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가상 인간 시대의 마케팅 전략

완벽한 가상 인플루언서엔 거부감
인간다운 부족함을 그대로 보여줘야

황세림 | 394호 (2024년 6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생성형 AI의 발전으로 가상 인간을 만들어내는 기술이 점점 정교화되면서 가상 인간에 대한 사회적 호감도가 높아지는 상황이다. 과연 이들의 어떤 면모가 팔로워들의 ‘좋아요’를 이끌고 호응을 얻어내는 걸까? 가상 인플루언서가 완벽한 외모를 갖추기보다 인간이 가진 고유의 개성을 드러내고 미성숙한 행동 등 인간다운 부족함을 그대로 보여줄 때 팔로워로 하여금 동질감과 공감대를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인간적인 감정 교류와 소통을 통해 인간이 현실에서 당면하는 정서적 문제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면서 애착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20240527_135937
무엇이 우리의 ‘좋아요’를 이끌까?

‘최애’ 아이돌을 기다리는 소녀팬들이 있다. 이 아이돌은 다름 아닌 가상 인간, 버추얼 아이돌 그룹 플레이브(PLAVE)다. 2023년 3월 12일 데뷔한 플레이브는 언리얼 엔진1 을 기반으로 제작된 실시간 소통형 버추얼 보이그룹이다. 이들은 만화책에서 방금 튀어나온 듯한 외모의 2D 캐릭터들로 이뤄졌다. 훤칠한 키에 풋풋한 소년미를 지닌 이들은 2D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졌기에 이들이 실제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을 팬들은 인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팬들은 플레이브에 열광하며 팬 아트를 손수 만들고, 굿즈를 구입하고, 심지어 ‘플리(PLLI)’라는 이름의 팬덤을 조직해 ‘내 가수’라는 애착 관계까지 형성한다. 마치 플레이브 멤버들을 실제 존재하는 사람처럼 여기고 소통하고 싶어 하는 것이다.

인간을 대체할 수 없다고 여겨져 온 아이돌 시장에도 가상 인간, 즉 버추얼 아이돌이 무섭게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 2월 27일 발매된 플레이브의 미니 앨범 2집 ‘아스테룸:134-1’ 앨범은 초동 판매량 56만 장을 넘겼다. 최근 화제가 된 가수 비비의 신곡 ‘밤양갱’을 제치고 국내 지상파 음악방송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버추얼 아이돌이 1위를 차지한 최초의 사례였다. 또한 더현대 서울에서 열린 플레이브의 팝업스토어 1차 사전 예약은 공개와 동시에 서버를 다운시킬 정도의 인기를 자랑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2

가입하면 무료

  • 황세림serimh@skku.edu

    성균관대 SKK GSB 교수

    필자는 성균관대 SKK GSB 마케팅 조교수로 서울시립대 경영학과 학사, 미시간대(University of Michigan) 응용통계학 석사, 카네기멜론대(Carnegie Mellon University) 마케팅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AI 기술로 변화하는 인플루언서 시장 생태계와 AI 기술 혁신으로 시장경제에 일어나는 창조적 변화들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