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Psychology

조직 창의성은 어떻게 북돋나

안도현 | 103호 (2012년 4월 Issue 2)
Psychology
조직 창의성은 어떻게 북돋나

Based on “Follow the crowd in a new direction: When conformity pressure facilitates group creativity (and when it does not)” by Jack A. Goncalo & Michelle M. Duguid (2012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왜 연구했나

기업의 경쟁력은 조직원들의 창의적 발상에서 온다. 창의성이란 새로움과 유용함의 결합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창의성은 틀을 깨는 데서 온다. 구성원의 창의성을 북돋기 위해서는 창의적 조직문화와 규범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조직의 창의적 문화와 규범을 조직 구성원들에게 순응하도록 할 때 한 가지 논리적 모순에 직면하게 된다. 순응과 창의성은 상쇄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창의적인 문화를 구성원들이 받아들이게 하려면 그 문화에 순응하도록 해야 하는데 순응과정에서 창의성이 말살될 가능성이 있다. 과연 조직은 창의적인 규범과 문화를 어떻게 해야 구성원들의 개인적인 창의성으로 연결시킬 수 있을까?


무엇을 연구했나

조직은 문화와 규범을 갖추고 그 규범과 문화를 조직원들이 순응하도록 해야 한다. 창의성이 핵심 경쟁력인 지식정보사회에서 창의성을 강조하는 문화와 규범을 갖추는 것은 기업 생존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런데 창의적인 조직문화와 규범을 조직 구성원들에게 순응하도록 하면 조직원의 창의성은 향상될 수도 있고 저해될 수도 있다. 창의적인 규범을 받아들인다는 측면에서는 구성원의 창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실제로 창의성을 강조하는 조직 구성원들의 혁신 성향은 높은 편이다. 그런데 혁신적인 문화를 순응하도록 해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을 향상시킨다는 논리에는 모순이 있다. 조직문화에 대한 순응압력 자체가 창의성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직의 순응요구는 개인에게 압력으로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규범에 순응하지 않았을 때 사회적 제재가 가해질 것이란 두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두려움은 틀을 깨는 창의성을 억제하는 요인이다. 창의적 규범에 대한 순응의 딜레마는 구성원의 개인차를 구분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집단주의적 성향이 높은 사람과 개인주의적 성향이 높은 사람은 순응압력에 대해 달리 반응한다. 집단주의적 성향은 사회적 목표를 중시하고 상호의존성을 강조해서 집단 내의 조화를 중시한다. 반면 개인주의적 성향은 자율성을 강조하고 개인적 목표와 가치를 중시한다. 따라서 집단주의적 성향이 높은 사람에게는 혁신적인 조직문화에 대한 순응압력을 통해 창의성을 북돋을 수 있지만 개인주의적 성향이 높은 사람에게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어떻게 연구했나

미국 코넬대와 워싱턴대의 공동연구진은 496명의 대학생들을 상대로 규범에 대한 순응과 창의적 성향과의 관계를 측정하는 실험을 했다. 실험에 앞서 참가자들의 창의적 성향을 30문항의 창의성향척도(Creative Personality Scale)를 이용해 측정했다. 실험은 3단계의 절차를 거쳐 이뤄졌다. 우선 두 집단으로 구분한 뒤 한 집단에는 집단주의적 규범(소속된 집단에서 다른 사람들과 얼마나 유사하고 잘 융합할 수 있는 정도)에 대해, 다른 한 집단에는 개인주의적 규범(자신에 대해 생각하며 다른 사람들에 비해 특별한 점이 있는 정도)에 대해 생각하도록 했다. 그 다음 순응압력의 고/저로 구분해 두 집단으로 나눠 한 집단은 집단의 규범에 순응하도록 했고 다른 한 집단은 개인의 자율성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각 집단은 15분간 창의적인, 즉 새로우면서 유용한 생각을 제시하는 과제를 수행했다. 파산 위기에 처한 학교 식당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과제였다. 이러한 실험 내용을 모르는 두 사람이 학생들이 수행한 과제를 보며 문제해결책의 창의적인 생각의 수와 창의성의 정도를 분석했다.


무엇을 발견했나

● 개인적 성향의 역할: 창의적인 생각의 수는 창의적인 성향이 높은 사람들과 낮은 사람들에 차이가 없었지만 도출해낸 창의성 면에서는 창의적 성향이 높은 사람들이 더 높았다.

● 규범의 역할: 개인주의적 규범을 생각하도록 한 집단이 창의적인 생각을 더 많이 제시했고 제시한 생각의 창의성도 높았다.

● 순응압력의 역할: 순응압력이 높은 집단에서는 창의적인 생각이 덜 나타났고 도출한 생각의 창의성도 떨어졌다.

● 순응압력과 개인적 성향의 상호작용: 창의적 성향이 낮은 사람들은 개인주의적인 규범의 순응압력이 높은 집단에 속해 있을 때 창의성이 높았고, 집단주의적 규범의 순응압력이 높을 때는 창의성이 낮았다. 반면 창의적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순응압력이 높으면 집단 규범의 차이(개인주의 혹은 집단주의)에 무관하게 창의성이 떨어졌다. 창의적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집단주의 규범을 요구하는 집단에 속해 있을 때는 순응압력이 낮아도 창의성이 떨어졌다.


연구 결과가 어떤 교훈을 주나

조직 내에서 창의성을 북돋기 위해서는 조직문화와 규범을 통해 창의성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직문화가 집단주의적이면 조직문화에 대한 순응을 강요하지 않아도 구성원들의 창의성이 떨어진다. 즉 개인적으로 아무리 창의성이 뛰어나도 조화를 강조하는 조직문화에서는 창의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반면 창의적인 조직문화를 갖고 있는 곳에서는 구성원들이 창의성을 발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개인 차이가 있다. 개인적으로 창의적 성향이 떨어지는 사람들은 창의적 조직문화에 대한 순응압력을 높일 때 조직 문화에 동화돼 창의성을 발휘한다. 반면 창의성이 높은 사람들은 아무리 조직문화가 창의적이라 하더라도 순응압력이 높으면 창의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창의성이 높은 사람들은 순응 압력 자체에 대한 부담 때문에 창의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조직문화에 대한 순응압력이 늘 구성원들의 창의성을 말살하지는 않는다. 창의적 조직문화를 갖추고 있다면 창의성이 떨어지는 구성원들에게는 그 문화에 순응하도록 해야 한다. 반면 창의성이 높은 구성원들에게는 순응압력을 가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필자소개 안도현 IGM세계경영연구원 겸임교수 dohyun@socialbrain.kr
필자는 서울대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Colorado State University에서 커뮤니케이션 전공 석사, University of Alabama에서 커뮤니케이션 전공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논문 주제는 슬픔과 즐거움의 심리다. 주 연구 분야는 미디어 사용이 인지역량, 정신건강 및 설득에 미치는 영향이다. IGM에서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주 강의 분야는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심리, 자아 향상 등 조직과 개인의 역량 향상이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