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at a Glance 조선시대 최고인사책임자(CHO)였던 이조판서 강희맹은 인재 등용의 어려움을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지 않고 제도적으로 해결하고자 했다. 한 사람이 같은 업무를 장기간 지속할 경우 긴장감과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에 임기를 1년으로 제한하자는 제안을 했다. 또 인사 관련 규제가 새로운 인재 등용을 저해할 수 있다는 한계를 고려해 때론 기존 제도에서 벗어난 파격 인사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사업무에도 절차의 객관성만큼이나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황에 맞게 대처하는 유연성이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 세상에 완벽한 재능을 가진 사람은 없습니다. 하지만 적합한 자리에 기용한다면 누구라도 능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대저 모든 일을 다 해낼 수 있는 사람은 없는 법이니 단점을 버리고 장점을 취하소서. 그리되면 탐욕스러운 사람이나, 청렴한 사람이나 모두 부릴 수 있을 것입니다. 만일 결점만 지적하고 허물만 적발한다면 현명하고 유능한 사람이라도 벗어날 수 없습니다.” 11 『사숙재집(私淑齋集)』권6, 「育才辨才用才之道」
닫기
1447년(세종 29년) 강희맹(姜希孟, 1424∼1483)은 “인재를 등용하고, 인재를 양성하며, 인재를 분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세종의 책문(策問) 22 주로 문과 전시(殿試)에 출제됐던 시험 문제를 가리킨다. 당면 과제 등 시무책에 대해 묻는 경우가 많았다.
닫기에 이렇게 답했다. 장점을 살리고 단점은 고쳐주면서 인재의 자질과 특성에 맞게 적재적소에 배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 답안에서 인사(人事)에 대한 탁월한 식견과 대책을 제시함으로써 장원으로 뽑혔다. 이후 강희맹은 요직을 두루 거치며 왕들의 총애를 받았는데 33 강희맹은 세종의 조카이자 세조의 이종사촌 동생으로 외척이었던 이유도 있다.
닫기 특히 인사업무를 오랜 기간 맡으면서 많은 인재를 발탁했다. 1478년(성종 9년) 이조판서 시절에 올린 상소 44 이하 강희맹의 상소를 인용한 것은 모두 『성종실록』 9년 3월18일의 실록기사가 출처임.
닫기 에는 당시 최고인사책임자(CHO)였던 그의 생각과 고민이 잘 담겨 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김준태akademie@skku.edu
성균관대 유학동양학과 초빙교수
김준태 교수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왕의 경영』 『왕의 공부』 『탁월한 조정자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