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ase Study

브랜드 제조 유통, 神話를 만든 3자 협업

신수정 | 51호 (2010년 2월 Issue 2)
소비재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협업 양상도 달라지고 있다. 과거에는 브랜드와 유통 업체 간 협업이 주를 이뤘다. 하지만 최근 브랜드, 제조 기업, 유통 간 3자 협업이나 동종 업계 내 브랜드와 브랜드의 협업도 활발해지고 있다. 또 브랜드가 자체 유통망을 확대하면서 이를 견제하려는 유통 업체가 서로 손잡고 새 브랜드를 내놓는 협업 모델까지 나타났다.

‘협업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소비재 산업에서 기업 간 협력을 통해 성과를 높인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색조 화장품 브랜드인 ‘조성아 루나’가 꼽힌다. 이 브랜드는 2006년 9월 나온 이후 홈쇼핑 화장품의 역사를 다시 썼다. 첫 방송에서 55분 만에 매진되는 등 출시 5회 연속 매진 기록을 세웠고, 4년 연속 GS홈쇼핑 이미용 판매 1위를 기록했다. 출시 이후 38개월 만에 매출 1000억 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하루가 다르게 트렌드가 바뀌는 색조 제품의 특성과 전체 화장품 시장의 20%에 못 미치는 시장의 규모를 감안했을 때 조성아 루나의 대박은 이례적이라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루나의 신화가 가능했던 건 아티스트 브랜드에 대한 확신을 갖고 루나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제작을 담당한 애경, 조성아라는 걸출한 메이크업 아티스트, 홈쇼핑 업계 1위인 GS홈쇼핑 등 3자 간의 협업이 시너지 효과를 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일반적이다.
 
상호 보완적인 역량의 조합
2004년 당시 화장품 시장은 수입 브랜드와 저가 브랜드숍 상품으로 양분돼 있었다. 종합 생활 용품과 화장품 전문회사인 애경은 이 틈바구니에서 수입 브랜드의 트렌디한 감각과 높은 품질을 갖췄으면서도 합리적인 가격대의 제품을 찾는 소비자가 상당하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2004년 10월, 제품 개발 및 콘셉트 연구에 착수했다. 애경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홈쇼핑 유통 채널을 활용한 아티스트 브랜드를 만들기로 하고 협업 파트너를 찾았다. 유통 채널 협업 파트너로는 홈쇼핑 업계 1위였던 GS홈쇼핑으로 일찌감치 정했다. 아티스트로는 소비자 사이에서 인지도가 있으면서, 홈쇼핑 방송에 직접 출연해 제품을 설명할 수 있을 만큼 언변이 뛰어난 인물을 찾았다. 두 명의 후보로 좁혀진 가운데 아티스트 브랜드에 대한 철학을 공유할 수 있는 조성아 원장을 낙점했다.
 
브랜드, 제조 기업, 유통의 3박자가 맞아떨어진 조성아 루나는 시장의 판도를 바꿨다. 당시 홈쇼핑 채널을 통해 주로 판매된 화장품은 커버덤, 커버퀸과 같은 베이스 제품이었다. 조 원장은 메이크업 아티스트 1세대로 17년간 1만 명이 넘는 여성을 만나면서 축적한 노하우를 루나에 활용했다. 일례로 붓으로 펴 바르는 파운데이션, 에센스 성분이 함유된 듀어 컨실러, 3가지 색의 제형을 한 용기에 담아 하이라이트와 섀도우를 한 번에 할 수 있는 멀티 크리미 섀도우는 당시 다른 화장품에서는 찾기 어려운 독특한 제품들이다. 백화점과 로드숍이 아닌 홈쇼핑과 온라인을 통해 판매해 유통 마진을 줄이면서 8∼11종 색조 풀 라인을 9만 9000원에 판매했다.
 
조 원장은 “애경이 기존 브랜드 활용에 신경 쓰기보다는 아티스트 브랜드에 대한 시장성과 성공에 대한 확신을 가진 기업이기 때문에 협업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제품 품질이 점점 상향 평준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브랜드가 가질 수 있는 경쟁 우위는 바로 소비자들의 감성을 터치해주는 것인데 그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아티스트”라며 “루나의 성공은 아티스트의 진정성을 제품에 100% 구현할 수 있도록 브랜드, 제조 기업, 유통의 3자가 협업해서 이뤄낸 결과”라고 말했다.

