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SR2. Interview : 데보라 안코나 MIT 교수

“급변하는 세계를 지도로 만드는 일,
혼돈 세상 속 조직 혁신 이끌 핵심 리더십”

배미정 | 282호 (2019년 10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센스메이킹은 “지금 당신 회사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요?”란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자, 급변하는 환경을 헤쳐 나가는 데 필요한 ‘지도’를 제작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지도에 정답은 없다. 정보 수집과 해석, 그에 따라 행동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도를 수정해나감으로써 상황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수 있다. 특히 불확실한 세계를 ‘메이크 센스’하게 정리해 제시해야 하는 리더들에게 센스메이킹은 핵심적인 역량이다. 리더 개인뿐 아니라 팀원들, 특히 조직문화 혁신 임무를 맡은 팀, 일명 X-team도 센스메이킹을 통해 팀 내부 구성원뿐 아니라 고객, 전문가 등 외부인을 직접 찾아가 의견을 듣고 기존의 판단을 수정해 나가면서 최선의 대안을 찾아야 한다.

편집자주
이 기사의 제작에는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인턴연구원 장예령(숙명여대 경영학부 4학년) 씨가 참여했습니다.



센스메이킹(Sensemaking)은 조직 이론의 대가인 칼 웨익 미시간대 석좌교수가 1970년대에 발전시킨 개념으로 벌써 50년 가까이 지났지만 국내에는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그동안 많은 학자들이 센스메이킹을 이론적 관점에서뿐 아니라 실제 조직 운영에 핵심적인 프랙티스로 주목해왔다. 그중에서도 데보라 안코나 MIT 슬론 교수는 실천적 관점에서 센스메이킹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학자다. 안코나 교수는 MIT 리더십센터의 창립자로 MIT 슬론의 다양한 리더십 프로그램을 이끌면서 리더십 연구뿐 아니라 육성에도 힘을 쏟고 있다. 급변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경영자들을 코칭하면서 실천적인 리더십 이론을 정교화하고 있으며, 그 성과를 인정받아 2018년에는 MIT 슬론이 매년 티칭(teaching) 혁신 부문에서 우수한 성과를 낸 교수 2명에게 수여하는 재미슨(Jamieson)상을 받았다.

센스메이킹은 안코나 교수의 ‘불완전한 리더십(incomplete leadership)’과 ‘분배적 리더십(distributed leadership)’ 이론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역량 중 하나다. 그녀는 완벽한 리더십은 환상에 불과하며 진정한 리더십은 오히려 리더 개인의 불완전성을 인정하고 다른 사람과 협력함으로써 약점을 보완하는 ‘불완전한 리더십’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 조직 내부뿐 아니라 외부와도 협력해 책임과 임무를 공유하는 ‘분배적 리더십’ 모델을 개발했다. 이 분배적 리더십에서 가장 중요한 리더십 역량이 바로 센스메이킹이다. 1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