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기업의 목적

기업목적 = 이윤의 극대화? 그래도 이젠 ‘진짜 이윤’ 이 뭔가 물을 때

신승환 | 169호 (2015년 1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 인문학

흔히 기업의 목적을 이윤 추구라고 말한다. 그러나 현대 경영학은 이윤을어떻게극대화할 것인지, 그 수단과 방법에 대해서만 말하지무엇이이윤인지에 대해서는 침묵한다. 기업의 목적은 단순한 돈벌이나 이윤 추구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보다는 기업의 활동과 기능을 통해 우리 삶을 풍족하고 풍요롭게 하는 데 있다. 즉 기업의 목적은 나와 너, 그리고 우리가 속한 사회와 공동체의 존립으로 확장된다.

 

기업 목적은 이윤 극대화로 한정되나

현대 경영학은 기업의 목적에 대해 이윤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기업은이윤 추구의 동기에 의해서 운영되는 경제·기술·사회시스템으로서의 생산경제 조직체이다.(김석회, <21세기 교양 경영학>). 기업이 추구하는 이윤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그것은 다만 자본의 증식을 의미하는 것일까. 경영학은어떻게이윤을 극대화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질문하지만무엇이이익인지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한마디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적인 논의는 무성하지만 그것이 무엇인지, 또는 어떤 목적과 가치를 지니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을 쏟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래서 수단적 논의에 잠겨든 경영학은 한계비용과 한계수익이 일치하면 그것을 곧 이윤으로 파악하며 이를 극대화하기 위한 경쟁과 효율성, 기능의 측면에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그런데 기업가나 기업에 속한 사람들이 기업 활동을 통해 추구하는 본래적 목적으로서의 이익이 이렇게 얘기되는 경영상의 이윤과 같은 것일까. 과연 기업은 다만 자본의 이윤만 추구하는 수단적 조직체에 지나지 않는 것일까.

 

기업의 목적을 생각하면서 정작 물어야 할 것은 기업이 추구하는 이익이 누구를 위한 것이며, 무엇을 향한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다. 과연 기업이 목적으로 하는 이익이 극대화되면 기업에 속한 사람들이나 기업 종사자, 나아가 기업이 자리한 사회와 공동체의 구성원들에게는 어떤 의미가 주어지는 것일까. 이런 질문은 기업이 살아가는 사회와 공동체 내에서 유지하고 키워내야 할 본래적 목적에 대한 문제로 이어진다. 과연 기업이 추구하는 궁극적 목적과 이익은 기업에 속한 모든 사람들에게 어떤 가치와 의미가 있을까. 그것이 구체적이며 실존적 삶을 살아가는 너와 내게 건네는 말은 무엇일까.

 

이 질문이 실제로 기업을 이끌어가는 이들에게는 불필요하거나 의미 없다고 생각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기억해야 할 것은 기업과 기업 활동을 통한 경제적 행위 모두는 결국 인간의 삶과 존재를 위한 수단적 가치를 지닌다는 사실이다. 왜 기업을 이끌어가고 경제활동을 하는가. 그것은 결국 나와 나의 삶을 위한 것이 아닌가. 그렇기 때문에 이 모든 것들은 궁극적으로 나의 삶과 존재에 연결돼 의미를 지녀야 비로소 인간의 활동으로서 가치를 지닐 수 있게 된다. 그와 함께 기업 활동은 개인적 영역을 넘어 공동체적 영역으로 확대되며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사회, 그 공동체 없이는 결코 존속할 수 없다는 사실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기업 활동은 개인의 문제만이 아니라 공동의 존재로 더불어 살아가야만 하는 인간의 공동체적 행위이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과 연결된 관계망과 그들이 함께 이루는 사회 및 공동체 없이는 기업 활동은 물론 경제 행위도 결코 가능하지 않다.

 

물론 정상적인 기업이라면 그 누구도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비윤리적이며 반인륜적 활동을 저질러도 좋다고 말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기업의 목적을 말하고 기업 운영을 논의하는 어떤 곳에서도 이런 논의를 중점적으로 다루지 않을 뿐이다. 현대 경영학에서도 이런 문제는 외면받고 있다. 최근에 이르러서야 기업윤리, 경영윤리 등의 논의가 조금씩 이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기업 경영이라는 측면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적 관점에서만 다뤄지는 한계를 보인다. 이런 침묵과 외면이 우리 사회에서 반기업적 정서를 부추기거나 기업이 몰가치적이며 가치중립적인 조직으로서 이익만 극대화한다는 인식을 초래한다. 심지어 천박한 재벌, 천민자본주의 등의 소리가 흘러나오기도 한다.

 

과연 기업은이익만 극대화하면 되는 것일까. 기업에 공동체 윤리나 사회적 책임을 묻는 질문은 과도한 것일까. 치열한 세계적 경쟁에서, 이른바글로벌 생존 경기에서 기업이 이런 윤리와 공동체적 가치에까지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일까. 기업과 경제 세계를 모르는 백면서생들의 배부른 소리는 아닐까.

 

그럼에도 이런 침묵과 매도가 기업만이 아닌 개인과 사회 전반에 확대될 때 그 결과는 기업에조차 치명적인 결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그런 사회와 그 기업은, 그리고 그 공동체는 마침내 죽은 공동체, 죽은 사회가 되고 결국 기업이 자리할 가장 근본적인 토대조차 사라질 것이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