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그림 1] 전략으로서의 CSR

151호 (2014년 4월 Issue 2)

장영철
피터드러커소사이어티 공동대표, 경희대 명예교수

필자는 한국외대와 서울대 대학원을 거쳐 캐나다 토론토 경영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싱가포르국립대 교수를 거쳐 현재 경희대 경영대 명예교수 및 aSSIST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윤리경영학회장과 한국조직경영개발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국내에서 윤리경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연구를 선도해왔다. 또 조직개발 방법론 중 강점 탐구(Appreciative Inquiry) 관련 주제에 대한 선구적 연구를 통해 기업과 학계에 기여해 왔다. 피터드러커소사이어티 공동대표와 드러커아카데미 원장을 맡아 피터 드러커의 지혜와 통찰을 전파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ycchang@khu.ac.kr
[그림 1] 전략으로서의 CSR

모두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해 말하는 시대지만 정작 ‘사회공헌’ ‘기부활동’ 이상의 ‘전략적 CSR’에 대해 엄밀히 개념정의를 하고 올바로 접근하는 이들은 많지 않다. 전략으로서의 CSR, 전략적 CSR이란 비시장 전략의 한 요소이면서 동시에 비시장-시장 통합 전략의 주요 구성요소다. 전략으로서의 CSR은 기업이 처한 환경적, 내외부적 제약조건을 엄밀히 따진 뒤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에 의한 CSR, 기업의 핵심전문성과 연결된 CSR, 기업의 존재목적의 중심에 위치한 CSR 개념을 이해하며 실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