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한 중소기업의 국내에서 인도로의 실제 물류 계산 사례

104호 (2012년 5월 Issue 1)

김응기 김응기
김응기
- 비티엔 대표이사
한 중소기업의 국내에서 인도로의 실제 물류 계산 사례

질문1: 성공적으로 인도에 진출한 한국 중소기업 및 벤치마킹 포인트는?
-우리가 선구자! 새로 부상하는 수요 선점: 어린이치과병원 CDC리서치
부상하는 키즈 마켓에 비해 낙후된 의료 환경을 파악하고 재빨리 시장 진입. CDC리서치의 지적재산인 소아치과 진료·교육시스템과 소아치과 의료인이라는 현지 인적자본의 결합으로 이뤄진 비즈니스 모델

-시간이 약이다! 시장을 확신한다면 인내: 이화글로텍
인도시장에 수요가 있음을 확인한 후에는 2년간 불과 1∼2대의 설비를 수출하면서도 공을 들임. 공략대상이 되는 섬유기업 정보를 뭄바이에 구축한 연락사무소를 통해 수집하면서 끊임없이 마케팅 활동을 펼침

-발품을 팔아라! 다층구조의 복합시장을 알아야 성공: 와이지원
인도법인 직원 30명 중 24명이 거점에 주재하면서 영업 중이고 법인장 역시 늘 ‘지금은 출장 중’임. 하루 4차례 이상 고객을 방문 하면서 인도 소비자의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제품생산에 현지 소비자 요구를 반영시키면서 시장을 석권

질문2: 인도시장에 진입하려던 한국 중소기업이 실패한 이유는?
3 C-less: Careless, Cashless, Characterless