보완적 서비스로 잠재 욕구 충족
일반적으로 히트 상품은 소비자 자신도 잘 몰랐던 ‘잠재 욕구(unmet needs)’를 채워주는 것에서 시작한다. 루나는 홈쇼핑이라는 유통 채널과 협업함으로써 기존 화장품이 제공해주지 못했던 보완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개발자인 조 원장은 루나 출시 이후 매회 방송에 직접 출연해 쇼핑 호스트와 함께 메이크업 테크닉을 자세히 알려줬다. 일반 화장품 브랜드들이 고객에게 제품을 팔고 알아서 화장하라고 했지만 루나는 소비자들이 필요로 한 메이크업 노하우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상위 욕구(higher-needs)를 해결해줬다.
 
이 과정에서 GS홈쇼핑 역시 단순히 방송 스케줄을 잡아주는 데서 끝난 것이 아니라 방송 콘셉트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위해 조 원장, 애경과 함께 고민했다. 일례로 어떤 상품의 시연에 소비자들이 가장 매력과 관심을 느끼는지, 방송을 통해 소비자들이 가장 배우고 싶어 하는 화장법은 무엇인지를 사전 조사해 방송에 반영했다. 방송을 처음부터 끝까지 못 보거나, 방송을 보고도 잊어버리는 소비자들을 위해 제품별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사진이 곁들여진 10장 내외의 카탈로그 발송도 잊지 않았다.
 
브랜드 간 협업 사례
 
일본의 대표적 저가 브랜드인 유니클로와 하이엔드 디자이너인 질 샌더와의 협업을 통해 탄생한 ‘+J’ 라인은 일명 ‘유니클로 사태’로 불릴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 지난해 10월, +J의 옷이 첫선을 보인 유니클로 명동점, 강남점, 압구정점은 그야말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전국에서 세 군데의 유니클로 매장에서만 판매하기 때문에 대대적인 광고를 하기도 어려워 유니클로는 홍보를 거의 하지 않았다. 그러나 알음알음 소식을 듣고 찾아온 고객들로 매장은 연일 북적댔다. 유니클로 명동점에서만 +J 출시 이후 3일간 6억 50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절제와 순수의 미니멀리즘’으로 대표되는 질 샌더와의 협업을 추진한 건 유니클로 야나이 다다시 사장의 의지가 강력히 작용했다. 야나이 사장과 유니클로의 연구개발(R&D) 담당 임원은 한동안 패션계를 떠나 있던 질 샌더에게 협업을 제안했고, ‘미래를 향한, 가치가 있는 옷을 만들고 싶다’라는 생각이 일치해 교섭에 큰 어려움은 없었다고 한다.
질 샌더는 유니클로와 협업하는 과정에서 +J의 디자인, 제작, 마케팅 등 전 부서에 걸쳐 참여했다. 일본 유니클로의 +J팀과 완전한 의사소통을 위해 정교한 디테일까지 정확하게 전달해줄 수 있는 통역사를 찾는 게 급선무였고, 기대를 충족시키는 통역사를 만나 협업은 순조롭게 진행됐다.
 
+J의 성공 요인은 질 샌더의 콘셉트, 디자인력과 유니클로의 상품화 노하우가 결합돼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가치를 주는 혁신적인 브랜드가 탄생했기 때문이다. 수백만 원을 넘는 질 샌더의 오리지널 디자인을 10만 원 내외의 저렴한 가격에 선보이면서 이러한 상품에 목말라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폭발했다. 이번 협업으로 과거 하이엔드 브랜드, 저가 브랜드 제품만으로는 잡을 수 없었던 소비자들을 공략할 수 있었다.
 
+J의 또 다른 성공 요인은 불황기를 막 벗어난 시대적 상황에도 잘 부합했기 때문이다. 유니클로는 현재 소비자들이 어려운 경제 환경으로 옷 구입비용은 줄이고 있지만 구입하는 옷의 소재나 디자인에 관한 눈높이는 크게 낮추지 않을 것으로 봤다. 오히려 비용은 아끼면서 스타일을 추구하는 절약형 감성 소비자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이러한 소비자를 공략할 방법으로 질 샌더와의 협업을 추진했다. 질 샌더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지금과 같은 ‘절제의 시기’에 사람들은 오히려 더 정직하고 순수하고 저렴한 옷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J는 이러한 가치와 부합한다”고 말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