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4의 디지털 헬스케어 전시는 크게 1) 접근성 향상 2) 개인화 3) 지능화의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됐다. 먼저 보험사 엘레반스헬스의 게일 부드로 CEO가 기조연설에서부터 강조한 것도 의료 접근성 향상의 비전이었고 실제 전시에서도 심미성을 개선하거나 이용자의 거부감을 낮춘 의료 보조기기, 집 안에서도 사용하기 쉬운 홈케어 기기가 다수 등장했다. 다음으로 암이나 치매 등 중증 질환 치료에 국한돼 있던 헬스케어 서비스 대상이 만성질환 관리부터 수면, 휴식, 영양 관리 등으로 확산되면서 ‘개인화’를 위한 슬립테크, 에이지테크 등의 발전상도 확인됐다. 마지막으로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의료 솔루션이 더 똑똑해지는 ‘지능화’의 흐름이 나타났다. 아직 생성형 AI가 헬스케어에 접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웠지만 얼굴과 음성을 인식하는 카메라 비전 및 사운드 기반 AI부터 여러 기능을 통합하고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는 만능 기기까지 의료 솔루션의 진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AI 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고령화 등 급격한 환경 변화의 틈새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는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 올해로 100주년을 맞은 세계 최대 가전 및 IT 전시회 CES는 이런 발전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기회였다. 헬스케어 업계에 정통한 미디어 종사자들이 참여한 ‘헬스케어 분야 AI의 미래(The Futur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 패널 세션에서도 몇 가지 눈여겨볼 만한 아이디어들이 나왔다. 예를 들어, AI가 의료 접근성이 떨어지는 집단의 헬스케어 접근성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한 패널의 예측은 제법 설득력이 있었다. 또한 앞으로 모든 헬스케어 회사가 기본적으로는 AI를 이용해 어떤 형태로든 조직 내 업무 과중, 즉 번아웃을 해결하는 회사가 될 것이란 주장도 흥미로웠다. 디지털 헬스케어 전반에 걸쳐 웨어러블 기기의 완성도가 높아졌고, 동시에 웨어러블 없이도 컴퓨터 비전이나 사운드 기반의 AI를 이용해 쉽게 접근 가능한 솔루션들을 제공하려 시도하는 기업이 많아지고 있다는 큰 흐름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헬스케어 서비스의 주요 타깃이 암이나 치매 같은 중증 질환에서 당뇨나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으로 변하고 있다고도 강조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정규환kyuhwanjung@gmail.com
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교수
정규환 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교수는 2015년 딥러닝 기반 의료 데이터 분석 기업 ‘뷰노’를 공동 창업하고 CTO를 지내며 연구개발을 총괄했다. 포항공대에서 산업경영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SK텔레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등에서 빅데이터 및 AI 관련 연구 개발을 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