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인터뷰 - 구매관리 석학, 한찬기 미 볼링그린대 석좌교수

구매를 예술의 경지에 이르게 하라

DBR | 4호 (2008년 3월 Issue 1)
하정민 기자 dew@donga.com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과 경쟁하려면 구매관리 책임자가 최고경영자만큼 중요하다는 인식부터 갖춰야 합니다. 제조비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구매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수익 증대의 첫걸음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회사 내 최고 인재를 구매 분야에 대거 배치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전방위적 원가절감 경쟁에서 결코 승리할 수 없습니다.”
 
국제 원자재 가격이 날로 치솟고 있는 지금, 한국 기업들의 화두가 구매관리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 미국 오하이오주 볼링그린대 한찬기 석좌교수가 그 주인공. 한 교수는 원가절감이 제품 경쟁의 우위를 좌우하는 시대에 가장 큰 원가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부문이 바로 구매관리라고 거듭 강조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기업 생산비용의 대략 50%가 재료비, 인건비가 15%, 고정비가 35% 정도입니다. 반면 한국 기업은 재료비가 65∼70%에 달합니다. 인건비는 많아야 12% 정도구요. 이것만 봐도 왜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자보다 구매관리에 더 매진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최근 고유가, 국제 식품가격 상승으로 구매 혁신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ROI(투하자본 대비 수익률) 측면에서도 가장 큰 원가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분야가 바로 구매입니다.”
 
한 교수가 구매관리의 중요성을 주창하는 것은 그의 이력과도 무관치 않다. 교수는 연세대를 졸업한 1964년 도미, 오하이오 주립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 경제가 근대화를 이루기 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난 그에게 장학금을 대준 곳이 바로 전미구매관리자협회(NAPM)다.
전미구매관리자협회(NAPM)는 미국 내 최고 경제단체 중 하나인 공급관리자협회(ISM)의 전신이다. ISM은 1915년 NAPM로 출범해 ISM로 간판을 바꿨다. ISM은 미국 전체를 10개 지역으로 나눠 관리하는데, 이중 시카고 지회만이 여전히 예전 명칭인 NAPM을 고수하고 있다.
 
시카고 구매관리자협회는 일리노이, 인디애나, 미시간 소재 제조업체 구매관리자들을 상대로 매달 조사를 실시,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PMI)란 제조업 경기지표를 내놓는다. 시카고 지회가 관할하는 미국 중부 지역에는 GM, 포드를 비롯한 미국 대표 제조업체의 공장들이 집중적으로 몰려있다. 때문에 시카고 PMI는 미국 제조업 경기의 척도인 ISM 제조업 지수의 선행지표 역할도 한다. 미국 경제와 산업에서 차지하는 구매 분야의 중요성을 단적으로 엿볼 수 있다.
  
구매 인재 육성의 첫 걸음은 입도선매
이런 이력 탓에 그는 오래 전부터 미국 대형 기업들이 어떤 식으로 구매 관리자를 키워내고 기업 가치 향상에 이용하는지를 몸소 체득해왔다. 볼링그린에서 그가 길러낸 제자들 역시 제너럴 일렉트릭(GE), IBM 등 미국 대표 기업에서 구매담당자로 활약하고 있다. 심지어 시카고대에서 MBA를 마친 그의 차남도 프록터 앤 갬블(P&G)의 구매담당자로 근무한 바 있다.
 
“구매는 워낙 단위가 커서 1%만 절약해도 다른 분야보다 몇 배의 원가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P&G에 입사한 아들에게 네가 한 해 주무르는 예산이 얼마냐고 하니 2800만 달러라고 하더군요. 웬만한 글로벌 대기업의 경우 아무리 작아도 구매 예산이 1억 달러가 넘습니다. 1%만 절약해도 100만 달러죠. 100만 달러의 원가절감과 동등한 효과를 판매 분야에서 거두려면 최소한 1000만 달러 이상의 추가 매출을 내야 할 겁니다. 임팩트가 가장 큰 분야에 최고의 인재들을 배치하는 것은 경영학의 기본 아닙니까.”
 
한찬기 교수는 SCM(Supply Chain Management·공급망관리) 개념의 발달로 한국 기업들이 구매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여전히 최고 인재를 재무나 연구개발(R&D) 등 특정 분야에만 심어두고 있다고 우려했다.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휴대폰업체 노키아를 이기기 위해서는 구매관리부터 대대적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구매 분야는 최고경영자나 오너의 심복이 가서 비자금이나 만드는 곳이라는 옛날식 편견이 아직 한국 사회에 남아있습니다. 구매 관리자의 역할을 가정 내 주부와 비교해 폄훼하는 사람들도 많구요. ‘가정 주부가 훈련을 잘 받거나 경제학 지식이 뛰어나서 가정 살림을 책임지나. 그런 거야 맡겨 놓으면 누구라도 할 수 있다’는 식으로 구매의 중요성을 평가절하하면 안 됩니다. 주무르는 돈이 많으니 부정부패가 일어날 수 있다는 이유로 조직 내에서 구매 전문 인재를 안 키우는 풍토도 문제입니다.”
 
노키아의 경우 세계 최대 휴대전화업체라는 지위를 바탕으로 독보적인 규모의 경제를 실현했던 것처럼 대기업이 원가절감에 더 유리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한 교수는 고개를 가로저었다. 대형업체가 유리하긴 하지만 중소기업이라고 구매 분야에서 성과를 올리지 못할 이유가 없다는 것. 그 예로 혼다자동차의 예를 들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