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사회문화

‘선택과 집중’ 패러다임 버리고 신뢰사회로 대변혁을

김광기 | 172호 (2015년 3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국내외에서 거대한 쓰나미가 몰려오고 있고 대한민국호는 위태로운 상황이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대한민국이 환골탈태하려면 일부 그룹에만 예측가능성이 확보된확신사회가 아닌 모든 이들에게 예측가능한신뢰사회가 만들어져야 한다. 또 창조적 인간을 키울 수 있는 그릇을 만들어야 하며 특정 그룹을 집중 지원하는선택과 집중패러다임도 바꿔야 한다. 부의 형평성 문제에도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끝나지 않은 미국발() 금융위기

2008년 미국 월가에서 불거진 금융위기는 가히 세계적인 위기의 시발이었다. 그 위기의 화염이 진작에 진화됐다고 믿는 이들이 있다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모르는 청맹과니와 같은 사람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사실은 전혀 그 반대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 덕분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막대한 유동성은 서민들을 위한 경제로 파고들지 못했고 부의 양극화를 심화시켰다. 실제 미국 중산층 이하의 삶은 2008년 이후 나아지지 않았고 통화량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 때문에 서민들의 삶은 더 궁핍해졌다. 유럽의 채무위기는 어느 순간엔가 사람들의 관심 영역에서 사라진 듯하지만 유로존이 세계 금융시장에 거대한 쓰나미를 몰고 올 확률은 여전히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 대한민국은 저출산 및 노령인구 증가, 막대한 부채, 대책 없는 복지 정책 등 내부적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런 안팎의 쓰나미에 대비해 한국 사회는 어떤 해법을 찾아야 할까. 무엇보다 지금까지 우리가 관행으로 여겨왔던 것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야 한다. 그것들과 이별을 고하고 새로운 마음가짐과 태도를 가지고 심기일전해 만반의 준비를 해야 실낱같은 희망의 빛을 발견할 수 있다. 환골탈태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대한민국이 어떻게 환골탈태를 해야만 하는지를 제시해본다.

 

신뢰사회를 구축하라

신뢰는 사회를 이루는 기본이다. 이는 사회학의 대가들이 누누이 강조해 온 사회학의 기본이다. 이를테면 뒤르켐(Emile Durkheim)이나 슈츠(Alfred Schutz) 같은 사회학자들은 비록 가장 원시적인 형태의 사회에서도 구성원들이 신뢰를 가지고 있어야 그 사회가 존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뒤르켐은 그것을 종교에 빗대어 설명했다. 조금 쉽게 이야기하면 종교를 구성하는 두 개의 쌍두마차 중 한 대는 신앙(faith)이고, 다른 한 대는 제사(ritual)로서 이들 중 어느 하나라도 문제가 생기면 종교는 존립할 수 없다고 뒤르켐은 주장했다. 뒤르켐이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종교는 곧바로 사회로 대체할 수 있다. 그에게 있어 종교와 사회는 모두 사람들의 묶인 상태를 말한다. 종교에서 신앙에 해당하는 것은 사회에서는 신뢰이고, 종교에서 제사에 해당하는 것은 사회에서는 행위와 등치된다.

 

알기 쉽게 설명해 보자. 어느 한 사람이 지금 취업을 위해 면접을 치르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면접이라는 상황은 면접관이나 피면접자 어느 한쪽으로만 이뤄지지 않는, 일시적이기는 하지만 공동의 집합체다. 즉 사회인 셈이다. 그 사회는 어떻게 일시적으로나마 가능할까? 그곳에 참여한 구성원(여기서는 면접관과 피면접자를 의미한다) 간의 신뢰와 행위가 있어서 가능한 것이라고 뒤르켐은 설명한다. 여기서 신뢰는 피면접관이 면접관에게 자신이 지닌 강점을 알리되 다분히 예의바르게 행동할 것이란 믿음을 갖고 그 장면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어느 참여자나 불시에 상대방에게 칼이나 총으로 위협을 당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면접 상황에 임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만일 그렇다면 애초에 그 면접 상황, 즉 면접이라고 하는 사회는 이뤄지지 않는다. 또 그런 믿음만으로 면접이라는 사회는 존립할 수 없다. 그런 신뢰나 믿음, 그리고 가정하에 실제로 면접자와 피면접자가 바로 그 특정 장소에 나타나고 또 질문하고 답하는 등의 실제적 행위(practical activities)가 있어야 면접이라는 사회가 발생한다. 뒤르켐이 말한 신앙과 제사(종교), 그리고 신뢰와 행위(사회)는 바로 이런 식으로 풀이된다. 뒤르켐보다 약간 후대 학자인 슈츠가 이야기하는 사회의자연적 태도(natrual attitude)’라는 것도 쉽게 풀이하면 특정 상황을 당연하게 여기는 일상인들의가정을 의미하기에 우리가 여기서 짚고 있는 사회의신뢰와 일맥상통한다.

 

그렇다면 왜 신뢰는 사회의 존립에 그토록 필수불가결한 것일까. 그것은 사회를 이루는 구성원들로 하여금 예측가능성(predictability)’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사회는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으로 이뤄지는데 그 상호작용이 임의적으로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짜여진 유형(pattern)들이 존재한다. 그 유형들을 통해 행위가 상호적으로 발생할 때 사람들은 편안함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예측가능성이 담보되기 때문이다. 예측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불안감을 느낀다. 처음 만난 남녀가 있다고 가정하자. 이들은 생면부지의 사람들이지만 서로 어찌 행동해야 할지 이미 숙지하고 있다. 만일 서로가 마음에 든다면 남자는 여자에게 애프터 신청을 할 것이고 여자는 그것을 받아들일 것이다. 여기에도 이미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유형들이 존재한다. 이를테면 남자가 여자에게 꽃이나 선물을 준다는 것 등이다. 마음에 드는 이성에게 날이 시퍼런 식칼을 선물하면서 애프터 신청을 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만약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한다면 그들은 그날 편안함을 느끼지 못한 채 집으로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