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표 2]어떤 기업이 파트너십 상대로 적절한가

161호 (2014년 9월 Issue 2)

최한나 최한나
최한나
HBR(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편집장
han@donga.com
박용석
-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
[표 2]어떤 기업이 파트너십 상대로 적절한가

FnC코오롱이 디자이너 브랜드 인수를 통해 여성복 및 잡화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었던 요인은?

1) 인수 전부터 통합 추진

통상 M&A에서 가장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인수 후 통합과정(Post-Merger Integration)을 최소화하기 위해 6개월 이상 긴 시간을 투자해 인수 전 통합(Pre-Merger Integration) 진행.

2) 피인수기업과의 파트너십 구축

인수기업-피인수기업의 프레임에서 벗어나 피인수기업을 파트너로 인식하고 충분한 자율성을 부여.

3) 궁극적 시너지를 위한 투-트랙 운영방식

피인수기업이 가진 경쟁력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후선에서 지원하는 방식 활용.

4) M&A를 통한 역량계단(competence stairway) 확보

피인수기업이 축적한 노하우와 경영 관행을 흡수해 역량 강화 및 기업문화 혁신 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