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그림2] 2025년이 되면 글로벌 생산재 수용에서 신흥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66%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150호 (2014년 4월 Issue 1)

케이티 조지 (Katy George) 케이티 조지 (Katy George)
케이티 조지 (Katy George)
케이티 조지 (Katy George)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맥킨지 뉴저지 사무소 이사
[그림2] 2025년이 되면 글로벌 생산재 수용에서 신흥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66%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기술의 발전이 오퍼레이션을 변화시키고 있다. 앞으로 인건비보다는 수요지와 혁신적인 공급 생태계에 얼마나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지가 더 중요해질 것이다. 신흥시장의 생산재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로봇공학, 사물 인터넷 등 기술 발달로 인해 제조업체들이 다양하고 새로운 운영 디지털화의 기회를 얻게 됐다. 반면 인건비 우위를 토대로 하는 제조 전략은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기업은 수요 근접성과 혁신 근접성에 기반한 생산시스템 운영을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1) 시장 내에서, 그리고 글로벌 시장 전반에서 나날이 증대되는 지역별 소비자 취향의 다양성과 규모의 경제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점을 유지하는 입지 결정을 내려야 한다.
2) 기술적인 전문성과 현지에 대한 정보, 시장 지식을 두루 갖춘 공급자 생태계를 구축한다.
3) 조직 전반에서 기술적인 발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인재와 기량을 육성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