐름을 접하고 있으며, 이는 냉전 종식 이후 30여 년간 이어 온 세계화의 흐름이 역전됐음을 의미한다. 유럽에서는 영국이 유럽연합을 탈퇴하기로 결정했고, 세계무역기구(WTO)로 대변되는 자유무역체제가 자국 이익 보호를 위한 보호무역체제로 바뀌어 가며 기존의 무역협정들이 재협상 테이블에 올라와 있다. 이에 따라 다국적 기업들은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가성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전 세계적인 공급 사슬을 구축해야 하는 동시에, 본국 정부 또는 주요 진출국 정부의 압력에 맞춰 현지 일자리 창출을 위한 투자에 신경을 써야 하는 양방향의 압력에 직면하게 됐다. 이러한 어려운 정치적 환경에서 기업들이 어떠한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지 우버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자.
우버(Uber)는 2009년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창업한 회사다. 앱을 이용한 모빌리티 제공이라는 사업 모형을 대규모로 성공시킨 대표적인 회사이자 소위 말하는 공유경제(sharing economy)의 선두주자로서 창업 후 10억 달러 기업가치 평가에 도달한 유니콘 기업이기도 하다. 한때 12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던 우버의 가치는 2019년 5월10일 상장 첫날 공모가보다 7.62% 하락하면서 실망감을 안기기도 했다. 서비스망의 성격상 우버는 도시 단위로 운영되게 되는데, 그렇다면 우버는 어떤 도시에 진입하는 것이 유리할까? 이 질문에 대해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백용욱 교수와 공저자들은 2019년 논문에서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11 Paik, Y, Kang, S., Seamans, R. (2019) Entrepreneurship, innovation, and political competition: How the public sector helps the sharing economy create valu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40: 503-532.
닫기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문정빈jonjmoon@korea.edu
고려대 경영대학 교수
문정빈 교수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런던정경대(LSE)에서 경제학 석사,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상하이교통대를 거쳐 고려대에 재직 중이며 연구 분야는 비시장 전략, 글로벌 전략, ESG와 지속가능 경영 등이다.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경영학 연구』 『전략경영연구』 등 다수의 국내외 저널에 논문을 게재했으며 『전략경영연구』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