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퓨처코드CEO포럼

영화에서 찾는 ‘스토리경영’

심영섭 | 21호 (2008년 11월 Issue 2)

소설가, 시인, 평론가 가운데 누가 가장 예쁜 여자를 만날 수 있을까. 얼마 전 지인이 우스갯소리 삼아 건넨 질문이다. 정답은 소설가라고 한다. 평론가는 뭐든지 평론하려 들고 시인은 상대방을 한 번에 감동시키려는 경향이 있지만 소설가는 이야기꾼이어서 인기가 있기 때문이란다. 소설가는 만날 때마다 조근 조근 이야기를 잘해 주니 상대방이 이야기에 빠져들어 그 다음 이야기는 뭘까 하고 궁금해 하며 계속 만나다가 정들어 결혼까지 하게 된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모든 사람은 스토리를 좋아한다. 사람들이 영화를 보는 이유도 자석처럼 사람들을 끌어당기는 스토리 때문이다.
 
새롭고도 낡은 이야기를 찾아라
기업의 최고경영자(CEO)가 ‘스토리경영’을 하겠다는 마음을 먹었다면 일단 어떤 이야기가 소위 ‘죽여주는’ 이야기인지 감이 있어야 한다. 죽여주는 이야기는 새로우면서도 낡은 이야기다. 즉 사람들은 원형적 욕망이나 가치를 건드리면서도 그 디테일은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반전이나 놀라움으로 이뤄진 이야기를 좋아한다.
 
전 세계에서 2억여 명의 관객을 끌어 모은 영화 ‘반지의 제왕’을 보자. 이 영화는 한마디로 ‘이야기의 비빔밥’이다. 원작자인 톨킨은 영국 옥스퍼드대 문헌학 교수로 ‘니벨룽겐의 반지’ ‘라인의 황금’ ‘유럽의 엘프’ ‘거인설화’ 등 온 세계의 신화를 한데 묶어 반지의 제왕을 썼다.
 
반지의 제왕은 새롭고 낡은 이야기의 요소를 골고루 갖췄다. 이 영화 속에서 반지는 버려야 할 대상이다. 서구에서는 늘 주인공이 무언가를 찾으러 가서 고난을 겪다가 결국 쟁취하고 소유하는 ‘성배 스토리’가 대부분인데 이 영화 속의 반지는 버려야 할 물건이라는 점에서 새롭다. 반지의 제왕에 나타난 반지는 곧 권력이며, 반지를 버린다는 것은 권력을 버린다는 의미다. 절대 권력은 언젠가 부패하게 마련이듯 절대 반지를 소유한 자는 권력의 욕망과 강력한 악의 유혹에 시달리게 되므로 반지를 내던지는 자만이 살아남는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반지 앞에서 고뇌하는 주인공은 곧 권력 앞에 시달리는 우리의 초상을 보여 준다. 결국 반지의 제왕은 인간의 마음속 깊은 욕망을 짚어내 관객들로 하여금 ‘나의 이야기’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결국 좋은 스토리는 3가지 조건을 가진다. 첫 번째, 일상에서 채워지지 않는 욕망을 대리만족시켜 준다. 영화 ‘맘마미아’에서 엄마인 도나가 딸의 아버지로 추정되는 3명의 남자를 한꺼번에 만난다는 스토리는 중년 여성들에게 대리만족의 재미를 준다. 두 번째, 예상과 전망을 뛰어 넘는다. 기존의 감옥 드라마가 ‘탈출’에 주안점을 두는 반면 미국 드라마 ‘프리즌 브레이크’에서는 주인공이 사형의 누명을 쓴 형을 구하기 위해 감옥에 제 발로 들어간다. 또 주인공의 몸에 새긴 문신은 감옥 속 지도였다. 세 번째, 인간의 마음속 깊은 무의식에 침투해 삶에 의미를 부여한다. 

 
모든 이야기의 뿌리는 20가지
그렇다면 세상의 모든 이야기를 모아 하나의 패턴으로 만들 수 없을까. 모든 이야기의 뿌리를 찾아 이야기 지도를 만들고, 그 안의 요소들을 섞으면 새 이야기가 나오지 않을까. 이렇게 해서 만든 이야기 지도가 있다. 미국 몬태나주립대의 로널드 토비어스 교수는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20가지 플롯’이라는 책에서 모든 이야기의 뿌리가 되는 20가지를 제시했다. 이를 토대로 20개의 동네(플롯)로 이뤄진 4개의 이야기 나라(주제)로 떠나보자.
 
1) 모험의 나라 모험의 나라에서 성공한 대표적인 영화는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1975년 작 ‘죠스’다. 당시 TV가 급속히 보급되자 영화산업은 위기를 맞았다. 영화관은 TV에 자리를 빼앗기고 어린애나 데이트하는 연인들만 가는 곳으로 취급됐으며, 저예산 영화와 B급 영화들이 판쳤다. 이때 스필버그 감독은 두 가지 전략으로 ‘죠스’를 만들었다. 일단 TV로는 상대할 수 없을 정도로 무조건 ‘큰’ 것을 보여 주겠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처음부터 다 보여 주면 재미가 없으니 영화 중간까지는 죠스를 암시하는 음악만 나오고 진짜 죠스는 영화 중반부터 나오게 하는 신비주의 전략을 썼다. 여기에 제작비의 3분의 1을 쏟아 부어 대대적인 마케팅을 펼친 결과 당시로서는 불가능해 보인 매출 1억 달러의 고지를 넘었다. 이 영화가 마치 고성능 폭탄 같다고 해서 이때부터 ‘블록버스터’라는 용어가 등장했다.
 
모험의 나라는 ‘용기’에 대해 이야기한다. 죠스를 만났을 때 도망가기보다 창살 안에서 싸우고, 이것도 안 되면 작살을 들고 싸우고, 이것마저도 안 되면 수소통을 던져서라도 싸워 이기라고 한다. 누구나 어떤 방식으로든 영웅이 되고 싶어 하는데 이 영화는 우리 안의 모험 욕구를 자극하고 두려움과 맞서 싸우라며 용기를 줬다.

기업 관점에서 볼 때 신상품 출시는 기업가와 소비자 모두에게 모험이다. 신상품을 모험의 나라 스토리와 잘 결합하면 승산이 있다.
 
2) 사랑의 나라 레오 매커리 감독의 1957년 작 ‘언 어페어 투 리멤버’를 보자. 이 멜로 영화는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의 원형이라 할 수 있다. 사실 영화상으로 별 특징은 없는 작품이지만 ‘불가항력적 사랑 이야기’라는 주제로 고전적인 러브스토리가 그려야 할 모든 이야기를 담아 성공할 수 있었다. 약혼자가 있는 여주인공과 바람둥이가 사랑에 빠진다는 설정, 초고층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에서 만나자는 로맨틱한 약속, 불의의 교통사고로 다리를 잃어 약속 장소로 가지 못한 여주인공의 시련, 두 남녀의 2년 만의 재회 등이 그것이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