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ed on “A Founding Penalty: Evidence from an Audit Study on Gender, Entrepreneurship, and Future Employment”(2022) by Kacpercyzk, A. & Younkin, P., in Organization Science, 33(2): 716-745.
무엇을, 왜 연구했나?
대한민국에 불었던 창업 열풍이 잦아드는 듯하다. 중소벤처기업부의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벤처기업 수는 2014년 약 3만 개에서 2020년 30% 이상 증가해 3만9000여 개로 집계됐다. 신규 벤처 투자 금액도 2014년 약 163억 원에서 2021년 768억 원으로 크게 늘었다. 그런데 이 지표는 2021년을 기점으로 감소했다. 2022년 벤처기업 수는 3만2000개, 신규 투자 금액도 539억 원으로 줄었다. 벤처 시장이 위축되면 창업을 뒤로 하고 다른 형태의 생업 전선에 뛰어드는 사람이 늘어나게 된다. 그렇다면 창업 경험은 이들이 일반 직장에 재취업할 때 유리하게 작용할까?
우선 창업을 시작할 정도의 사람이라면 직장인보다 기본적인 업무 능력이나 기획력이 있다고 평가될 수 있다. 안정적인 월급을 포기하고 미래 소득이 불확실한 창업의 길을 선택하는 것은 상당한 자신감이 없으면 어려운 결정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논거로 창업자의 스펙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렵다. 이들이 창업을 하지 않고 직장에 남아 있었을 때 혹은 이직했을 때 성과가 좋았을지 비교 기준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더 나아가 만약에 여성 창업자가 재취업을 원한다면 어떨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여성에게 창업은 남녀 차별이 심한 일자리를 벗어나 본인이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했던 여성들이 나중에 재취업 시장에서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을지를 살펴봤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이용훈 yglee@tamu.edu
텍사스 A&M대 경영대학 경영관리 교수
필자는 고려대에서 경영/경제학 학사, 경영관리학 석사, 인시아드(INSEAD)에서 조직행동(Organizational Behaviour)학 박사를 받았으며 홍콩과기대 경영대학 조교수로 일했다. 혁신 산업에서의 네트워크, 사회적 정체성(social identity), 사회적 불평등에 관해 주로 연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