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호 (2015년 3월 Issue 2)
3D프린팅 도입으로 미래 지식정보 유형이 단순한 정보 제공 수준에서 벗어나 산업적 산출물로 즉각 전환할 수 있는 모델로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순수 창작물에 대한 생성, 변형, 유통 등 다양한 거래모델의 단계에서 지적재산권(IP·Intellectual Property) 문제가 대두된다. IP의 보호 및 유통 장려를 위해 3D프린팅 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및 각 플랫폼과의 연계를 지원하는 3D프린팅 IP 유통모델은 필수적이다. 특히 IP재가공(IP Refresh, 판매된 IP가 구매한 사람에 의해 새롭게 가공되는 것)이 활성화함에 따라 다수의 소비자가 IP를 제조, 변형해 또 다른 판매자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비와 공급이 메마르지 않는 샘처럼 솟아나는 마켓 플레이스가 탄생하게 된다. 3D프린팅의 설계도면인 IP가 기하학적인 숫자로 생성되고 유포돼 우리들의 삶에 상용화, 보편화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