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DBR Column

기업가정신, 코칭을 만나다

최효석 | 281호 (2019년 9월 Issue 2)
전 세계가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에 집중하고 있다. 기업가정신은 기술(skillset)이 아니라 하나의 마음가짐(mindset)이다. 머나먼 미지의 바다 건너로 배를 출항했던 콜럼버스나 황야를 개발해 성공하기 위해 서부로 향했던 미국 개척자들의 정신이 오늘날까지 수많은 사람을 도전이란 이름으로 이끌고 있다. 또 다른 기업가정신의 강국인 이스라엘 역시 ‘도전’을 의미하는 후츠파 정신을 통해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인구 850만 명의 작은 중동 국가에서 전 세계 스타트업 문화의 모범 국가가 됐다. 이들은 정책이나 경제보다 이러한 정신적 문화가 그들을 이끌고 있다고 믿고 있다.

이미 스타트업 혁신의 첨단에 있는 미국의 사례를 보자. 2018년 집계만 해도 닷컴버블의 최고조였던 2000년의 기록을 뛰어넘었다. 미국의 스타트업 기업들에 대한 투자 총액이 1310억 달러(약 148조 원)에 달한 것이다. 이스라엘 역시 과감한 투자와 인수합병(M&A)을 통해 오늘날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기업을 미국에 상장시킨 국가가 됐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기업가정신 문화는 어떠한가. 기관을 중심으로 한 정부 지원사업이 스타트업 생태계를 좌지우지하고 있고 대기업은 ‘혁신’ ‘소통’ ‘4차 산업혁명’ 등으로 실체 없는 유행어처럼 기업가정신을 말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업가정신은 문화이며 태도다. 생각하는 방법이자 일하는 방식을 마주하는 태도다. 개척가정신을 배우며 자란 미국의 청년들이 기업가정신을 갖게 되는 것은 그래서 자연스럽다. 대학을 포함해 의무적으로 군 복무를 해야 하는 이스라엘의 청년들이 군 생활 동안 경험하는 다양한 도전의 경험도 그들의 기업가정신을 키우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하지만 고도 압축 성장을 경험한 베이비붐세대 자녀들인 우리 청년 세대들은 그들과 다른 시절을 경험했다. 획일적 몰개성화 문화, 실패를 용인하지 않는 문화, 유교적 경직성이 관계를 지배하는 문화, 한 번의 시험으로 인생이 결정되는 문화, 그래서 청년들의 장래 희망이 건물주 아니면 공무원인 나라. 이것이 오늘날 대한민국의 청년들이 내린 우리 사회의 성적표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의 원인은 여러 군데서 찾을 수 있지만 필자는 그중에서 특히 교육을 강조하고 싶다. 문제 풀이와 정답 찾기 위주의 교육을 십 대 내내 배운 세대들에게 경계를 넘는 새로운 도전을 강요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화적 특징은 창업 생태계에도 그대로 넘어왔다. 정부의 예산으로, 공공기관의 관리감독 아래에서, 운영기관의 보육과 교육을 통해 스타트업을 성공시키겠다는 것이 바로 이러한 관리 중심의 문화다. 개인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것이 아닌 사업계획서와 캔버스 위주의 교육이 예비 창업자들로 하여금 창업은 규칙이 있으며 사업계획서는 정답을 맞혀야 하는 문제지라고 느끼게 하는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해결책으로 코칭(Coaching)을 제안한다. 기존의 세미나형 교육이 일방향적이며 지식전달을 목표로 하는 수동적 방식이라면 코칭은 고객이 중심이 되는 변혁적 기법이다. 전인적인 개발을 통해 사업을 포함한 삶의 전반적인 목적과 의미를 찾고 그것을 통해 다양한 현장의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돕기 때문이다. 이미 많은 글로벌 기업에서 새로운 조직 변화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코칭이 기관과 중소기업, 나아가 스타트업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기업문화에 도입되기를 기대해본다.



필자소개 최효석 서울비즈니스스쿨 대표
필자는 코칭, 컨설팅, 워크숍, 멘토링, 강의 등을 통해 개인과 조직의 성장을 돕는 일을 하고 있다. 권위 있는 코칭 교육기관인 CTI사의 Co-Active Coaching 프로그램을 수료한 코액티브 코치로, 유명 창업 교육기관인 뱁슨대의 창업교육자 과정을 수료했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